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3화음,부3화음의 중복과 생략
현악기(String) 편성하기
클래식 화성학(2)
(1) 중복과 생략
- 코드의 구성음이 3개인 Triad 코드는 구성음이 1음, 3음, 5음 세 개의 음으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Triad 코드를 4성으로 편성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음이 중복되어야 합니다.
- 성부 진행을 원할히 하기 위해 어떤 하나의 음을 생략해야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 주3화음과 부3화음에서의 중복과 생략은 다릅니다.
① 주3화음의 중복과 생략
- 주3화음은 토닉(Ⅰ), 섭도미넌트(Ⅳ), 도미넌트(Ⅴ)의 기능을 하는 중요한 3개의 코드입니다.
- 주3화음의 1음은 코드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음입니다.
▸중복 좋음 (◎), 생략 불가 (×)
- 주3화음의 3음은 코드의 성격을 결정짓는 중요한 음입니다.
▸중복 불가 (×), 생략 불가 (×)
- 주3화음의 5음은 가장 역할이 작은 음입니다.
▸중복 가능 (○), 생략 가능 (○)
② 부3화음의 중복과 생략
- 부3화음은 주3화음을 제외한 ⅱ, ⅲ, ⅵ, ⅶ∘ 코드입니다.
- 부3화음을 사용할 때에는 그 목적이 있어야 합니다.
▸대리 기능
부3화음은 주3화음의 대리 기능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ex> Ⅰ대신 같은 토닉 기능의 ⅵ 사용
C Major Key에서 C코드(Ⅰ) 대신 Am코드(ⅵ) 사용
▸주3화음과 연속 사용
부3화음은 주3화음과 연속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ex> Ⅰ 다음에 같은 토닉 기능의 ⅵ 사용
C Major Key에서 C코드(Ⅰ) - Am코드(ⅵ) 연속 사용
▸5도권 진행
부3화음은 5도권 진행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ex> ⅱ - Ⅴ 진행
Ⅳ-Ⅴ초강진행에서 Ⅳ대신 같은 섭도미넌트기능의 ⅱ를 사용하여 5도권 강진행 사용
C Major Key에서 Dm코드(ⅱ) - G코드(Ⅴ) 사용
- 부3화음의 1음은 코드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음입니다.
▸중복 가능 (○), 생략 불가 (×)
- 부3화음의 3음은 주3화음의 1음에 해당하는 음입니다.
▸중복 좋음 (◎), 생략 불가 (×)
- 부3화음의 5음은 주3화음의 3음에 해당하는 음입니다.
▸중복 불가 (×), 생략 불가 (×)
부3화음은 주3화음의 대리기능으로 사용합니다. ⅱ, ⅵ 화음은 주3화음의 1, 3음을 포함하므로 대리 기능으로 완전히 적합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합니다. 따라서 대리 기능으로 완전히 적합한 그리고 많이 사용하는 부3화음 ⅱ,ⅵ 화음을 기본으로 하는 중복과 생략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주3화음의 3음, 5음을 포함하는 ⅲ, ⅶ°도 있는데요. 부3화음 ⅲ에 대한 내용은 다음 강의를 참고하세요. 부3화음ⅶ°은 1음이 이끈음이므로 꼭 해결을 요구하기 때문에 기본위치로는 잘 사용하지 않는 코드라서 언급을 안합니다. (너무 어렵고 잘 사용하지 않는 코드이므로 강의에서는 제외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