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와 무더위가 심합니다.
잠시만 일을해도 온 몸이 땀으로 넘쳐 흐립니다.
마치 소나기 맞은 것처럼...
오늘은 수위조절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고자 합니다
수위조절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흔히 사용하는 방법이 전극봉입니다.
전극봉은 못 보신 사람을 위해서 사진을 보여드리면...
대표사진 삭제
전극봉
전극봉은 보면 장축, 중간축, 짧은축 3가지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이 전극봉을 수영장의 물높이에 따라 배관내부에 물이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곳에 척 담가 놓습니다
전극봉은 각기 떨어져 있기 때문에, 공간에서는 서로 연결되지 않습니다.
이 상태는 물이 채워져 있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물의 채워야 하는 신호와 동일합니다.
물이 채워져 전극봉의 장축과 가장 짧은측에 물에 의해 접촉이 되면, 미세한 전기가 흐릅니다.
이럴 때 이 접촉점을 가지고 수영장의 담수량이 만수위임을 알게됩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기기가 전자접촉기와 Floatless 기기입니다.
Floatless switch 다음과 같은 장비입니다
대표사진 삭제
Floatless Switch
Floatless 스위치는 이 상황을 알려주고, Magnet connector라는 전자접촉기를 통해
전기를 흐르게 합니다.
물이 만수위면 전동밸브 또는 솔밸브를 닫어 버리고, 물이 채워져있지 않으면
밸브를 Open하여 물이 채워지게 하는 방법입니다.
아마 이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할 것입니다.
하지만 전극봉은 가장 큰 문제점이 있습니다. 소금염소 분해기를 사용하는 경우, 염분이 있어
철로된 전극봉을 녹슬게 합니다. 녹이 슬면 오작동을 이르킵니다. 빈 공간에 있어도 서로 접촉된 것처럼
전기신호를 줍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Top Ball 입니다 화장실의 변기에 있는 것도 Top Ball입니다만
수영장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Top Ball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물 높이에 따라 추가 올라가고 내려가면서 물의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를
알려줍니다. 즉 추의 하단에 sensor 또는 상단에 sensor가 있습니다.
이 센서와 접촉상태를 Floatless 기기에 전달하여 주고, Floatless 기기은
전자 접촉기로 전기를 흐르게 하거나, 멈추게 하여 전동모터의 가동/정지를
결정하게 합니다.
이 방식은 수영자의 염분에 관계없이 운영이 가능합니다.
3번째 방식은 이런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수도꼭지를 연결하여
오뚜기 또는 Ball top이 내려가고 올라가는 것에 따라 수도꼭지가 개폐되는 방식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 부분이 패키지되어 공급되고 있는데 그 제품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수위조절기
측면에 수도를 연결하게 되어있고, 바닥 또는 다른 측면에 수영장의 물이 들어와서
수영장의 수위를 알려줍니다. 수영자의 수위가 낮으면 Ball top이 내려가서 (화장실의 부레처럼...)
측면에 연결된 수도물이 수영장에 인입되게 되어 있습니다.
전기신호로 가동하는 것보단 고장이 덜 나고, 안정적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수영장 골조공사할 때 이 기구를 매립하여야 하고, 고장이 나면 철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사항이 발생합니다.
이 방법보다 좀 간편한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소형 Ball top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모형을 보면....
대표사진 삭제
Ball Top형 수위조절기
Ball Top 형 수위조절기는 물에 접촉이 되면 물공급 배관이 자동으로 닫힙니다.
참 고민을 많이 한 사람들의 제품인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활용하면 간단한 수위
조절 기능이 됩니다. 거의 완벽한...
그 적용 사례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제품만 소개를 해 주었는데 펜션주가 스스로 구입하여 연결하여 운영 중입니다.
수영장 Trench에 설치되어 있는데, Overflow 수위를 감지하여 물을 자동 공급하고 있는 방식입니다.
Trench까지 물의 공급배관을 끌어다 연결만 해 주면 됩니다. 문제되면 작은 Ball top이니 이것만 교체하면
간단히 문제가 해결됩니다.
수위조절 방법등은 다양합니다.
수위를 무선으로 인지하여 관리하는 방식(미국놈들의 한 방식), 패키지화된 수위조절기를 매립하는 방식
또는 커다란 Ball Top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식 또는 맨 마지막 사례처럼 경제적인 방식으로 운영하는 방식 등...
비용은 위에서 부터 가장 비싸고, 맡으로 내려갈 수록 저렴합니다.
결론적으로 정답은 없습니다.
각기 상황에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