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적 불교읽기] 21. 삼독-화 ①
화는 불안과 악행 일으키는 근본 원인
화내는 자를 향한 최상의 무기는 무아
‘유식30송’에 의하면 화는 고통과 고통의 원인을 미워하고 성내는 것으로 불안과 악행을 일으키는 바탕이 된다. 또 화와 관련된 이차적 감정으로는 분노와 원한이 있는데 분노는 이롭지 않은 대상을 향해 일어나는 거칠고 악한 감정이고, 원한은 분노로 인해 악을 품고 버리지 않아서 맺어진 감정으로 아주 괴로운 것이 특징이다.
화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그냥 우리의 마음이 화나는 대상을 향해 흥분하고 부글부글 끓고, 미움과 분노를 드러내거나 억압하는 것 이상으로 훨씬 복잡하고 미묘한 감정이다. 뿐만 아니라 화냄으로 인한 재앙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엄청난 불행과 고통을 유발한다. 앙굿따라니까야는 화내는 사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화내는 사람은 못생기고 수면장애가 있다. 그가 얻은 이익은 잃어버리게 되고 말과 행동으로 명성에 손상을 입는다. 화에 압도되는 사람은 자신이 노력해 얻은 부와 지위를 파괴한다. 친척, 친구, 동료들이 피한다. 화는 상실을 가져온다. 화는 마음을 불태운다. 화내는 사람은 그를 위태롭게 하는 위험이 화냄에서 태어나는 줄을 알지 못한다. 화내는 사람은 부처님의 법을 보지 못한다. 화에 의해서 지배받는 사람은 어둠속에 있다.
그는 나쁜 행위를 마치 선한 행위인 것처럼 행하고 나서는 뒤에 화가 없어지고 나면 불길 속에 타는 것 같이 괴로워한다. 그는 연기에 휩싸인 불꽃처럼 가려져 있고 망가져 간다. 화는 순식간에 주변으로 퍼져나가는데도 그는 부끄러워 할 줄 모르고 악에 대한 공포가 없고, 말에 존중함이 없다. 화에 지배받는 사람은 어떤 밝음도 줄 수 없다. 화는 신구의 삼업을 잘못 행하게 함으로서 결국 악도에 떨어지게 만든다.”
그런데 우리는 왜 화가 날까? 화는 우리 자신이 공격받았다고 느끼거나 무시나 모욕 등 부당하게 취급받거나 또는 거부당했다고 생각될 때 일어나는 감정이고 그에 대해 보복하려는 경향성과 관련된 에너지다. 그러므로 자아에 대한 집착이 강할수록 화의 에너지도 그만큼 강할 수밖에 없다. 우리가 화가 났을 때 그 화나는 감정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결국은 ‘나’, ‘나의 것’이 손상되었다는 무의식적 판단이 자리 잡고 있다.
이는 유식의 제7 마나식인 자아의식과 관련되어 있다. 즉 내가 생각하고 있는 그 ‘나’에 위배되거나(아만, 아견에 위배), 나에 대한 사랑이 상처를 입었다고 느낄 때(아애의 손상), 그 사실에 대한 성냄이고 또 그것과 연관된 대상을 향한 공격성이다.
성냄과 공격성은 불안, 긴장, 두려움 등 이차적인 심리적 상태를 유발한다. 또 그로 인해 다양한 반응적 행동양식이 발달하게 되는데 이는 화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서 달라진다. 흔히 화를 표현하는 데는 적극적인 방식과 수동적인 방식, 두 종류로 나누어서 이야기 한다. 전자는 성냄과 공격성을 대상에게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것이고, 후자는 간접적 방식으로 화나는 대상을 향해서 화를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못하고 억압하거나 보다 안전한 다른 방식으로 전환해서 표현하는 방식이다.
전자는 약자를 괴롭히거나, 파괴적이고 과장된 행동, 흥분하고 이기적인 행동, 위협적인 행위, 상처를 주는 행위, 예측불허의 감정표출, 앙갚음 등의 특징적 행동을 드러낸다. 후자는 냉정함, 회피, 무기력, 강박적 행동, 심리적 조작, 비밀스런 행동, 자책, 자기희생 등의 특징적 행동을 보인다.
부처님 말씀에 화내는 자를 향해서 화를 내지 말라는 가르침이 있다. 왜인가? 화내는 자는 마치 화를 품은 압력밥솥과도 같기 때문이다. 화내는 자를 향해 화로서 맞대응하는 것은 활활 타는 불길에 기름을 붙는 격이다. 스스로 타는 자를 향해서 자아의식을 발동하는 것은 어리석고 어리석은 일이다. 화내는 자를 향한 최상의 무기는 무아다. 왜냐하면 화는 아집의 불길 이기 때문이다.
서광 스님(동국대 겸임교수)은
미국 보스턴 서운사 주지로 이화여대 대학원 교육심리학 석사과정을 졸업한 후 1993년 미국으로 건너가 보스턴대에서 종교심리학을 전공했다. 저서로는 ‘마음의 치료’, ‘현대심리학으로 풀어본 유식 30송’, ‘불교상담심리학’, ‘알몸이 부처 되다’ 등이 있다.
[출처 : 법보신문]
☞'치유적 불교읽기' 목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