통근에 대한 이론을 배우면서
각 명리학당 혹은 사이트 및 카페 마다.
다들 말이 틀립니다.
갑목이 인 묘 진 해 미 까지 통근이 된다함은 이해하는 바이지만.
자수에 통근한다 함을 말할때 과연 이게 정론인가 아니면 인수로인해 그냥 돕는다 하여 통근한다 하는것인가에
서로 상반댄 주장을 합니다.
반대 의견은 자수가 인수의 역활만 할뿐 갑목의 뿌리역활이 아닌 인수의 역활이므로 자는 전혀 통근력이 없다
말하고
어떤 곳은
자수는 지지에 있어 인성의 정기를 띠므로 갑목에 통근을 유통시키는 역활을 한다 라고 합니다.
누구 말이 맞을까요?
한 사이트만 그러는게 아니고 대부분의 사이트가 자수가 들어간다 아니다 서로 상반댄 글들이 존재해
초학자로서 많이 헷갈립니다.
추가질문 : 미토는 갑목의 묘고(墓庫)에 해당하므로 지지는 비록 동기가 있다 하더라도 통근이라 하기에는 부족하다.라고
합니다. 그런데
어떤 곳에서는 미토가 갑목이 뿌리를 강하게 내릴 중요한 토이고 통근력 또한 대단하다 라고 하는데
그점을 이해 못하겠습니다...
제가 잘못 이해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설명이 있는것인지...
첫댓글 통근이라 통할통 뿌리근인가 갑목이 부평초라면 물에 뿌리를 내릴수도 있겠구만
병화는 인목에 통근할까 경금은 사화에 통근할까 임수는 신금에 통근할까
지장간 인목 무병갑 병화 건록 통근 , 경금 사화 무경병 장생 통근 , 임수 신금 무임경 장생 통근 아니였던가요?
자수에는 을목이 기생한다는 설이 있음 통근한다고 봄
삭제된 댓글 입니다.
오홋 ++
통근이란 말은 지지에 비겁이 있는것을 말하는데 근원적으로 글자 하나를 두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만약 자월의 갑목이 일지 자가 있다면 갑목이 통근하는것이 아니라 浮木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미월의 갑목이 일지 오가 있다면 갑목이 미토에 통근하는것이 아니라 뿌리가 말라버립니다. 만약 해수나 자수가 곁에 있다면 갑목의 뿌리를 자윤한다고 봅니다. 사주 글 하나를 두고 통근하니 않하니 갑론을박하기보다는 사주 전체를 아울려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일단 초학자는 원칙을 먼저 알아야합니다. 그 다음에 응용입니다. 통근의 원칙은 갑목은 인묘진해미에만 통근합니다. 그 다음 사주구성에서 자수가 필요하면 그것을 의지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감사합니다.
한가지 질문은
인성내 지장간중 비겁이 있을경우
통근은 아닌지요?
예를들어 기토일간 사중 무토등.
@삼성문의소 써놓고 지운글인데.
하여간 폰이 문제네.
우문현답에 감사드립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05.21 0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