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客裡鬪寒我㝡先
나그네 추위와 싸움이 내 급선무
喫貧生活動經年
가난한 생활 힘들게 해를 보내네. 1)
紅軍動亂傾天下
공산군 난동이 온 세상을 뒤집어
白首求安至海邊
늙은인 안전 찾아 바다까지 왔네.
身托家孫官舍食
손자에게 의탁해 관사에서 먹고 2)
魂遊國祖故園眠
꿈속에선 단군 노니시는 옛 동산. 3)
鬩墻本是招隣侮
집안싸움 본디 이웃모멸 부르니 4)
赤禍浸浸自北燕
붉은 물은 중국에서 스며들었네. 5)
_____
1) 끽빈(喫貧): 심한 가난을 겪음.
2) 관사식(官舍食): 관사는 정부가 제공하는 관리가 사는 집에서 숙식(宿食)한다는 뜻, 여기 관사는 시인이 지금 해군인 손자가 사는 진해(鎭海)의 군인관사에서 산다는 말이다.
3) 혼유국조(魂遊國祖): 국조, 단군시조의 혼이 노니시는 옛 동산에서 잠자며 꿈을 꾼다는 의미이다.
4) 혁장(鬩墻): 울타리 안에서의 분쟁, 곧 집안싸움. 집안의 형제끼리 싸움이 바깥 이웃의 모멸(侮蔑)을 불러들인다는 말로 6.25전쟁이 우리끼리 싸움에 중국 소련이 끼어들고 연합군이 참여했다는 은유.
5) 적화(赤禍): 공산당의 재난. 북연(北燕)은 옛날 연(燕)나라가 있던 북경 일대를 말하니 지금의 중국공산주의 나라다. 그 붉은 공산당의 재난이 중국에서부터 스며들어왔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