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햏햏 < 아핻핻 (표준발음법에 따르면 ㅎ의 받침발음은 특별한
경우를제외하고 ㄷ으로ㅓ 발음하오)
아핻핻 < 아해탣 (ㄷ 받침의 소리와 "해"가 연음이 되면서
구개음화현상 발생 ex.맏형[마텽],꽃한송이[꼬탄송이]
아래는 좀더 길게 설명되어 있소이다. 관심있으면 보시구랴..
1항 표준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해설)
<전통(傳統)>이란 예로부터 전해내려 오는 계통으로서, 현실적으로 규범적인 의의를 지닐 때 문화적인 가치가 인정된다. 언어의 사회적 공약은 관용(慣用)에 의해 성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관용 형식은 중시되어야 한다. 그런데 관용형식이 몇 가지로 갈리고 있거나 변화 과정에서 변종(變種)의 처리 등은 <합리성>이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예컨대, '낮(晝)이, 꽃(花)이' 등의 발음은 [나지, 꼬츨 / 나시, 꼬슬]처럼 갈리고 있다. 이 경우 앞의 것이 전통적인 것이므로 표준 발음으로 정한다. 또한 합리성을 고려한 경우로는, '되어, 피어'가 [되여, 피여]로 발음하는데 이는 어미 '-어'의 공통적인 발음 형태를 살려 'ㅣ 순행동화'를 적용 않기로 한 경우이다(표준발음법. 1988년 1.월 19일 당시 문교부 제정)
1.먼저 "아"는 아무런 문제가 없고
2. 햏의 경우 초성(ㅎ)과 중성(ㅐ)를 읽는데는 국문학적으로도 아무런 이의를 제기할 일이 없다.
다만, 종성 자음(ㅎ)의 발음에 있어서는
제4장 받침의 발음
제8항 : 받침소리로는 'ㄱ,ㄴ,ㄷ,ㄹ,ㅁ,ㅂ,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해설)
* 받침이란 <음절 말음(末音)>을 말한다. 맞춤법의 형태로서가 아니라 실제로 발 음되는 음절의 끝소리를 말한다. 예를 들면, '젊은이'의 받침에는 ' ' 'ㄴ' 두 가지가 있지만, 발음에서는 [절므니]와 같이 'ㄹ'만 음절의 끝소리로 실현된다.
* 맞춤법에서, 홑받침 14개, 쌍받침 2개, 겹받침 11개 등을 사용되나 음절의 끝소리로 발음되는 음은 위의 7개이다.
- 쌍받침(2) : ㄲ, ㅆ
- 겹받침(11) : 음가가 다른 두 개 글자가 결합된 받침
제12항 : 받침 'ㅎ'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
1. 'ㅎ(ㄶ,ㅀ)' 뒤에 'ㄱ, ㄷ, ㅈ'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 음절 첫소리와 합쳐서 [ㅋ, ㅌ, ㅊ]으로 발음한다.
놓고 [노코], 좋던 [조:턴], 쌓지 [싸치], 많고 [만:코], 않던 [안턴], 닳지 [달치]
[붙임1] 받침 'ㄱ(ㄺ), ㄷ, ㅂ(ㄼ), ㅈ(ㄵ)'이 뒤 음절 첫소리 'ㅎ'과 결합되는 경우에도, 역시 두 음을 합쳐서 [ㅋ, ㅌ, ㅍ, ㅊ]으로 발음한다.
각하 [가카], 먹히다 [머키다], 밝히다 [발키다], 맏형 [마텽], 좁히다 [조피다], 넓히다 [널피다], 꽂히다 [꼬치다], 앉히다 [안치다]
[붙임2] 규정에 따라 'ㄷ'으로 발음되는 'ㅅ, ㅈ, ㅊ, ㅌ'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옷 한 벌 [오탄벌], 낮 한때 [나탄때], 꽃 한 송이 [코탄송이], 숱하다 [수타다]
2. 'ㅎ(ㄶ,ㅀ)' 뒤에 'ㅅ'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ㅅ'을 [ㅆ]으로 발음한다.
닿소 [다쏘], 많소 [만쏘], 싫소 [실쏘]
3. 'ㅎ' 뒤에 'ㄴ'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으로 발음한다.
놓는 [논는], 쌓네 [싼네]
[붙임] 'ㄶ,ㅀ' 뒤에 'ㄴ'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ㅎ'을 발음하지 않는다.
않네 [안네], 않는 [안는], 뚫네[뚤네- 뚤레], 뚫는 [뚤는- 뚤른]
* '뚫네, 뚫는'에 대해서는 제20항 참조
4. 'ㅎ(ㄶ,ㅀ)' 뒤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ㅎ'을 발음하지 않는다.
낳은 [나은], 놓아 [노아], 쌓이다 [싸이다], 많아 [마:나], 않은 [아는], 닳아 [다라], 싫어도 [시러도]
논란이 멈추지 않는 것은 불행히도 당시에는 ㅎ+ㅎ에대한 발음규정이 없다.
따라서 특별한 이견이 없을땐 ㅎ의 발음은 받침 대표발음인 "ㄷ"을 따라 [아핻]까지 성립하게되고,
다음 글자 "햏"의 초성 "ㅎ"과의 연음발음에 의해
"ㄷ+ㅎ" + "ㄷ+ㅐ"으로 인한 격음화 발음"ㅌ" 으로 바뀌면서 가운데 [핻]은 자연스레 [해]로 발음이되고,
3.마지막 세번째 [햏]은 연음된 초성이 [ㅌ]발음이 되면서 나머지는 별 이견없이 소리가 나므로 이를 종합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