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Q (Equalizer) 사용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
◆EQ (Equalizer) 사용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
◆마이크 하울링(피드백)
◆EQ 조절에서 GAIN 과 CENTER(기준)
◆어떻게하면 음색이 가벼워지는지, 무거워지는지?..
◆-참고자료-
[문]
안녕하세요. EQ 조절에 관해 질문이 있어서 찾아왔습니다.
EQ 조절창 인데요. GAIN 과 CENTER... 그리고 여러가지 숫자들..
뭘 의미하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혹시라도 아신다면, (어떻게하면 음색이 가벼워지는지, 무거워지는지)
무슨 그래프를 조절해야 변화가 일어나는지 알려주세요.
항상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
EQ (Equalizer) 사용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
EQ의 사용방법은 고음,중음 저음을 컨트롤하는 목적이 사실은 아닙니다.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를 때 마이크가 스피커와 마주치거나 하면
삑~! 하는 귀가 찧어질 듯한 마이크하울링(피드백) 경험이 있었을 것 입니다.
이때 이 삑~하는 하울링(피드백)은 스피커에서 울리는 특정 주파수 소리가
마이크로 다시 들어가 되돌아 부딛치는 심각한 것으로 이 상태가 약간만 더 지속되면
스피커가 터지고맙니다
바로 이때 EQ가 있다면 이 특정 주파수 대역부분의 Gain을 내려주면
마이크를 스피커통에 집어 넣어도 삑~! 하는 하울링이 발생하질 않습니다.
바로 특정주파수 대역을 가감할 수 있는 기능을 100% 활용한 모습인데
TV방송국 같은 곳에서 Live공연시 수많은 마이크와 수많은 스피커들이 산재해
있는데도 삑~! 방송사고가 생기지 않는 이유입니다.
값비싼 스피커들도 보호할 수 있고 둔탁한 사운드를 맑게 시원하게 컨트롤 할수있는
기능입니다.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이 EQ의 기능을 잘 알지못하고
일종의 고음,저음, 중음의 기능으로 사용들을 하고 있지만 이 기회에 EQ란
고음,저음, 중음을 컨트롤하는 것이 아닌,
좀더 고급기능으로 사용함을 감지하시기 바랍니다.
마이크 하울링(피드백)
피드백(하울링)에 대한 글은 물리학과 전자공학을 공부하면서 엔지니어를 꿈꾸는
런닝맨님의 2001/08/10 자 자유토론실에 올린 도움글입니다.
피드백(하울링)이라는 것은 간단하게
마이크 => 믹싱콘솔 => 앰프 => 스피커 => 마이크 로 소리가 한바퀴 돌기때문에
발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퀄라이져로 피드백주파수를 찾는 방법과 잡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삐이익~~~ 하면서 찢어지는 소리가 난다면 고음부에서 발생하는 것이고
우우웅~~~ 하면서 울리는 소리가 난다면 저음부에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피드백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대강 추측되는 주파수대를 살짝 올려보세요
이때 급격히 커지면 막올린 주파수대가 피드백의 원인이 되는 곳이므로
해당 주파수대를 4-6db 가량 낮춰주세요.
이렇게 하나씩 찾아보시면 됩니다.
=> 피드백의 주파수대는 꼭 한군데만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세요.
제대로 피드백을 잡기 위해서는 위의 작업을 여러번 하셔야 할껍니다.
단, EQ로만 피드백을 잡다보면 사운드가 많이 부실해질 수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EQ의해당 주파수만 잡는다고 줄여도
한개의 주파수만 죽는게 아니라 주변의 주파수도 영향을 받으니까요.
(아래위로 볼록한 형태로 바뀌기 때문에)
=> 한예로 31밴드 이퀄라이져는 1/3옥다브의 폭에서 조정이 가능하다지만
전체주파수 상에선 매우 넓은 부분이거든요.
이를위해 Behringer사의 DSP1100P라는 "피드백 디스트로이어" 라는
피드백 제어 장비가 별도로 있습니다. 평균시세가 45만원 정도로 비교적 값도 싸고
쓰기 편합니다. 1/60옥타브의 좁은 폭에서 거의 해당 주파수대역만
자동으로 12개의 피드백 검출기능이 있어서 잡아주니까요.
-도움글-(런닝맨) runningman2000@hanmail.net
EQ 조절에서 GAIN 과 CENTER(기준)
우리귀에 들리는 소리(주파수)를 낮은대역 (31Hz)부터 최고 높은 대역인 (16kHz)까지를
10단계로 분리하여 각각의 주파수대역을 가감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
이러한 모습을 10-band EQ 라 합니다.
◇ Equalizer (EQ)
소리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하여 저음부터 고음까지 부분적으로 조절하는것.
이렇게 조절하는 행위를 Equalization이라 합니다.
◇ Gain (게인)
신호의 강도를 증가시켜 주는 장치
원래 기본주파수 값은 위 그림처럼 Gain이 모두 가운데인 00 Gain 이며
이 기본값을 기준으로 가감할 수 있는 Gain 범위는 -60dB 부터 20dB까지라고
좌측상단에 표기되어 있군요...
Gain 이란? 얼마만킁 값을 올렸느냐 내렸느냐라고 이해하시는 것이 편합니다.
위그림에서는 모두 기본값으로 놓여 있습니다.
즉, 소리(주파수)의 변화가 없는 상태입니다.
다음~ 좌측하단에 표기한 Center[Hz]란 전체의 주파수 덩어리를 10개로 분활한
하나하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표시합니다.
저음쪽 대역은 31Hz 그리고 중음에 해당하는 중간대역인 500Hz 그다음
최고음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인 16kHz 들을 차례로 표시한것입니다.
위그림에서는 소리(주파수)의 변화가 없는 상태인데 이 소리(주파수)를
가감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로 변경한 모습중에 하나가 바로 아래 그림입니다.
아래 그림을 살펴 봅시다.
1kHz 주파수 대역은 그대로 Gain 00dB로 나두고 초고음영역대인
16kHz 주파수 대역은 Gain을 4.7dB 로 높였으며
아주 낮은 저음영역 주파수쪽인 31Hz 대역의 Gain을
최고 한도인 20dB에 가까운 높이인 11.6dB 까지 Gain을 높였군요
결국, 위 그림상으로 볼 때 저음이 풍부하면서도 고음쪽이 시원한 그런 소리로
사운드가 바뀌어 드릴것입니다.
어떻게하면 음색이 가벼워지는지, 무거워지는지?...
저음쪽의 Gain이 많으면 점점 무거워? 질 것이고 고음역쪽의 Gain이 높으면 높을수록
찧어지듯한 날카로운 소리가 되겠지만 적당히 고음이 살짝 살아나고 저음을 약간만
빼주면 사운드는 가벼워 지겠죠?...
위그림중 Center[Hz]중에 1k를 보십시오.
예를 들어 1KHz....1kHz 주파수의 기본값은 Gain 00 입니다.
이 게인을 살짝 조금씩 올려 보거나 내려보십시오
그 효과를 즉시즉시 알 수 있을 것 입니다.
자 전체 주파수를 주파수 대역별로 가감할 수 있는 기능임을 알았습니다.
물론 효과는 매우 비슷할 것이지만 엄격히 일반적으로 앰프에 달린
고음,중음, 저음을 조절하는 것과는 많은 차이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