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오페라단 이소영 단장(49)의 경력이 대부분 허위라는 주장이 나오면서 ‘제2의 신정아’ 논란에 휘말리고 있다. 이달 초 있었던 문화체육관광부 국정감사에서 거론됐던 이 단장의 '학력 문제'를 한 인터넷매체가 다시 거론하면서 여론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이 단장의 주요 경력은 서울대학교 오페라연구소 소장(1998년-1999년),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2002년부터), 국립오페라단 초대 상임연출가(2003년), 도니제티 국제음악아카데미 교수(2006년~2008년) 등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지난 4일 국회 문화체육방송관광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민주당 정장선 의원과 최문순 의원에 따르면 이중 3가지는 ‘허위’이거나 부풀려졌다는 것이며, 그러한 의혹이 일부 언론에 의해 재차 확인되면서 파장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첫째, 이 단장 본인 입으로 서울대학교 오페라연구소 소장을 지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과 관련, "교육과학기술부를 통해 서울대학교의 공식 자료를 확인한 결과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오페라연구소 역대 소장 리스트 중 이소영 단장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서울대 측 역시 공문을 통해 이러한 이 단장의 주장을 부인함에 따라 의원들의 주장이 사실로 드러났다. 오페라연구소는 1993년 설립 이래 현재까지 8명의 소장이 있었지만 역대 소장 명단에 이 단장의 이름은 없었으며, 이 단장이 재직했다고 주장하는 1998~1999년에는 박세원 성악과 교수가 소장 직무대리를 하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 소장 직무대리 박 교수는 당시 자신이 이소영을 부소장으로 임명해 소장의 역할을 병행하게 했다고 해명한 바 있지만, 부소장을 소장이라고 내세웠다면, 이는 경력을 과대 포장한 또 다른 의미의 허위 경력이라는 점에서 책임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두 번째 의혹은 도니제티 아카데미 교수라는 경력에 대한 것인데, 이 역시 석연찮다. 도니제티 아카데미는 이 단장을 ‘외국인 초빙교수’로 임명했다고 설명했지만 정작 이 단장은 아카데미가 위치한 이탈리아 마자테시에서 강의한 적이 단 한 차례도 없었다. 이처럼 상황이 불리해지자 이 단장은 지난 2006년부터 2년간 경기도 분당에 위치한 도니제티 국제음악원에서 강의를 했다며 자신이 외국인 초빙교수 신분이었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물론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경기도 분당에 위치한 도니제티 국제음악원에서 강의를 했다는 것은 확인됐지만, 문제는 이 분당에 있는 도니제티 국제음악원은 사설 학원에 불과하기 때문에 성악, 악기, 지휘, 연출 등과 관련된 학위를 주는 정식학교가 아니었다. 또한 이탈리아의 도니제티 아카데미 본교 역시 석사나 박사 등 정식 학위를 주는 학교가 아니라 한국으로 따지자면 ‘수료증’에 해당되는 졸업장만을 주는 사설학원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도니제티 국제음악원은 사설 학원으로서 음악 전공 학위를 수여하는 일반 아카데미와는 분명한 차이점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며, 그런 무늬만 아카데미에서 강의는 했을지 몰라도, 그것도 본교가 아닌 한국에 세운 질이 더 떨어지는 분원급 사설학원에서 이름만 교수로 재직했던 사실을 앞세웠다면 이 역시 서울대 오페라연구소 소장 경력과 마찬가지로 허위 과장광고에 해당한다.
세 번째 의혹은 제1대 국립오페라단 상임연출가라는 경력도 거짓이 아니냐는 것인데, 이 역시 최문순 의원이 “당시 계약서를 확인해본 결과, 상임이 아닌 상근연출가였다”고 폭로한 데서 시작된 것이다. 그런데 국정감사를 통해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당시 이 단장은 상근연출가 계약을 맺었을 뿐 공연 감독을 의미하는 상임연출가는 아니었던 것으로 밝혀졌으니 결국 앞선 두 가지 의혹처럼 과대홍보인 셈이다.
이처럼 국정감사에 이어 일부 언론에서 이 단장이 내세운 주요 경력 4개 중 3개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면서 문화체육부 역시 이 같은 허위 경력을 알고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비난을 피해가기 어렵게 되었다. 특히 문화관광체육부는 지난해 6월 이 단장의 허위경력 의혹이 처음 불거졌을 때 사실관계를 파악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까지 관련 조사결과를 내놓지 않고 있다가 국정감사에 이어 이번에는 언론에까지 질타를 당하면서 ‘제2의 신정아’ 논란까지 자초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3가지 과대홍보의 결과가 아니었다면 한국예술학교 교수 역시 불가능했을 것이고 국립오페라단장직을 맡는 것 역시 불가능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혹을 제기하는 사람들도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지난 2007년 가짜 예일대 박사 학위를 내세워 논란을 일으켰던 '신정아 학력위조 사태'처럼 파장이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제기하는 분위기며, 유인촌 장관의 부인이 중앙대 성악과 교수를 지냈다는 점 때문에 그와의 인연으로 이 단장의 결격사유를 모른 체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더 많은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국립오페라합창단을 해체시켜 시민사회단체의 비난을 받았던 이소영 단장의 주요 경력 4개 중 3개는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이 문제를 문화체육부의 직무유기로 연결시키고, 유인촌 장관과의 스캔들 의혹으로까지 비화시킴으로써 국립오페라단을 포함한 여러 문화예술 단체의 법인화 작업을 차단시키고 현 정부의 도덕성에도 타격을 가하려는 꽃놀이패 의도가 다분히 내포된 공세라는 것이다.
정말 그렇다면 이미 국새단장의 허위경력 문제로 큰 화를 자초했던 행자부라든가, 경력직원 채용 과정에서 보여주었던 허위경력과 경력세탁에 둔감한 어리숙한(?) 공무원의 복지부동이 별 것도 아닌(?) 사태를 정권적 위기로까지 몰아갈 소지를 제공할 수도 있는 가능성, 다시 말하자면 나비효과의 극단적 예를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라 하겠다. 철저한 재조사와 검증과정을 거쳐 책임자를 일벌백계함은 물론 필요하다면 장관의 관리책임도 물어야만 할 것이다. 그것이 대통령과 현정권이 내세우는 공정사회로 가는 지름길일 것이다. 꼭 가야 하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말이다...
첫댓글 ㅎㅎㅎ ㄳㄳ
잘봤어여
감사해요
잘읽었어여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