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layer를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리습을 다음과 같이 만들고 makelayer.lsp라고 저장하였다. |
(defun c:lm() --> 임의로 정의한 실행명 (setvar "cmdecho" 0) (command "layer" "m" "1" "c" "green" "" "m" "2" "c" "red" "" "m" "3" "c" "yellow" "" "m" "4" "c" "white" "" "m" "5" "c" "red" "" "lt" "centerx2" "" "m" "6" "c" "magenta" "" "lt" "phantom" "" "m" "7" "c" "cyan" "" "lt" "phantomx2" "" "m" "8" "c" "yellow" "" "lt" "hidden" "" "" ) (command "layer" "s" "2" "") (princ) ) | |
makelayer.lsp는 리습 파일 이름이 되고 lm은 AutoCAD에서 실행하는 명령이 됩니다. |
리습 파일은 AutoCAD support 폴더에 복사 하거나 다른 외부 폴더에 있어도 무방합니다. AutoCAD 실행 후 리습을 load 합니다. |
command : appload |
 |
원하는 리습을 선택하고 올리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command line 에 makelayer.lsp가(이) 성공적으로 올려짐. 메세지가 표시 되면 닫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command : lm -->리습에 정의 임의의 실행명 |
리습에 정의한 내용의 layer가 생성되고 2번 layer가 current layer로 설정됩니다. |
또한 목차 버튼을 클릭하여 리습을 추가 하면 매번 load 하지 않아도 계속해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