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같은 온도와 같은 압력하에서 기체A는 Z가 1보다 작고, 기체 B는 Z가 1보다 크다
이때 온도가 일정한 상황에서 두 기체의 압력을 절반으로 줄이면 기체 A의 Z값은 증가하고 기체 B의 Z값은 감소한다. 가 맞나요 ?
( 정성적으로 보면, 압력을 줄여서 부피가 팽창하면 같은온도에서 더 이상기체와 비슷하게 행동하니깐 Z=1에 근접할것 같습니다)
2.압축인자Z(y) 압력P(x) 그래프에서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왜 Z 값이 증가하는 양상을 띠는지 정성적으로 좀 설명부탁드립니다ㅠ...
첫댓글 1. 압력이 낮아지면 압축인자는 1에 가까워지는 것이 대부분의 경우는 맞지만, 꼭 그렇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기체 B의 Z가 감소하는 것은 항상 맞습니다. 하지만, 기체 A의 Z값은 꼭 증가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압축인자가 최저점이 아닌이상, 압력이 감소할 때 압축인자가 더 감소할 수도 있습니다.
2. 압축인자는 실제기체의 부피/ 이상기체의 부피입니다. 압력이 증가하면 실제기체분자끼리 좁은 공간에서 붐비게 됩니다. 자체 부피가 없는 이상기체는 압력을 가하면 얼마든지 수축되는 반면 실제기체는 압력을 가해도 부피가 잘 줄어들지 않으니 압축인자는 커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