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Legacy 시스템으로부터의 탈피를 추진
정보 통신 분야에서는 legacy(노후화) 시스템이라 불리는 기존의 정보 시스템 기능 불완전에 빠져드는 리스크가 지적되고 있다.
왜냐하면, IT의 전성기에 구축된 legacy 시스템에서는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big data를 다 활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까운 장래, legacy 시스템이 전체기업의 시스템의 절반 이상을 점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DX를 추진하는 것으로 인해, 시스템의 쇄신을 진행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덧붙여 말하면, 일본 기업의 IT 관련 투자의 대부분은 현행 업무의 유지나 운영에 맞춰져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이제까지는 산업별로 단순한 analog적인 supply chain이 구축되어, 이것이 구식의 정보 시스템으로 지지되고 있었다. 구식이라고도 해도, 시스템이 한번 완성되어 나름대로 기능을 하고 있으면, 최신 시스템으로 갱신하는 것은 어렵에 된다. Scratch(완전 신규) 개발에 종사하였던 인재의 대부분이 현장으로부터 사라지고, legacy 시스템에 의한 절벽의 문제가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 이미 완성되어 버려 있는 구식의 supply chain으로부터 최첨단의 supply chain으로, 어떻게 자연스럽게 이행되어 갈지가 큰 과제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제까지의 supply chain의 정보 무장에는 막대한 코스트가 들었다. 하지만 최근은 cloud computing이나 edge computing 등의 발전과 보급으로 보다 고도의 supply chain의 정보 기반 구축이 이전보다도 낮은 코스트로 가능하게 되었다.
덧붙여 말하면, cloud native(cloud형 base)으 물류 정보 지원 시스템의 도입 등에도 주목이 집중되고 있다. 물류와 정보의 링크가 보다 밀접하게 된다. AI 무장된 차세대형의 TMS(수배송 관리 시스템)이나 WMS(창고 관리 시스템)의 신속한 도입의 필요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이다.
요점 BOX 차세대 물류 DX platform의 도입이 급선무 Black box화 한 legacy 시스템의 결함에 대응 |
* Legacy 시스템: 낡은 기술이나 방법론, 컴퓨터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 현대까지도 남아 쓰이는 기술을 부르는 말일 수 있지만 더 이상 쓰지 않더라도 현대의 기술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포함한다. 따라서 공생해야 하거나 기반이 되는 오래된 시스템을 주로 뜻한다.
<물류 시스템과 logistics 최적화>
Logistics Management System (LMS) 물류계획, 물류 작업 진척관리, 물류 코스트 계획 등의 지원 시스템
창고관리 시스템 창고 내 작업의 최적화를 추진. WES(창고 운용관리 시스템), WCS(창고 제어 시스템)과의 링크
수배송 관리 시스템(TMS) 배차계획, 운행 관리 등을 지원하고, 수배송 루트의 최적화를 추진 |
<WMS의 역사>
#legacy시스템 #노후화 #DX #analog #scratch #클라우드컴퓨팅 #엣지컴퓨팅 #클라우드네이티브 #TMS #WMS #L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