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는 국내 불교학의 세계화와
국제 불교학의 자내화(自內化)를 통하여 한국 인문학으로서
불교학을 활성화시키고자 불교대학 내에 개소한 연구소이
다. 우리 연구소는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전 세계
불교 연구자의 연구 성과를 집성하고 공유함으로써 불교학
연구의 기반을 공고히 하고 나아가 세계인의 정신문화 고양
에 공헌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불교철학’
Journal for the Study of Buddhist Philosophy
연구 논문
승랑의 유무상즉과 원효의 생멸상즉__김영미
원효와 혜균의 만남과 대화__조윤경
분황 원효와 문아 원측의 유식학 이해__고영섭
원효와 의상의 만남과 헤어짐__박보람
원효와 지눌의 만남과 대화__김방룡
번역 논문
나의 본성은 봄(seeing)이다’ : 인도의 목격자 의식 관념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__볼프강 파싱 저 / 박대용(釋東光) 역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학술총서
동대 세불연 총서 1 (도서출판 씨아이알, 2016) 『세계의 불교학 연구』
한국 동아시아, 인도 남아시아, 유럽, 미주 불교학의 동향과
과제에 대한 연구
동대 세불연 총서 2 (도서출판 씨아이알, 2016) 『세계 불교학자들의 학문과 방법』
영호당 정호와 상현거사 이능화, 하다니 료타이와 후카우라
세분, 말라라 세케라와 자야 틸레케, 에드워드 콘즈와 램버
트 슈미타우젠, 루이즈 고메즈와 도널드 로페즈의 학문 태도
와 연구방법에 대한 궁구
ISSN 2586-3843
값 20,000원
Journal for the Study of Buddhist Philosophy
Vol. 5. October. 2019
Articles A Comparison of the Ideas of Wonhyo and Seung-rang Kim, Young-mi
The Meeting and Conversation between Wonhyo and Hyegyun Cho, Yoon-kyung
Bunhwang Wonhyo and Muna Wonchuk’s Understanding on Yogācāra Theory: Focusing on the Theory of Buddha-Nature and Seed-Nature Ko, Young-seop
Meeting and Parting of Wonhyo and Uisang Park, Bo-ram
A Meeting and Conversation with Wonhyo and Jinul Kim Bang–ryong
Article Translation I am of the Nature of Seeing: Phenomenological Reflections on the Indian Notion of Witness-Consxiousness Wofgang Fasching / Korean translator: Park, Dae-yong(dongkwang)
Institute for World Buddhist Studies in Donggu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