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군자탕(四君子湯)、칠미백출산(七味白朮散)、오미이공산(五味異功散)、육군자탕(六君子湯)
치(治)
면색위백面色痿白, 언어경미言語輕微, 사지무력四肢無力, 맥래허약자脈來虛弱者. 약내상허열若內傷虛熱, 혹음식난화작산或飮食難化作酸, 수가포강須加炮薑.
사군자탕은 얼굴색이 윤기 없이 창백하고, 말소리가 적고, 사지가 힘이 없고, 맥이 오는 것이 허약한 것을 치료한다. 만약 내상으로 허열이 있고, 혹 음식을 소화하기 어렵고 신물이 나면 반드시 포한 건강을 가한다.
인삼人參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각이전各二錢 가강加薑ㆍ조棗, 수전복水煎服.
인삼, 백출, 복령, 감초 각 2돈씩에 생강과 대추를 가하여 물에 달여 복용한다.
가목향곽향갈근加木香藿香葛根 위칠미백출산爲七味白朮散.
목향ㆍ곽향ㆍ갈근을 더하면 칠미백출산이 된다.
가진피加陳皮, 위오미이공산爲五味異功散.
진피를 더하면 오미이공산이 된다.
가진피반하加陳皮半夏, 위육군자탕爲六君子湯.
진피ㆍ반하를 더하면 육군자탕이 된다.
가곽향사인加藿香砂仁, 위향사육군자탕爲香砂六君子湯.
곽향ㆍ사인을 더하면 향사육군자탕이 된다.
집주(集註)
장로왈張璐曰 : 기허자氣虛者, 보지이감補之以甘, 삼출령초參朮苓草, 감온익위甘溫益胃, 유건운지공有健運之功, 구충화지덕具冲和之德, 고위군자故爲君子. 개인지일생蓋人之一生, 이위기위본以胃氣爲本, 위기왕즉오장수음胃氣旺則五藏受蔭, 위기상즉백병총생胃氣傷則百病叢生.
장로(張璐)가 말하기를, 기가 허하면 감미로 보해야 한다. 인삼, 백출, 복령, 감초의 감온(甘溫)한 성질은 위(胃)를 좋게 하여, 건운지공(健運之功)이 있고 충화지덕(冲和之德)을 갖추니 고로 군자(君子)라고 한다. 대개 사람의 일생은 위기(胃氣)를 근본으로 하니 위기(胃氣)가 왕성하면 오장이 도움을 받고 위기(胃氣)가 상하면 온갖 병이 마구 생긴다.
고범구허불유故凡病久虛不愈, 제약불효자諸藥不效者, 유유익위보신양도惟有益胃補腎兩途. 고용사군자故用四君子, 수증가감隨證加減, 무론한열보사無論寒熱補瀉, 선배중토先培中土, 사약기사달使藥氣四達, 즉주신지기운유통則周身之機運流通, 수곡지정미부포水穀之精微敷布, 하환기약지불효재何患其藥之不效哉! 시지군자위사명지본야是知君子爲司命之本也.
그러므로 병이 오래되어 허하여 낫지 않고 여러 가지 약이 효과가 없는 모든 병은 오직 익위(益胃)와 보신(補腎)하는 두 가지 방법만이 있다. 그러므로 사군자탕을 증상에 맞게 가감하여 사용하고, 한열보사를 막론하고 중토(中土)를 북돋우어 약기운이 온 몸에 두루 퍼지게 하면 온몸의 기운이 잘 흘러 소통되어 수곡의 정미로운 기운이 널리 퍼지니, 어찌 그 약이 효과가 없을까 걱정하겠는가! 이것으로 사군자탕이 생명의 근본을 감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오곤왈吳琨曰 : 부면색위백夫面色痿白, 즉망지이지기기허의則望之而知其氣虛矣. 언어경미言語輕微, 즉문지이지기기허의則聞之而知其氣虛矣. 사지무력四肢無力, 즉문지이지기기허의則問之而知其氣虛矣. 맥래허약脈來虛弱, 즉절지이지기기허의則切之而知其氣虛矣. 여시즉의보기如是則宜補氣.
오곤(吳琨)이 말하기를, 무릇 면색이 위백(痿白)한 것을 보면 그 기가 허약한 것을 알 수 있고, 말소리가 작고 힘없는 것을 들으면 그 기가 허한 것을 알 수 있고, 사지에 힘이 없는가 물어서 그 기가 허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맥이 오는 것이 허약한 것을 잡아 보면 그 기가 허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다면 마땅히 기를 보해야 한다.
시방야是方也, 사약개감온四藥皆甘溫, 감득중지미甘得中之味, 온득중지기溫得中之氣, 유지불편불의지인猶之不偏不倚之人, 고명군자故名君子.
이 처방은 4가지 약물들이 모두 감온(甘溫)하니, 감미(甘味)는 중앙의 미를 얻은 것이고 온성(溫性)은 중앙의 기를 얻은 것이다. 비유컨대 기울어지지 않고 편벽되지 않은 사람과 같으니, 군자라고 이름한다.
안(按)
본방가진피本方加陳皮, 각오미이공산名五味異功散, 치기허이겸기체자治氣虛而兼氣滯者;
본 처방에 진피를 더하면 오미이공산이라 하니, 이것은 기허(氣虛)와 기체(氣滯)를 겸하여 치료한다.
재가반하再加半夏, 명육군자탕名六君子湯, 치기허이겸담음자治氣虛而兼痰飮者;
다시 반하를 더하면 육군자탕이라고 하니, 기허와 담음을 겸하여 치료한다.
재가사인곽향再加砂仁藿香, 명향사육군자탕名香砂六君子湯, 치기허이겸구토자治氣虛而兼嘔吐者.
다시 사인과 곽향을 더하면 향사육군자탕이라고 하니, 기허와 구토를 겸하여 치료한다.
차개보중유소도지의야此皆補中有消導之意也.
이것은 모두 속을 보하여서 소화시켜 내보내려는 것이다.
첫댓글 추운 날씨에 사군자탕 한잔하면 추위가 샥 가실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