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아라대교·인천귤현교 교통약자 배려 ‘극과 극’ | ||||||||||||||||||||||||||||||||||||||||||
아라대교, 인도·자전거도로 없어 목숨 걸고 서울행 귤현교, 자전거도로 완비…노약자 배려 엘리베이터까지 | ||||||||||||||||||||||||||||||||||||||||||
| ||||||||||||||||||||||||||||||||||||||||||
| ||||||||||||||||||||||||||||||||||||||||||
같은 경인아라뱃길을 건너는 교량인데도 김포시의 아라대교와 인천시의 귤현교는 극과극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김포시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우동에서 고촌시가지를 지나 아라대교에 이르는 동안 김포의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다는 것을 곳곳에서 느낄 수 있었다. 사우동에서 풍무동을 거쳐 고촌에 이르는 동안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인도나 자전거도로는 물론 갓길도 없어 보행자나 자전거 이용자들이 이용하가엔 너무나 위험한 상황들을 곳곳에서 만날 수 있었다. 그러나 여기까지 보다는 신곡사거리에서 아라대교에 이르는 길은 거의 목숨을 담보하고서야 갈 수 있는 길이었다. 고속으로 달리는 승용차들 사이로 두 번의 외곽순환고속도로 진입로를 거치고 또 고속도로에서 나오는 차량을 피하고서야 아라대교 입구에 갈 수 있었다. 아라대교에는 그 나마 갓길이 있어 자전거를 이용하기에 상대적으로 수월(?)했다. 그러나 이곳도 승용차들을 위한 갓길이지 자전거 이용자나 보행자를 위한 공간은 아니었다. 아라대교에서 다시 공항 방면으로 가기 위해서는 매립지와 부천 방향 출구와 올림픽대로 방향 출구를 아라대교로 오를 때와 같은 방법으로 위험을 무릅쓰고 지나야 했다.
결국 아라대교는 사람이 보행으로는 건널 수가 없는 교량이었다. 아라대교까지 접근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곧 김포에서 서울로 걸어서는 갈 수 없다는 의미다. 왜냐하면 또 다른 교량인 김포한강로 상의 전호대교는 자동차 전용도로이기 때문이다.
내친 김에 인천 계양구 장기동과 귤현역을 잇는 귤현교를 가보기로 했다. 귤현교는 아라대교와는 비교할 수 없는 모양새를 갖추고 있었다. 하늘과 땅 차이가 이럴까? 촌 동네 김포와 광역시 인천을 비교당하는 기분이었다.
우선 귤현교에는 교량을 오르는 별도의 보행자 통로가 존재한다. 이 길은 우레탄 포장이 돼있어 자전거 이용자들이 이용에도 편리해 보였다. 실제로 이 길을 이용해 보행과 자전거를 이용해 통학을 하는 중학생을 만날 수 있었다.
더 이상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김포시는 이제라도 아라대교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점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 동안 경인운하로 인해 여러가지 김포가 입을 피해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다. 그 중의 하나가 육지와 단절돼 섬으로 바뀌면 여러 환경변화가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였다. 그 우려는 당장의 현실로 다가왔다. 섬이 됐다는 심리적 단절감 이외에도 이번 사고와 같은 피해에 바로 옆 인천과 비교까지 당해야 하는 피해의식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김포시는 모든 역량을 동원해 문제해결에 나서야 할 것이다. 한편 귤현교는 수자원공사가 시행주체이고 아라대교는 서울국토관리청이 담당해 공사를 시행했다.
|
첫댓글 그렇습니다. 이 길을 이용하려면 죽을 각오를 해야만 합니다. 참 한심한 노릇입니다.
자전거를 많이 이용하는데 많이 아쉬운부분이네요..
자전거타고 중봉도서관에 가는 짧은 길도 위험투성이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