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초수 선생님들은 좀 힘들었을 거에요. 사실 내용을 다 기억할 수는 없어요. 그런데 구조화하는 연습은 지금부터
습관으로 만들어져가요. 자 어제 배운 내용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보세요. 그리고 들배있으신분들은 추가적으로 보세요.
구조화 하는 것은 간단히 말하는게 아니에요.
공통점, 차이점을 정교하세 구분해서 카테로리화 하는 겁니다. 이번주도 화이팅해요.^^
자 다음 질문들을 모두 해결하시면 어제 수업 내용을 거의 자신의 머릿속에 복구하게 된 걸거에요.
1)디스칸트 양식 VS 오르가눔 양식
2)디스칸트 양식 vs 클라우줄라
3)3성부 클라우줄라 VS 콘둑투스
4)클라우줄라 VS 13세기 초기 모테트(가사)
5)13세기 초기 모테트 상성부 특징
6)13세기 초기 모테트 vs 13세기 중기 모테트
7)13세기 모테트(중기) 기보법
8)13세기 중반 모테트 vs 13세기 후반 모테트(*)
9)13세기 모테트 VS 14세기 모테트(성부,언어,가사 내용, 기보법 변화)
10)중세 세속음악 중 라틴어 사용 곡
11)13세기 세속음악 VS 14세기 세속음악 장르 구분 기준
12)14세기 아르스노바의 세속음악 vs 14세기 트렌첸토 세속음악 특징
13)중세 14세기 미사(마쇼) vs 15세기 미사(뒤파이, 오케켐) VS 16세기 미사(조스깽, 팔레스트리나) 미사 비교(성부수, 미사 명칭, 특징)
14)16세기 종교개혁 후 독일, 프랑스, 영국 중심으로 각 장르와 특징, 기법 쓸 것
15)16세기 반종교개혁 무슨 회의? 무슨 결과? 캐톨릭에서의 가장 큰 음악적 유산?(팔레스트리나)
16)르네상스 시대 후반, 3개 악파 비교(악파 명칭, 대표 작곡가와 작품, 세부특징)
17)최상성부 주도 양식 vs 칸틸레나 양식 비교 설명
18)15세기 부르고뉴 샹송 vs 16세기 네덜라드 샹송 VS 16세기 파리 샹송 비교
19)포부르동 VS 파버든 설명
20)16세기 민족주의적 성격의 각 나라별 세속곡 명칭과 특징 정리
21)마드리갈 시기 구분에 따른 텍스처 특징(1기-3기)
22)플랑드르 1-4기 시기 구분에 따른 인물과 대표작품과 특징
23)영국과 부르고뉴 대표 작곡가와 작품
24)코랄 모테트는 무엇인가요
25)중세다성음악과 르네상스 다성음악 차이는 무엇인가요
26)카논을 정의하고, 네덜란드 카논을 쓰시오
27)바로크 시기 모노디양식이 나온 이유를 르네상스 텍스처의 특징으로 이야기 하세요
28)16세기 마드리갈을 대체한 장르를 쓰시오.
29)기악반주에 독창 노래의 세속곡을 르네상스와 바로크를 비교해서 쓰시오.
30)프랑스 세속 가곡 보드과 궁정의 노래를 비교
31)정률음악을 설명
추가로 들배 있으신분들
1)144페이지를 읽고 다성코랄이 몇 개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그 방법을 정리하세요./
2)153페이지를 읽고 팔레스트라 음악 양식이 뭔지 정리하세요
3)165페이지를 읽고 그림을 보며 류트 악기를 정리하세요
4)171페이지 그림을 보면서 해당 음악의 특징을 정리하세요
5)177페이지 그림을 보면서 다중합창모테트를 정리하세요
6)123페이지 민족주의 양식을 정리하세요
7)115페이지 샹송 악보를 보고 해당 미사의 특징을 정리하세요
8)105페이지 악보 박자를 보고 해당 기법 쓰시오
9)101페이지 읽고 30초 내 네델란드 작곡가 설명
10)83P 인문주의라는 키워드는 음악과 어떻게 연결?
11)83P 시대상황읽고 시대 사건 정리-교과서 연계
12)84P 4성부 음악을 설명하되 중세 3성부와 비교하고 테노를 중심으로 설명할 것
(기능이 어떻게 달라진건지)
13)84P 모방대위법을 설명(교과서랑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