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2월 필기를 준비하여 기사와 산업기사를 합격했지만, 기사 실기 교재를 보고 어렵다는 생각이 들어 산업기사를 준비하면서 교수님의 강의를 여러번 들었습니다. 산업기사 위주로 공부하다 보니 1회 기사는 쉬운난이도에도 불구하고 32점을 맞았고, 산업기사는 어려웠다고는 했는데 58점으로 낙방의 고배를 마셨습니다. 그러나 거기에 굴복하지 않고 다시 공부에 매진하였습니다. 다시 교재와 동영상을 반복학습하였습니다. 이번에는 기사 교재를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10~15회 반복하였습니다.
2회 기사 시험 문제지를 받는 순간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사교재를 거의 10회 반복학습했지만 응용력이 부족하여 47점을 획득하였습니다. 그러나 교수님의 교재와 강의를 매일 반복학습한 결과 산업기사는 75점으로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3회 기사에서는 79점으로 합격했습니다. 합격수기에 보면 50대외 비전공자란 말을 많이 들었은데 져도 50대, 비전공자, 인문계열 졸업자이며 현재 직장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없는 시간을 활용하면 충분히 합격 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그리고 몇자 더 남길까 합니다.
1. 비정공자는 합격으로 가는 길은 모르니 선배들이 학습한 결과인 교수님의 교재와 동강을 바이블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 시험마다 난이도가 있어 합격율이 널뛰기를 합니다. 한 번 실패했다고 좌절하지 말고 계속 도전한다면 합격하는것도 그리 어렵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2차 기사 시험을 보면서 공무원 시험에 합격했을때보다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3회 기사는 평이하게 출제되었고요.
3. 건축설비 시험의 결과를 보면 기사가 산업기사 보다 더 취득하기 쉬운것 같아요? 이번에 합격하지 못한 많은 동료분들도 다음 시험에서는 져와 같이 기사시험에 합격하여 수기를 올렸으면 합니다.
첫댓글 coolmoo님..축하드립니다..
한해에 기사..산업 모두 취득하셧네요..
마음 깊은 절절한 합격수기 감사합니다..
설비는 비전공자에게 어려운 분야 이지만..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면 좋은 결과가 기다립니다..
전공자들은 학교에서 몇년을 공부합니다..
그걸 생각하면 실기 수험 공부는 빠르게 마치는 거지요 ㅎ
모든 분들이 좋은 결과를 얻기를 응원합니다..
그리고 제 강의와 함께하여 좋은 결과 얻게 되어 더 감사드립니다..
설비 쟁이로 더욱 건승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