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평가
시스템 1은 생물체가 생존하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주요 문제를 끊임업이 평가하도록 진화했다.
지금 주변 상황은 어떤가? 위협이나 절호의 기회가 온 건 아닐까?
모든 것이 정상인가? 다가가야 할까, 피해야 할까?
이런 문제가 도시에 사는 인간에게는 사바나에 사는 가젤에게만큼 절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우리가 물려받은 신경 체계는 현재의 위협 수준을 평가하도록 진화했으며,
그런 작동을 멈춘 적이 없다.
상황이 양호한지 나쁜지, 따라서 다가가도 좋은지 도망가야 하는지 끊임없이 평각한다.
인간에게 기분 좋고 머릿속이 편안한 상태는 동물로 치면 안전하고 친숙한 상태다,
'기초 평가'의 구체적 예로, 얼핏 보고도 친구와 적을 구별하는 능력을 보자,
이 능력은 위험한 세상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을 높이는데, 이런 전문 능력은 계속 진화해왔다.
프린스턴 대학의 내 동료 알렉스 토도로프(Alex Todorov)는 낯선 대상과 소통하기 전에
안전성을 빠르게 판단하는 행위의 생물학적 뿌리를 연구했다.
그는 우리가 낯선 사람을 얼굴만 흘끗 한번 보고도 두 가지 중요한 특징을 평하하는 능력을 타고났다고 주장했다.
그 사람의 의도가 호의적인지 악의적인지 간에
그가 얼마나 신뢰할 만한 사람이고 얼마나 지배적인(따라서 잠재적으로는 위협적인) 사람인가 하는 것이다.
우선 얼굴 윤곽은 지배력을 평가하는 실마리가 되는데, '강인한' 각진 턱도 그중 하나다.
얼굴 표정(웃는지, 찡그리는지)은 낯선 이의 의도를 평가하는 실마리다.
각진 턱에 입꼬리까지 처졌다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신호다.
하지만 '얼굴 읽기'는 대단힌 부정확해서, 턱이 둥글다고 해서 온순하다고 단정할 수 없으며,
웃음은 (어느 정도는)가짜일 수 있다.
그러나 낯선 이를 평가하는 능력은 불완전할 지언정 생존률을 높이는데는 도움이 된다.
이런 태곳적 작동 체계는 현대사회에서 새롭게 쓰이는데,
이를 테면 사람들의 투표 방식에도 이 작동 체계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
토도로프는 학생들에게 남자 얼굴 사진을 10분의 1초 동안 스치듯 보여주고는
친근감이나 능력 같은 다양한 속성을 평가하게 했다.
학생들의 평가는 꽤 비슷햇다. 토도로프가 보여준 얼굴은 무작위로 고른 것이
아니라 정치인들이 선거운동에 사용한 사진이엇다.
토도로프는 실제 선거 결과와 프린스턴 학생들의 능력 평가를 비교했다.
학생들은 정치적 맥락을 모른 채 사진만 순간적으로 보고 평가를 내렸다.
그 결과 상원의원, 하원의원, 주지사 선거 당선자의 약 70퍼센트는 학생들의 능력 평가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 놀라운 결과는 핀란드 총선에서도, 잉글랜드 지역의원 선거에서도,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맥시코의 다양한 선거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적오도 내게는) 놀랍게도 토도로프의 연구에서 친근감 평가보다 능력 평가가 선거 결과와 훨씬 더 가까웠다.
토도로프는 사람들이 강인함과 신뢰성이라는 두 가지 차원을 결합해 능력을 평가한다는사실을 발견했다.
능력 있어 보이는 얼굴은 강인한 턱에 자신감을 띤 희미한 미소가 번진 얼굴이다.
이런 얼국 특징이 실제로 정치인의 공직 수행 능력을 예견한다는 증거는 없다.
그러나 선거에서 이긴 후보와 진 후보의 사진을 볼 때 나타나는 두뇌반응을 연구한 결과,
우리는 우리가 자치 있다고 여기는 특성이 부족한 후보를 거부하도록 생물학적으로 타고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선거에서 떨어진 후보는 더 강한 (부정적) 감정 반응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이 책 뒤에 나오는 '판단 어림짐작'사례에 해당한다.
유권자는 각 후보에게서 공직 수행 능력을 가늠할 만한 인상을 찾으려 애쓰면서,
빠르게 저절로 이루어지는 더 단순한 평가에 의존하는데,
시스템2가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평가다.
정칙학자들은토도로프의 연구를 발전시켜,
시스템1의 즉흥적 호불호에 특히 영향을 많이 받은 것 같은 유권자 부류를 찾아냈다.
이들은 정치에 관한 정보가 별로 없고 텔레비전을 많이 보는 유권자들은 어떤 점을 눈여겨보는지 알아냈다.
예상대로, 얼굴에 나타난 능력이 투표에 미치는 효과는
어느 정도 정보가 있고 텔레비전을 덜 보는 사람보다 정보가 거의 없으면서
텔레비전을 많이보는 사람에게서 세 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1의 상대적 중요성은 사람마다 다른 게 분명하다.
이런 개인차를 보여주는 사례는 앞로도 더 살펴볼 것이다.
시스템1도 물론 언어를 이해한다.
언어 이해는 사건을 지각하고 메시지를 파악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수행하는기초 평가에 의지한다.
기초평가에는 유사성과 대표성을 계산한다든가, 인과관계를 탐색한다든가,
연상 작용이나 전형적인 본보기를 이용할 수 있는지 따져본다든가 하는 행위가 포함된다.
이런 평가는 머릿속에서 특별한 준비를 하지 않아도 수행된다.
평가 결과는 그런 작업이 요구한 겻들을 충족하는데 쓰이지만,.
기초 평가 대상은 많지만, 평가 가능한 모든 속성을 평가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그림 7〉을 흘끗 한번 보자,
얼핏 보아도 곧바로 그림의 여러 특징이 머릿속에 들어온다.
탑 두 개는 크기가 똑같고, 왼쪽 탑과 가눙데 불록 조합은 그다지 앎지 않았지만
왼쪽탁과 오른쪽 탑은 많이 닮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왼쪽 탑의 블록개수와 가운데 바닥에 있는 블록 개수가 똑같다는 사실은 금세 눈치재지 못하고,
가운데 블록으로 탑을 만들면 높이가 어느 정도일지도 감을 잡지 못한다.
블록 개수가 같은지 확인하려면 일일이 세어보아야 하는데,
그것은 시스템2만 할 수 있는 일이다.
14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