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신용·직불·체크카드 어떻게 다른가?
많은 사람들이 카드를 이용하면서도 정작 내가 사용하는 카드의 종류가 무엇이고, 다른 카드와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 신용·직불·체크카드의 정의
흔히 사용하는 신용카드는 '신용'으로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카드를 말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신용'을 다른 각도에서 보면 '빚'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결국 '빚'을 지고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셈이죠...
직불카드는 현금카드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직불카드가 현금카드와 다른 점이 있다면, 직불카드 가맹점에서 물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으며, 그 이용대금이 고객계좌에서 자동인출 되어 다음날 가맹점 계좌로 자동 입금된다는 것입니다. 또 직불카드 기능에 현금카드 기능이 포함되어 현금카드를 별도로 발급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체크카드는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일반적인 신용카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하되 그 이용대금이 거래승인과 동시에 고객계좌에서 즉시 지급, 결제되는 기능을 부가한 카드로 회사별로 소액의 신용기능이 부여되기도 합니다.
▶ 신용·직불·체크카드의 공통점 & 차이점
2003년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에서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은 20%, 직불·체크카드의 소득공제율은 30%로 소득공제율이 달랐으나, 올해부터 신용카드나 직불·체크카드의 소득공제율은 동일하게 20%를 적용 받습니다.
신용카드는 통상 만 20세 이상 발급 가능하며, 카드사별로 발급 기준이 다릅니다. 직불·체크카드 발급도 은행이나 신용카드사 발급 기준에 따라 다르지만, 만 14세 이상, 또는 만 18세 이상이면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요즘엔 자녀들의 경제교육을 위해 직불카드나 체크카드를 발급 받아, 용돈을 결제계좌로 넣어주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최근 정부에서는 신용카드 과다 사용에 따른 신용불량자 양산을 막기 위해 직불카드 사용자에 대한 혜택을 확대하는 방안으로 올해부터 직불카드 영수증을 따로 추첨하는 직불카드 복권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1월 31일에 처음 실시된 직불카드 복권제에서 직불카드(체크카드) 당첨률이 신용카드보다 평균 15배 높게 나타났고, 당첨금이 1억원인 1등 당첨률은 직불카드가 신용카드보다 61배 높았다고 합니다.
☞ 신용·직불·체크카드의 차이점을 요약해 보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신 용 카 드 | 직 불 카 드 | 체 크 카 드 (직불형 신용카드) | |
사용 가능한 곳 | 신용카드 가맹점 (약 3백 만개) | 직불카드 가맹점 (약 30만개) | 체크카드 가맹점 (약 3백 만개) |
지 불 방 식 | 신용 공여 (외상 구매) | 전자 자금 이체 | 전자 자금 이체 |
이 용 한 도 | 신용한도액 | 예금잔액 | 예금잔액 |
결 제 방 법 | 선구매 후결제 | 구매와 동시 결제 | 구매와 동시 결제 |
승 인 절 차 | 신용한도액, 신용불량 여부 확인 | 비밀번호, 예금잔액 확인 | 예금잔액 확인 |
이용 가능 시간 | 24시간 | 은행공동망 가동시간 | 24시간 |
할부 구매 | 가능 | 불가능 | 불가능 |
현금서비스 | 가능 | 불가능 | 신용 공여 기능 있으면 가능 |
소득공제 | 연봉의 10%를 초과하는 사용금액의 20% (연간 500만원 한도) |
▶ 신용·직불·체크카드 중 가장 권장할 만한 카드는 체크카드
아직 직불·체크카드 사용자는 신용카드 사용자에 비해 훨씬 적습니다. 하지만 설문조사 결과 신용카드보다 소득공제 혜택이 높아지고 가맹점이 늘어날 경우 직불·체크카드를 이용하겠다는 응답자가 많았다고 합니다.
직불카드의 경우 가맹점 수가 신용카드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불편이 많지만, 체크카드는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고, 연회비가 면제되거나 저렴한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통장에 들어 있는 예금 잔액 내에서 결제가 되기 때문에 신용불량자가 될 소지가 없고, 일정한 소득이 없어도 발급이 가능합니다.
단, 예금 잔액 내에서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 전에 잔고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은행 및 카드사에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되는 체크카드를 발급하고 있으므로자신에게 맞는 체크카드 사용으로 과소비를 지향하고, 덤으로 직불카드 복권(체크카드 포함), 연회비 면제 등의 실질적인 혜택을 받으세요…
☞ 다양한 체크카드 상품
[기업은행] My Check카드
기업은행 My Check카드는 만 14세 이상의 개인을 대상으로 발급하며, 연회비가 없습니다. 1회 사용한도는 1백만원이며, 일/월간 500만원까지 사용가능 합니다.
포인트 캐쉬백이나 아시아나 마일리지 or OK Cashbag 서비스 중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SK주유시 주말 및 공휴일에 리터당 70원의 할인(주중 40원) 혜택이 있습니다.
또 인터넷 (point.bccard.com, www.ticketpark.com) 예매 시 영화관람료 1,500원(단, 월 2회)이 할인되고, 카드사용실적이 있는 회원에 대하여 승인내역을 휴대폰으로 실시간 송부해 주는 SMS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됩니다. 신청회원에 한하여 충전식 선불교통기능을 추가하여 발급하고 있습니다.
[제일은행] 퍼스트 플러스 카드
제일은행 퍼스트 플러스 카드는 만 18세 이상의 개인을 대상으로 발급하며, 기본연회비가 면제(단, 항공사 제휴카드는 특별 연회비 1만원)됩니다. 기본 이용한도는 1일 1백만원, 월간 3백만원입니다. 퍼스트 플러스 카드에도 부가서비스에 따라 카드 종류가 다양하므로,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에 맞춰 발급 받으면 됩니다.
[KB은행] KB Check카드
KB은행 KB Check카드는 만 18세 이상의 국민은행 요구불예금을 보유한 개인고객을 대상으로 발급하며, 연회비가 없습니다. 기본 이용한도는 1일 2백만원, 월간 1천만원까지이며, 증액 신청 시 월간 5천만원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가맹점 이용내역을 SMS 서비스로 알려드리며, 가맹점 이용금액의 0.5%를 포인트로 적립해 드립니다.
박승철 헤어 스튜디오를 비롯하여 카후나빌, 베어마운틴 등의 가맹점에서 할인 혜택이 있으며, KB은행 영업점에서 카드 신청을 하시면 신청 즉시 발급해 드립니다.
이 밖에 현대카드 C, LG체크카드, BC플러스카드, 외환 I&World카드, 신한프리스포츠카드, 우리모아플러스 카드 등 카드사별로 다양한 체크카드를 발급하고 있습니다.
직불 카드(直拂 - , 영어: debit card, bank card)는 신용카드와 비슷한 모양을 가진 ISO 7810 규격의 대체 지불 수단이다. 신용카드와 같이 대금 결제시 결제 금액이 카드 소유자의 계좌에서 바로 인출되며 연결된 계좌에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다.
관계 법령상 직불성 카드로 분류되는 체크카드는 카드사에서 발급하는 것으로, 신용 카드 가맹점에서 신용카드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신용 거래를 할 수 없는 카드이다. 직불카드와는 가맹점에게 지불방법 부분에서 다른 개념[1]이다. 하지만 체크카드에 국제직불카드기능이 탑재되기도 한다.
순수한 직불카드는 가맹점수가 매우 적거니와, 체크카드의 등장으로 인해, 순수한 직불카드를 취급하는 은행은 점차 줄고 있다. 2015년 1월 1일부터 MS카드를 쓰지 못한다.[2]
국내용 IC카드 형태 직불카드 가능 은행
국내용 MS카드형태 직불카드 발급 불가능 은행
국제직불카드 겸용 체크카드 Maestro 마크가 달려있는 체크카드
장점과 단점
직불카드 가맹점은 신용카드 가맹점에 비해 많치 않은 편이며, 잘 알려진 가맹점은 다음과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