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08. 07.
유가瑜伽와 Yoga
2014. 12. 11. UN에서 6월 21일을 세계 Yoga의 날 지정
2015년 제1회 기념식
정리; 쌍계암 삼소굴 閑主 相民 시자
시자侍者; 부처님 가르침에 의지하여 명상 간경하는 이.
스님(僧); 부처님 가르침 대로 계율을 지키고 수행하는 출가 수행자.
불교 수행
----------------
※ 불교에서는 명상을 유가瑜伽(Yoga)라고 한다.
Yoga는 BC 300(200~500)년쯤, 인도의 6파 철학의 하나인 현자 Patanjali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하며, 《요가수트라 Yoga Sutra》에서 말하는 명상과 불교의 유가(수행) 방법은 차원이 다르다.
불교에서는 깨달음에 이르는 전 과정을 수행 修行이라고 하지, 이를 명상 瞑想이라고 하지 않는다. 이러한 수행하는 장소를 아란야 āranya라고 하며, 이는 곧 고요한 수행 장소를 말한다.
인도철학은 6파철학(①니아야·②바이셰시카·③상키야·④요가·⑤푸르바미망사·⑥베단타 학파)과 불교, 자이나교로 분류된다.
- 3개<영혼(ātman)·업(karma)·해탈> 기본 개념으로 형성
Yoga에는 일체 해탈을 구현하려는 라자요가 Raja-Yoga와 질병 치료와 신체 조련 즉 대부분 요가학원에서 이뤄지는 하타요가 Hatha-Yoga(數息)로 구분되며,
요가수트라 Yoga Sutra는 4장 195 수트라로 구성
- 상키아Samkhya ≒ Yoga
1장 51경 삼매(삼매품 Ssmadhi-pada) 요가 수행이 추구하는 목적
1경; 이제 요가의 교시가 시작된다.
2경; 요가란 마음이 작용을 억제하는 것이다.
2장 55경 수단(實修품 Sadhana-pada) 요가 목적을 달성하는 수행법
3장 55경 초능력(自在品 Vidhuti-pada)수행 과정에 나타나는 초능력
4장 34경 독존(獨存品 Kaivalya-pada) 목적과 방법의 철학적 원리론
브라만의 범아梵我 一如 사상
우주의 근원 브라흐만(Brahman 梵)과 개인의 나 아트만(Atman 我)은 동일하며, 지금의 우리 행위는 전생의 업 카르마(Karma 業)에 의하여 이뤄지고, 이 결과는 미래를 결정한다는 윤회 사상 발생
《명상 冥想 Meditation》
한자를 창안한 중국에서조차도 Yoga를 명상(meditation)이라 번역하지 않고 유가 瑜伽라고 음역하였다. 朱伯庐(1627~1698)는 《治家格言》에서 “须平心遭暗想 ‘모름지기 평심을 얻으려면 암상(暗想; 생각을 고요하게 하는 것)을 하여야 한다’.”에서, 처음으로 암상暗想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
명상 冥想이라는 한자 단어 표기는 한국·일본이다.
불교에서 유가(瑜伽 yoga)라는 것은, 화엄경·반야경·대승본생심지경을 비롯, 미륵보살이 설하고 무착(300~390)이 기록했다는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Yogācārabhūmi-śāstra》 등에서 살펴볼 수가 있다. 특히 이 100권의 《유가론》은 부파불교를 상징하며, 오백아라한(가전연)이 지었다는 전체 200권 분량의 《아비달마대비바사론 阿毘達磨大毘婆師論》과 대승불교의 씨앗이라 부르는 용수(150~250)의 《대지도론 大智度論》을 통해 대승불교가 열매를 맺게 되는 중요한 논서이다.
요가사/유가사瑜伽師란 무엇인가
삼승의 행이라는 것은 문(聞)ㆍ사(思) 등으로 말미암아 차례대로 이와 같은 유가를 익히고 행하여 분수에 따라 만족히 하고 더 나아가 모든 유정을 조화시키기 때문에 ‘유가사’라고 한 것이다. 且略說三乘行者。由聞思等,次第習行如是瑜伽,隨分滿足,展轉調化諸有情故,名瑜伽師。
혹은 모든 여래가 유가를 증득하여 원만히 하고, 그 응하는 바에 따라서 이 유가를 지니고서 모든 성제자들을 조화시켜 그들이 차례대로 바른 행위를 닦게 하기 때문에 유가사라고 한다.或諸如來證瑜伽滿,隨其所應,持此瑜伽,調化一切聖弟子等,令其次第修正行故,名瑜伽師。
< 사족 >
우리나라 사찰 가운데 YOGA의 효시가 되는 사찰은
대구 달성 비슬산에 있는 유가사이다.
즉 한국불교 명상의 성지라고 볼 수가 있다.
사찰의 명칭은 미륵보살의 지은 유가사지론 瑜伽師地論의 유가 瑜伽에서 비롯된다.
오늘날 명상冥想이라는 단어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만 사용되는 한문 표기이다.
중국에서는
명상이라 하지 않고, 인도의 YOGA를 음역하여 요가瑜伽라고 표기하고 있다.
불교의 요가는 사마타, 삼마발제, 선나禪那로 표기된다.
간화선의 선禪과는 차원이 다르다.
그런데 아쉬운 것은 사찰 소개에서는
유가 瑜伽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다.
우리나라의 최초의 명상 사찰은 바로 이곳 유가사임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유가 瑜伽라는 표기는 본래 인도의 YOGA를
중국어로 음역하여 요가瑜伽라고 한 것 처럼
현재의 유가사瑜伽寺 표기를, 요가사 瑜伽寺로 하는 게 옳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