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Corinthians 고린도전서 9장 (바울이 포기한 사역자의 권리장전을 권리창출로 만든 종님은 싻꾼이다)
NLT 출처 http://www.biblestudytools.com/nlt/1-corinthians/9.html
NLT 듣기 http://www.biblestudytools.com/nlt/1-corinthians/9-audio.html
https://www.bible.com/bible/116/1CO.9.NLT
개역개정 http://kcm.co.kr/bible/kor/1co9.html
1 Am I not as free as anyone else? Am I not an apostle?
Haven’t I seen Jesus our Lord /with my own eyes?
Isn’t it because of my work //that you belong /to the Lord?
1 Am I 나는 not as free 자유롭지 않느냐 as anyone else 다른 이처럼?
Am I 나는 not an apostle 사도가 아니냐?
Haven’t I 나는 seen 본 적이 없느냐 Jesus our Lord 예수님을 with my own eyes 내 자신의 눈으로?
Isn’t it 그건 because of 때문이 아니냐 my work 내 노력 that 그건 you 너희가 belong 속한 것 to the Lord 주님께?
* it is~ that 절 강조용법으로 전치사구 because of my hard work이 강조됨
원문 you are in the Lord /because of my hard work.에서 전치사구가 강조되어 it is 뒤에 쓰임
* 보어인 형용사구 ; as free /as anyone else
* as A as B ; B처럼 A 하다
처음 as 는 형용사 free를 수식하는 부사 역할, 둘째 as는 전치사로 as anyone else는 free를 수식하는 부역 전치사구
as ; adv. 부사
1. To the same extent or degree; equally: The child sang as sweetly as a nightingale.
as; prep. 전치사
1. In the role, capacity, or function of: acting as a mediator.
2. In a manner similar to; the same as: On this issue they thought as one.
* The Voice 번역 ; Are you not my work, my mission in the Lord?
* work; something produced or accomplished by effort, exertion, or exercise of skill 노력의 산물
something that results from a particular manner or method of working, operating, or devising 일의 결과
* 형역 동격명사구 my mission in the Lord = my work; my work, (which is) my mission in the Lord
* 바울이 개척한 고린도 교회는 육질이 강해 별의별 죄가 다 있었고 그중 하나가 바울의 사도직을 부인하는 건데
바울은 청천벽력을 통해 예수님을 만나 천지개벽을 경험했고 예수님께 선택되어 모든 걸 똥처럼 버린 대 사도였다
2 Even if others think () I am not an apostle, I certainly am to you.
You yourselves are proof //that I am the Lord’s apostle.
2 Even if 비록 others 다른 이가 think 생각해도 (that) 절 내용을 즉 I 내가 am not 아니라고 an apostle 사도가,
I 나는 certainly 확실히 am 사도다 to you 너희에게.
You yourselves 너희들 자신이 are proof 증거이다 that 그건 I 내가 am the Lord’s apostle 주님의 사도라는 것.
* Even if ; despite the fact that.
* I certainly am (an apostle) to you.
* 강조사로 쓰인 재귀 대명사 yourselves
* Apostle ; any of the 12 disciples chosen by Jesus Christ. The term is sometimes also applied to others,
especially Paul, who was converted to Christianity a few years after Jesus’ death.
예수 그리스도께서 친히 임명하신 제자들을 사도라 부르는데 주께서 친히 임명하신 것은 아니지만
배반한 제자 유다를 대신하여 신자들의 추천과 추첨선출로 맛디아가 12 사도 사역에 참여하었으나
바울된 사울은 예수님께서 다메섹 도상에서 이방인의 사도로 특별히 선택하신 특별한 대 사도이다
3 This is my answer /to those //who question my authority.
3 This 이것이 is my answer 나의 답변이다 to those 그들에게 who 그들 question 의심한 my authority 내 권한을.
* 형역전구 /to those //who question [my authority]; 명사인 answer 수식
* 동사로 쓰인 question ; 3. To express doubt about; dispute:
* 목적인 명사구 [my authority]
* The Voice 번역
Let me speak /in my own defense /against those /keeping themselves busy /picking me apart.
* 형역전구 /against those /keeping themselves busy /picking me apart; 앞 명사 수식/설명
* 분사구 수식관계
those (who are) /keeping themselves busy, those (who are) /picking me apart
* 분사는 시제를 표시할 수 없는 준동사이기에 정형 동사로 고칠 경우 문맥이나 주절의 시제와 맞추어 주어야 함
those who has been kept themselves busy and picked me apart. 계속해온 경우는 완료
those who keep themselves busy and pick me apart. 사실이거나 습관적으로 하는 경우는 현제형
those who are keeping themselves busy and picking me apart. 지금 하는 중이면 진행형으로 함
* 모세가 하나님과 직대면 교제하며 기적을 행 함으로 지도자 권한을 증명했듯 바울도 성령님+능력으로 증명했고
고라가 모세의 권한권위에 도전한 것처럼 고린도에 나타난 가짜 사도의 회유로 교인들이 바울의 권위에 도전했다
4 Don’t we have [the right to live in your homes and share your meals]?
4 Don’t we 우린 have 없느냐 the right 권리가 to live 살고 in your homes 너희 집에서 and (to) share 나눌
your meals 너희의 음식을?
* 목적인 명사구 [the right /to live /in your homes and (to) share your meals]
* 형역 부정사구 /to live /in your homes and (to) share your meals
* 복음의 가치를 모르기에 복음의 일꾼 바울을 홀대하듯 많은 신자들이 예수님의 참 가치를 모르니 30 냥에 파나
예수님이 누구신지를 진짜로 알면 바울처럼 다른 모든 걸 똥처럼 버리고 궁핍해도 예수님 만으로 만족/기뻐한다
5 Don’t we have the right to bring a believing wife with us
/as the other apostles and the Lord’s brothers do, and as Peter does?
5 Don’t we 우린 have 없느냐 the right 권리가 to bring 데려올 a believing wife 믿는 아내를 with us 우리와 함께/동행하여
/as the other apostles 다른 사도들과 and the Lord’s brothers 주님의 형제들이 do 하듯, and as Peter 베드로가 does 하듯?
* 요즘은 있는 entitlement 받을 자격은 물론 없는 자격도 주장하나 바울은 있는 자격도 예수님을 위해 포기했었는데
싻꾼 종님은 생계비생활비사역비교통비은퇴비등등 온갖 명목으로 양들을 착취하니 가난한 양들의 원망원성이 높다
6 Or is it only Barnabas and I //who have to work /to support ourselves?
6 Or is it 그것이 only 단지 Barnabas 바나바와 and I 나뿐이냐 who have to work 일 해야 하는 사람이
to support ourselves 우리 자신을 공급하기 위해?
* 부역 부정사구 /to support ourselves
* it is ~ that/who 절 강조법;
원문 [only Barnabas and I] have to work /to support ourselves. 에서 주어가 강조됨
* 교회에서 월급을 안 주면 사직할 목사분들이 많겠지만 어떤 가난한 목사님들은 바울처럼 일 하면서 교회를 섬긴다
7 What soldier has to pay his own expenses?
What farmer plants a vineyard and doesn’t have [the right /to eat some of its fruit]?
What shepherd cares for a flock of sheep and isn’t allowed to drink some of the milk?
7 What soldier 어떤 군인이 has to pay 지불해야 하냐 his own expenses 그 자신의 경비를?
What farmer 어떤 농군이 plants 심고 a vineyard 포도 과수원을
and doesn’t have 없느냐 the right 권리가 to eat 먹을 some of its fruit 그 열매의 얼마간을?
What shepherd 어떤 목자가 cares for 보살피고 a flock of sheep 양 떼를
and isn’t allowed 허락되지 않느냐 to drink 마시기가 some of the milk 우유 얼마간을?
* 형역인 what은 which나 any 뜻도 있기에 '어떤'으로 번역될 수 있고
부역은 how 의미다 ; What [=how] does it matter? (What [=how] does it matter에서 matter가 자동사인 때문)
* 누구나 일한 댓가를 받는 것이 당연한 일이라 무보수나 임금체불 열정페이는 하나님께서도 반대하신다
8 Am I expressing merely a human opinion, or does the law say the same thing?
8 Am I 나는 expressing 표현하고 있느냐 merely 단순히 a human opinion 인간의 견해를,
or 아니면 does the law 율법이 say 말하느냐 the same thing 똑같은 일을?
* 실제로 하는/하려는 일에 진행형을 쓰나 현재형 동사로 쓰면 습관적인 일이나 사실/진리 등을 설명하는 경우가 됨
* 인간의 견해가 진리가 못 되는 건 불완전 상대/한시적 피조물이기에 절대/완전/영원한 진리를 창조 못 하기 때문이고
성경적인 견해라도 신자의 사적인 해석이면 사견-비진리가 섞여 혼잡된 진리를 진리라고 선포하기에 신노름이 되는데
올바른 해석은 성경의 저자이시고 성자 하나님의 진리의 영이신 성령님을 통해서만 나올 수 있는 게 정상정석 정도이다
9 For the law of Moses says,
“You must not muzzle an ox /to keep it from eating as it treads out the grain.”
Was God thinking only about oxen /when he said this?
9 For 왜냐면 the law of Moses 모세의 율법이 says 말하기 때문이다,
“You 너희는 must not muzzle 입 막으면 안 된다 an ox 황소를 to keep 막으려 it 그걸 from eating 먹는 것으로부터
as 그때 it 그것이 treads out 타작할 때 the grain 곡식을.”
Was God 하니님께서는 thinking 생각하시느냐 only 단지 about oxen 황소에 관하여 when 그때 he 그분께서
said 말씀하셨을 때 this 이일을?
* 타동사구 tread out, 발로 밟아 털기
To press out with the feet; to press out, as wine or wheat. to tread out grain with cattle or horses.
* The Voice 번역 ; Is God’s concern here limited to oxen,
* 과분사 limited 는 수동 상태나 수동 동작 둘 중 하나로 볼 수 있음
God’s concern here is limited to oxen. 수동 상태; 황소에게 한정된
God’s concern here is limited to oxen. 수동 동작; 누군가가 황소에게 한정시킨
문맥상 수동 동작자를 부각해야 할 필요가 없다면 과분사를 수동상태의 형용사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함
* 예수님께서도 씨앗 비유를 말씀하실 때 농작물만의 얘기가 아니고 진리의 말씀이 심기고 성장하는 것을 의미하신다
10 Wasn’t he actually speaking to us?
Yes, it was written for us,
so that [the one //who plows and the one //who threshes the grain] might both expect a share of the harvest.
10 Wasn’t he 그분은 actually 실질적으로 speaking 말씀하시지 않으시냐 to us 우리들에게?
Yes 맞다, it 그건 was written 쓰였다 for us 우리를 위해서,
so that 그래서 the one 그 사람이 //who plows 밭 가는 and the one 그 사람이 //who threshes 타작하는 the grain 곡식을]
might both 둘 다 expect 기대하게 a share 지분을 of the harvest 수확의.
* 주어인 명사구 the one //who plows and the one //who threshes the grain 명+형절/주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주어)
* 목적인 명사구 [a share of the harvest] 명+형/전구
* 수동문에서 능동문의 주어 표시 /by those (whom/who) they serve.
능동문 [those (whom) they serve] should pay Christian workers.
* they = Christian workers
* 기천년 전에 하신 하나님 말씀이라도 영원하신 예수님의 말씀이고 현대도 들을 귀 있는 자에게 성령께서 말씀하신다
11 Since we have planted spiritual seed /among you,
aren’t we entitled to a harvest of physical food and drink?
11 Since 때문에 we 우리가 have planted 심었기 spiritual 영적인 seed 씨앗을 among you 너희 가운데,
aren’t we 우리가 entitled 권리가 있지 아니하냐 to a harvest 수확물에 대한 of physical 물리적/실질적인
food 음식과 and drink 마실 것의?
* To be entitled to something means you have been given the right to have or do something. 권리가 주어진
* 사람은 정신/마음/영혼의 생각/말/뜻대로 현실에 구현/심어 실제적 소득/산물을 얻으므로 시작은 '영혼'이듯
영이신 하나님께서 마음의 생각을 말씀하시니 천지간에 현실로 창조되었기에 모든 권리는 하나님께 속한다
12 If you support [others //who preach to you],
shouldn’t we have an even greater right to be supported?
But we have never used this right.
We would rather put up with anything than be an obstacle to the Good News about Christ.
12 If 만약 you 너희가 support 지원한다면 others 다른 이를 who 그는 preach 설교하는 to you 너희에게,
shouldn’t we 우린 have 가져야 하지 않느냐 an even greater right 더 큰 권리를 to be supported 지원받을?
But 그러나 we 우린 have never 결코 used 사용하지 않았다 this right 이 권리를.
We 우린 would rather 차라리 put up with 감수하겠다 anything 어떤 것이라도
than be an obstacle 방해가 되는 것 보다도 to the Good News 복음에게 about Christ 그리스도께 대한.
* 목적인 명사구 others //who preach to you, an even greater right to be supported
* 타동사구 put up with ; tolerate or endure something.
* 바울은 복음이 방해받지 않도록 정당한 권리조차 포기하였는데 장사꾼 싻꾼들은 복음을 팔아 자기 배만 채우니
바울이 포기한 사역자의 권리장전을 권리창출로 포장한 종님은 싻꾼이라 가난한 신자들의 살을 찟고 먹는 늑대요
신자도 당연히 취할 권리를 예수님을 위해 포기 안하고 신자끼리 물고 뜯으면 그 늑대에 그 늑대니 피차 패망한다
13 Don’t you realize that [those //who work in the temple] get their meals from the offerings /brought to the temple?
And [those //who serve at the altar] get a share of the sacrificial offerings.
13 Don’t you 너희는 realize 깨닫지 못하느냐 that 절 내용을 즉 [those 그들은 who work 일하는 in the temple 성전에서]
get 얻는다는 걸 their meals 그들의 음식을 from the offerings 헌물로부터 brought 가져온 to the temple 성전으로?
And [those 그들은 who serve 봉사하는 at the altar 제단에서] get 얻는다는 걸 a share 지분을
of the sacrificial offerings 희생 제물의.
* 주어인 명사구 those //who work in the temple 명+형절/주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주어)
* 부역전구 from the food /brought to the Temple /as offerings 전치사+명+형/분사구/형/전구
* 형역 분사구 /brought to the temple 과분사의 수동 주체인 offerings 수식
* 레위인들은 성전에서 봉사하고 하나님께 바친 헌물로 살도록 하나님께서 정하셨다 (민수기 18장 참조)
14 In the same way,
the Lord ordered that [those //who preach the Good News] should be supported /by those //who benefit from it.
14 In the same way 같은 방식으로,
the Lord 주님께서 ordered 명령하셨다 that절 내용을 즉 [those 그들은 //who preach 전파하는 the Good News 복음을]
should be supported 지원되어야 한다 by those 그들에 의해서 who benefit 유익을 받는 from it 복음으로부터.
* 종절 주어인 명사구 those //who preach the Good News 명+형절/주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주어)
* 능동문 [those //who benefit from it] should support [those //who preach the Good News]
* 대문자로 쓴 고유명사 Good News 복음
* The Voice
So it shouldn’t be a stretch that the Lord has arranged /for preachers of the gospel
* 가주어 it = that the Lord has arranged /for preachers of the gospel [to make a living~]
* it shouldn’t be a stretch 늘키기/과장이 아니다, 지나친 것이 아니다
* a bit of a stretch. A mild exaggeration beyond the truth or what is likely the case. 과장
* 복음으로 유익을 받는다 하니 무슨 무병장수 성공과 재물 등 세상적 축복일까 궁금하겠지만
사실 복음을 듣고 죄를 회개하고 천국시민으로 깨끗하게 살면 많은 복이 더해지나 그보다도
지옥 갈 죄인이 복음으로 구원을 받는 것이 세상천지 어디도 없는 수억 배 큰 유익/선물이니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달받은 사람은 복/은혜가 있는 사람이고 복음을 전달할 빚진 사람이다
15 Yet I have never used any of these rights. And I am not writing this /to suggest that I want to start now.
In fact, I would rather die than lose my right to boast about preaching without charge.
15 Yet 그럼에도 I 나는 have never 결코 used 사용하지 않았다 any of these rights 이런 어떤 권리도.
And I 나는 am not writing 쓰는 것이 아니다 this 이것을 to suggest 제안하려고 that절 내용을 즉 I 내가 want 원한다는 걸
to start 시작하기를 now 이제.
In fact 실상, I 나는 would rather die 차라리 죽겠다 than lose 잃느니 my right 내 권리를 to boast 자랑할
about preaching 전파하기에 관하여 without charge 보수 없이.
* 현제 완료 have+pp 경험
* 대명사로 쓰인 any
* 부역 부정사구 / to suggest that I would like to start now 준타동사+목/명사절
* /than (I) lose my right to boast about preaching without charge.
* 전목인 동명사구 preaching without charge
* The Voice 번역
Despite what I’ve said here, I have never staked [a claim for such things],
내가 여기에 말한 그것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런 일들로 인한 주장을 결코 도박한 적이 없다
and I have [no intention /to start now]; that’s not [why I’m writing].
지금 시작할 의도가 없고 쓰는 이유도 아니다
I would rather die /than have anyone (including me) [invalidate my right to boast].
죽을지언정 어느 누구라도 자랑할 내 권리를 무효화하게 할 수 있다
* stake ; gamble (money or something else of value) on the outcome of a game or race.
* 전목인 의문사절/명사절 what I’ve said here, 보어인 의문사절/명사절 [why I’m writing]; 편지를 쓰는 이유인 그것
* 목적인 명사구 [a claim /for such things] 명+형/전구 ; 그런 일들에 관련한 주장
* 목적인 명사구 [no intention /to start now] 형+명+형역부정사구 ; 시작하기 위한 의도
* have 사역동사 5 형식 have [anyone] [invalidate my right to boast].
* 목보인 원형 부정사구 (to) invalidate my right to boast 자랑할 내 권리를 무효화하기
* 바울은 똥처럼 버린 세상 것을 자랑할 리 만무라 비록 전도자에게 허락된 품삯이라도 거절하고 복음만 자랑한다
16 Yet preaching the Good News is not something () I can boast about.
I am compelled by God to do it. How terrible for me if I didn’t preach the Good News!
16 Yet 그럼에도 preaching 전파하기는 the Good News 복음을 is not 아니다 something 어떤 것이 (that) 그건 I 내가
can boast about 자랑할 수 있는.
I 나는 am compelled 강권되었다 by God 하나님에 의해서 to do it 그걸 하도록.
How 얼마나 terrible 참혹하겠느냐 for me 나에게 if 만약 I 내가 didn’t preach 전파하지 않는다면 the Good News 복음을!
* Yet as a conjunction means ‘but’ or ‘nevertheless’.
* something (that) I can boast about (전목), 명+형절/목적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전목)
선행사는 형절에서 전치사의 목적이기도 하므로 형절에 전치사만 쓰였음
만약에 which 를 쓴다면 전치사가 관계사 앞에 쓰임 something //about which I can boast
* How terrible (it would be) for me if~
* 바울처럼 우리도 강권하셔서 복음을 안 전하면 참혹한 심정을 느끼게 하옵소서
* Contemporary English Version
I don’t have any reason to brag about preaching the good news. 복음을 전파하는 것에 대한 자랑을 할 어떤 이유도 없다
Preaching is something God told me to do, 복음 전파는 하나님께서 나에게 하라고 말씀하신 어떤 것이다
and if I don’t do it, I am doomed. 내가 그걸 안 한다면 나는 저주받을 것이다
17 If I were doing this on my own initiative, I would deserve payment.
But I have no choice, for God has given me [this sacred trust].
17 If 만약 I 내가 were doing 하고 있는 것이라면 this 이것을 on my own initiative 내 자신의 추진력으로,
I 나는 would deserve 받을 자격이 있을 것이다 payment 댓가를.
But 그러나 I 나는 have 없다 no choice 선택권이, for God 하나님께서는 has given 주셨다 me 나에게 this 이런
sacred 성스러운 trust 신뢰를.
* own initiative ; Without requiring or having been given instruction, prompting, or guidance from others;
by one's own effort or energy. 자작극, 자체적 주도/노력
* 가정문 if + were, 주절+would~; ~ 했더라면 ~ 일 것이다 (실제로는 아니다)
were는 맞는 시제나 용도가 아니기에 가정법임을 암시하고 would에는 상상/추측 의미가 있음
* 바울 자력으로 추진하여 복음을 전한다면 노력의 댓가에 대한 권리가 있겠지만 성령 하나님의 추진력/능력이라
마치 강풍에 몸이 떠 밀리듯 애쓰지 않아도 저절로 가면서 자기 힘/노력으로 잘 간다 못하니 자랑할 건 예수님이다
18 What then is my pay? It is the opportunity to preach the Good News /without charging anyone.
That’s why I never demand my rights /when I preach the Good News.
18 What 무엇이 then 그러면 is my pay 나의 급료이냐?
It 급료는 is the opportunity 기회이다 to preach 전파할 the Good News 복음을 without charging 돈 안 내고 anyone 누구라도.
That’s 그것이 why 이유다 I 내가 never 결코 demand 요구하지 않는 my rights 내 권리를 /when 그때 I 내가 preach 전파할 때
the Good News 복음을.
* it = pay
* without charge : at no cost, without having to pay
* The Voice 번역
You’re 너희는 looking for 찾는다 the catch 잡을 걸/얻을 걸.
I 나는 know 안다 (that)절 내용을 즉 you’re 너희는 wondering 궁금해한다, “What reward 어떤 상급에 대해 is he 그가
talking about 말하는가?”
My reward, 내 상급은, besides 더하여 being with you 너희와 함께하는 것과 and knowing you 너희를 아는 것에,
is [sharing 나누기이다 the good news 복음을 of the Anointed One 기름 부음을 받으신 분에 관한 with you 너희와
/free 무료에 and clear 명백하게]. That 그것은 means 의미한다 (that)절 내용을 즉 I 나는 don’t insist on 주장하지 않는다
[all my rights 내 모든 권리를 /for support 지원받을 in the good news 복음에서];
* 삽입구로 쓰인 전치사구, besides being with you and knowing you,
* besides ; in addition to; apart from.
* 보어인 동명사구 [sharing the good news of the Anointed One with you /free and clear]
* 전목인 명사구 what reward ; he is talking about what reward
* 전목인 동명사구 being with you and knowing you
* rights /for support 지원에 관한 권리 즉 지원받을 권리
rights /to support 지원할 권리
* the Anointed One 기름 부음을 받으신 분 (현대에는 예수님의 이름을 너무나 망령되이 부르기에 참신한 명칭으로 봄)
* 바울처럼 모든 전도자/목회자들이 복음 전함을 지상 최대최상의 특권으로 안다면 이차적인 품삯에 연연치 않을 거다
19 Even though I am a free man with no master,
I have become a slave /to all people /to bring many to Christ.
19 Even though 비록 I 나는 am a free man 자유자이지만 with no master 상전도 없는,
I 나는 have become 되었다 a slave 노예가 to all people 모든 사람에게 to bring 데려가려 many 많은 이를
to Christ 그리스도께.
* 명사 수식인 형역전구 /to all people
* 동사 수식인 부역 부정사구 /to bring many to Christ. 의도 설명
* 인간적으로는 자유자이지만 복음을 위해서 자발적으로 모든 사람들에게 하인처럼 되었다는 것은
예수님의 종 된 바울은 복음전도가 자기자유 보다도 더 가치 있고 중요하기에 사람에게도 종이 되나
사람이 시키는 대로 하는 종이 아니고 사람에게 봉사하며 어찌하든 구원으로 인도하려는 선한 목자다
20 When I was with the Jews, I lived /like a Jew to bring the Jews to Christ.
When I was with those //who follow the Jewish law, I too lived under that law.
Even though I am not subject to the law,
I did this /so I could bring/ to Christ [those //who are under the law].
20 When 그때 I 내가 was 있었을 때 with the Jews 유대인과 함께,
I 나는 lived 살았다 /like a Jew 유대인처럼 /to bring 데려오기 위해 the Jews 유대인을 to Christ 그리스도께.
When 그때 I 내가 was 있었을 때 with those 그들과 함께 who follow 따르는 the Jewish law 유대 율법을,
I 나 too 역시 lived 살았다 under that law 율법 아래서/율법을 지키며.
Even though 비록 I 나는 am not 있지 않지만 subject 영향 아래/대상으로 to the law 율법의,
I 나는 did 했다 this 이것을 so 그래서 I 나는 could bring 데려오게 to Christ 그리스도께
[those 그들을 who are 있는 under the law 율법 아래].
* 부역 부정사구 /to bring the Jews to Christ 의도 설명
* 전목인 명사구 those who follow the Jewish law 명+형절/주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주어)
* Subject to : under the condition that, affected by or possibly affected by (something)
* 지시 대명사 that ; 앞서 언급된 내용을 지칭함
* 접속사인 so ; 2. With the result or consequence that:
* 안식교는 바울이 안식일 날 회당에 갔다하니 안식교인이라 하나 그리스도인들은 안식 후 첫날에 모였으니
최초로 그리스도인이라 불린 안디옥 교인 바울이 폐기된 율법을 복원할리 없고 안식일 날에 유대인이 모이니
복음 전하려 갔지 율법적 안식일 성수는 아닌게 날짜를 자유롭게 선택하라는 예수님의 마음 때문이기도 하고
예수님도 성령님도 안 계신 율법으로 죽은 율법주의자의 모임에서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 수 없기 때문인데
현대의 성숙한 신자들도 성령님의 인도도 없이 성경을 신약율법처럼 가르치는 교회에는 은혜가 없어 못 간다
21 When I am with the Gentiles //who do not follow the Jewish law,
I too live apart from that law /so I can bring them to Christ.
But I do not ignore the law of God; I obey the law of Christ.
21 When 그때 I 내가 am 있었을 때 with the Gentiles 이방인들과 같이 who 그들 do not follow 안 따르는
the Jewish law 유대인 율법을,
I 나 too 역시 live 살았다 apart from that law 율법 전통을 떠나서
so 그래서 I 내가 can bring 데려올 수 있도록 them 그들을 to Christ 그리스도께.
But 그러나 I 나는 do not ignore 무시하지 않았다 the law of God 하나님의 법을;
I 나는 obey 순종한다 the law of Christ 그리스도의 법을.
* 보어로 쓰인 전구; with the Gentiles //who do not follow the Jewish law,
그리스도의 사랑의 법을 따르면 구약의 모든 율법이 다 완성되는 건 물론 그 이상의 것도 요구되며
바울이 율법적으로 전통을 지키는 유대인들과 같이 한 건 율법 때문이 아니고 사랑법 때문이었지만
이방인들은 율법 전통이 없기에 안식일을 알리 만무이므로 이방인 관례에 맞추어 전도했을 것이며
오늘날도 우리 이방인 신자가 예수님 이름으로 모여 일요일 예배를 하나 토요일 날 해도 상관없지만
중요한 건 신약을 주신 성자 하나님과 신약법을 수행하시는 성령 하나님이 계시면 어떤 날이든 된다
(롬 13:10) '사랑은 이웃에게 악을 행하지 아니하나니 그러므로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니라' 하였는데
하나님과 부모를 포함한 이웃에게 악을 행하지 않으므로 십계명+시민/사회/국가법도 다 준수가 된다
22 When I am with those //who are weak, I share their weakness, for I want [to bring the weak to Christ].
Yes, I try [to find common ground with everyone], doing everything () I can /to save some.
22 When 그때 I 내가 am 있을 때 with those 그들과 같이 //who 그들 are weak 연약한,
I 나는 share 나누었다 their weakness 그들의 연약함을, for 왜냐면 I 나는 want 원한다 to bring 가져가기를
the weak 그 연약함을 to Christ 그리스도께.
Yes 맞아, I 나는 try 시도한다 to find 찾기를 common ground 공감대를 with everyone 모든 이와,
doing 하면서 everything 모든 걸 (that) 그건 I 내가 can 할 수 있는 것 to save 구원하기 위해 some 몇몇을.
* 목적인 부정사구 to bring the weak to Christ, to find common ground with everyone 준타동사+목적+전구
* the+형용사=복수명사 ; the weak = people who are weak
* 형역 분사구 doing everything (that) I can to save some. 현분사의 능동 주체인 주어 수식
* doing의 목적인 명사구 everything (that) I can do (목) to save some. 명+형절/목적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목적)
* 부역 전구 /to save some
* 예수님께서 인간의 연약함을 체휼 하셨듯 바울에게도 연약함을 허락하사 연약한 사람들과 공감대를 형성하여
같이 울며 같이 기뻐하며 소통의 창을 열었는데 동병상련의 나눔도 없이 다짜고짜 복음을 믿어라 하면 믿겠는가?
23 I do everything /to spread the Good News and () share in its blessings.
23 I 나는 do 한다 everything 모든 것을 to spread 퍼뜨리기 위해서와 the Good News 복음을
and (to) share in 나눔을 위해서 its blessings 복음의 축복을.
* 부역 부정사구 /to spread the Good News
* (to) share in ; To take part in or a portion of something alongside one or more other people
* 자동사로만 쓰이는 participate ; To share in something:
* 복음은 영적인 구원의 능력도 있지만 구원받아 삶의 방식이 변한 신자는 성령의 열매로 물리적 축복도 누릴 수 있다
24 Don’t you realize that in a race everyone runs,
but only one person gets the prize? So run /to win!
24 Don’t you 너희는 realize 깨닫지 못하느냐 that절 내용을 in a race 경주에서는 everyone 모든 이가 runs 달린다,
but 그러나 only 단지 one person 한 사람만이 gets 획득한다는 걸 the prize 상을?
So 그러니 run 달려라 to win 승리하기 위하여!
* 기독인은 수능시험 없이 실력고하를 무론하고 다 만점으로 구원대학을 가지만 구원이 성숙-완성돼야 졸업하기에
완주의 상을 받기 위하여 육상 선수처럼 뛰어야 하는데 서로의 경쟁이 아닌 서로 돕는 상호조력으로 동반승리한다
25 All athletes are disciplined in their training.
They do it /to win a prize //that will fade away, but we do it /for an eternal prize.
25 All athletes 모든 선수들은 are disciplined 행동을 통제받는다 in their training 그들의 훈련에서.
They 그들은 do it 훈련을 한다 to win 우승하기 위해 a prize 상을 //that 그건 will fade away 희미하게 사라질,
but 그러나 we 우린 do it 그걸 한다 for an eternal prize 영원한 상급을 위해.
* disciplined ; showing a controlled form of behavior or way of working.
* it = training
* 부역 부정사구 to win a prize that will fade away, 의도 설명
* win의 목적인 명사구 a prize //that will fade away, 명+형절/주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주어)
* 올림픽이 끝난 지 반년도 채 안 되었지만 우승자들의 상급은 잊히나 영원하신 예수님께서 주실 상급은 영원하다
26 So I run with purpose in every step. I am not just shadowboxing.
26 So 그래서 I 나는 run 달린다 with purpose 목적을 가지고 in every step 모든 걸음/단계마다.
I 나는 am not 아니다 just 단지 shadowboxing 상상 권투를 하는 게.
* shadowboxing ; training in which a boxer fights with an imaginary opponent
* 정상인 누구나 집을 나설 때 그날 이룰 목적도 없이 방황하지 않듯 신자에게는 천국 상을 위한 궁극적 목표가 있고
삶 가운데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세상에서 맡은 일에 충성하며 매일매일 책임을 다 할 목표 달성을 위해 뛴다
27 I discipline my body like an athlete, training it /to do [what it should].
Otherwise, I fear that after preaching to others I myself might be disqualified.
27 I 나는 discipline 통제한다 my body 내 몸을 like an athlete 운동선수처럼,
training 훈련하며 it 몸을 to do 하려고 [what 그것을 it 몸이 should 해야 하는].
Otherwise 그렇지 않으면, I 나는 fear 두려워한다 that절 내용을 즉 after preaching 전파한 후에 to others 다른 이에게
I myself 나 자신이 might be disqualified 부자격자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 분사구 수식 관계; 주어 수식
I (who is) training it to do what it should
* it = my body
* do의 목적인 의문사절 what it should (do).
* 전목인 동명사구 preaching to others
* 강조사로 쓰인 재귀 대명사 myself
* 남에게 말/지시만 하는 것과 내 자신이 말대로 한다는 건 큰 차이가 있고 말뿐이고 행동이 없으면 바리새인 되나
사실 신자면 누구나 동의할 고민은 믿는 성경 말씀대로 살지 못하는 현실인 건 율법보다 더 어려운 사랑법 구현은
율법을 깬 사람의 허접한 노력으로 될 일이 아니라 불가하나 오직 성령 하나님의 능력만이 불가를 가능케 하므로
성경대로 못 산다는 고백은 진실되지만 성령님을 의지 안 하고 자주독립 자조자력 즉 혼자서 뛴다는 고백도 된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2.03.26 08:33
첫댓글 Many people live to make their dream come true,
but Paul lived to spread the Good News.
정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