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교황에 아르헨티나 베르골리오 추기경
아르헨티나의 호르헤 마리오 베르골리오(76) 추기경이 13일(현지시간) 베네딕토 16세의 뒤를 이을 제266대 교황에 선출됐다.
비유럽권에서 교황이 선출된 것은 시리아 출신이었던 그레고리오 3세(731년) 이후 1천282년만에 처음이다.
또한 미주 대륙에서는 가톨릭 교회 2천년 사상 첫 교황이 탄생한 것이다.
교황 선출은 전날 개막한 이번 콘클라베에서 5번째 투표 만에 이뤄진 것이다.
새 교황 선출은 265대 교황인 베네딕토 16세의 갑작스러운 사임에 따른 것이다.
새 교황은 교황 즉위명으로 프란체스코를 선택했다.
새 교황이 아시시의 프란체스코 성인의 이름을 딴 즉위명을 선택한 것은 그가 청빈한 삶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로마 교황청은 프란체스코 1세의 즉위미사가 19일 열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스티나성당 굴뚝에서 새 교황 선출을 알리는 흰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교황 프란체스코 1세는 성 베드로 성당의 발코니에 나와 축복을 전하는 '우르비 엣 오르비(Urbi et Orbi 바티칸시와 전 세계에게)'에서 '좋은 저녁입니다'라고 말문을 연 뒤 '여러분의 환영에 감사합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스페인어가 섞인 라틴어로 '여러분이 알듯이 콘클라베는 로마에 주교를 앉히는 것이다.
동료 추기경들이 나를 찾기 위해 다른 세상의 끝으로 간 것처럼 보인다'고 가벼운 농담을 건넸다.
새 교황은 전임 교황 베네딕토 16세를 위해 기도했다.
12억 가톨릭 신자를 이끌게 된 프란체스코 1세는 현재 부에노스아이레스 교구 대주교를 맡고 있으며 성직 기간 대부분을 고국인 아르헨티나에서 교회를 돌보는 목자로서 활동했다.
그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보수적으로 평가받는 아르헨티나 가톨릭 교회의 현대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애초 교황 유력 후보군에 전혀 이름이 거론되지 않아 그의 교황 선출은 의외라는 것이 이탈리아 현지와 세계 언론의 반응이다.
VATICAN CITY (AP) ― Argentine Jorge Bergoglio was elected pope Wednesday and chose the papal name Francis, becoming first pontiff from the Americas and the first from outside Europe in more than a millennium.
A stunned-looking Bergoglio shyly waved to the crowd of tens of thousands of people who gathered in St. Peter's Square, marveling that the cardinals had had to look to ''the end of the earth'' to find a bishop of Rome.
He asked for prayers for himself, and for retired Pope Benedict XVI, whose stunning resignation paved the way for the tumultuous conclave that brought the first Jesuit to the papacy. The cardinal electors overcame deep divisions to select the 266th pontiff in a remarkably fast conclave.
Bergoglio had reportedly finished second in the 2005 conclave that produced Benedict ― who last month became the first pope to resign in 600 years.
After announcing ''Habemus Papum'' ― ''We have a pope!'' ― a cardinal standing on the balcony of St. Peter's Basilica on Wednesday revealed the identity of the new pontiff, using his Latin name.
The 76-year-old archbishop of Buenos Aires has spent nearly his entire career at home in Argentina, overseeing churches and shoe-leather priests.
Tens of thousands of people who braved cold rain to watch the smokestack atop the Sistine Chapel jumped in joy when white smoke poured out a few minutes past 7 p.m., many shouting ''Habemus Papam!'' or ''We have a pope!'' ― as the bells of St. Peter's Basilica and churches across Rome pealed.
Chants of ''Long live the pope!'' arose from the throngs of faithful, many with tears in their eyes. Crowds went wild as the Vatican and Italian military bands marched through the square and up the steps of the basilica, followed by Swiss Guards in silver helmets and full regalia.
They played the introduction to the Vatican and Italian anthems and the crowd, which numbered at least 50,000, joined in, waving flags from countries around the world.
''I can't explain how happy I am right down,'' said Ben Canete, a 32-year-old Filipino, jumping up and down in excitement.
Elected on the fifth ballot, Francis was chosen in one of the fastest conclaves in years, remarkable given there was no clear front-runner going into the vote and that the church had been in turmoil following the upheaval unleashed by Pope Benedict XVI's surprise resignation.
A winner must receive 77 votes, or two-thirds of the 115, to be named pope.For comparison's sake, Benedict was elected on the fourth ballot in 2005 ― but he was the clear front-runner going into the vote. Pope John Paul II was elected on the eighth ballot in 1978 to become the first non-Italian pope in 455 years.
Patrizia Rizzo ran down the main boulevard to the piazza with her two children as soon as she heard the news on the car radio. ''I parked the car ... and dashed to the square, she said. ''It's so exciting, as Romans we had to come.''
발행일 : 2013-03-10 [제2835호, 10면] 카톨릭 신문
지난 2005년 스스로를 ‘주님의 포도밭에서 일하는 겸손한 봉사자’로 자신의 교황직을 시작했던 ‘전임 교황’(Pope emeritus) 베네딕토 16세는 2월 28일 바티칸을 떠나 카스텔간돌포에 있는 교황 여름 별장에 도착했다. 그는 이곳에서 약 두 달 가량 머문 뒤 바티칸으로 돌아가 이전에 봉쇄수도원으로 사용되던 곳에 머물며 여생을 기도와 신학 연구에 바칠 예정이다.
전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자신의 교황직이 종료되는 오후 8시까지 불과 2시간 반 남짓 남겨두고, 약 15분간 바티칸으로부터 헬리콥터로 날아와 차를 타고 들판을 가로질러 카스텔간돌포에 도착했다.
교황이 도착하기 수 시간 전부터 이미 마을 주민들과 순례자들, 그리고 많은 방문객들이 교황 숙소 바깥의 광장을 빼곡하게 메운 채 교황을 위해 묵주기도를 바치고 있었다.
교황은 도착하자마자 이층, 광장을 내려다보는 발코니에 모습을 나타내 환호하는 군중들에게 “아름다운 피조물들과 여러분들의 우정에 둘러싸여 행복하다”고 인사를 건넸다.
교황은 이어 “모두 알고 있듯이, 오늘은 지나버린 날들과는 다르다”며 “저녁 8시면 저는 더 이상 교황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리고 교황은 “저는 지상에서의 마지막 순례를 시작하는 소박한 순례자일뿐”이라며 “나의 온마음, 사랑과 기도, 묵상과 성찰, 나의 모든 내적 힘을 다해서, 저는 여전히 교회와 인류의 선익과 공동선을 위해서 일하기를 원합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베네딕토 16세 전임 교황은 마지막 축복을 내린 뒤, 발코니 안쪽으로 숙소를 향해서 천천히 퇴장했다.
그리고 교황직이 공식적으로 끝나는 오후 8시가 되자, 문 안쪽과 바깥쪽에 2명씩 서서 교황을 수호했던 스위스 근위병들은 안으로 들어갔고, 베네딕토 교황 재위의 끝을 상징하듯, 육중한 문은 굳게 닫혔다.
역사상 최초로 명실상부하게 재위 중 사임한 첫 교황으로서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이렇게 교황의 역사에서 스스로 내려왔고, 자신의 말대로 후임교황이 누구이든간에 그에게 무조건적으로 순명할 것을 약속했다.
■ 교황의 마지막 트윗, 그리스도를 통한 기쁨 체험하기를 기도
베네딕토 16세 전임 교황은 퇴위를 몇 시간 앞두고 마지막으로 보낸 트윗을 통해 “여러분들의 사랑과 지지에 감사를 드린다”며 “그리스도를 삶의 중심에 놓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기쁨을 항상 경험할 수 있기를 빈다”고 말했다. 교황은 이에 앞서 2월 27일에는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도인이 되어, 우리를 위해 외아드님을 내어주신 하느님의 사랑을 받을 수 있게 되기를!!”이라고 기원했다. 교황은 또 24일에는 “(교회 역사에 있어서)이 기념비적인 시기에, 저는 여러분에게 저를 위해 교회를 위해 기도해줄 것과 하느님의 섭리를 신뢰해줄 것을 청한다”고 말했다.
■ 마지막 추기경 회의 참석, 새 교황에 무조건적 순명 약속
교황은 퇴위 날인 2월 28일 오후, 이미 로마에 와 있는 144명의 추기경들과의 마지막 공식 만남에 참석했다. 교황은 추기경들에게 영적인 유대 속에 있을 것임을 약속하면서, “여러분들이 새 교황 선출의 과정에서 성령의 인도하심에 온전히 순명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교황은 특히 “지금 여러분들 중에, 추기경단 속에 미래의 교황이 있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새 교황에 대해서 무조건적인 존경과 순명을 드릴 것을 오늘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교황의 마지막 인사를 들은 추기경들은 교황의 말이 끝나자 일제히 자리에서 일어나 박수로 응답했고, 간단한 예식이 끝난 뒤에 추기경들은 일일이 교황과 인사를 나누며 교황의 반지에 입을 맞추거나, 간단한 대화를 나누고, 소박한 선물을 증정하기도 했다.
■ 교황 마지막 주례 알현
교황의 퇴위 하루 전인 2월 27일 열린 일반알현 자리는 수많은 풍선, 꽃다발과 깃발, 포스터들, 15만여 명에 달하는 신자들의 환호와 박수, 그리고 전임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가슴 깊이 우러나오는 감사의 연설이 뒤섞여 이별을 기리는 연회장이 됐다. 사람들은 광장을 빽빽하게 채우고 흘러넘쳐 인근 도로까지 가득 메웠다. 쌀쌀하지만 청명한 날씨 속에서 교황은 오전 10시30분 광장에 도착, 15분 동안 서서 환호하는 사람들에게 손을 흔들었다.
교황은 관례대로라면 먼저 교리교육적인 내용의 연설을 할 것이었지만, 이날은 모두 생략하고 자신의 교황으로서의 삶과 사임의 결정을 지극히 사적이고 감상적인 분위기로 설명했다. 그는 교황 재위 8년 동안을 “기쁨과 빛의 시기, 하지만 어려운 순간들이었다”고 말했다.
“주님은 제게 태양과 산들바람을 주셨고, 풍성하게 물고기를 낚도록 해주셨습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에는 물이 소용돌이치고 역풍이 불기도 했습니다. 주님은 잠들어계신 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저는 주님께서 배 안에 머물러 계셨고, 그 교회라는 배는 제 것도, 우리들의 것도 아닌 그분의 것이기에 그분은 배가 가라앉게 두시지 않을 것임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 교황 호칭은 ‘전임 교황’으로, 빨간 구두 벗고 갈색 간편화 신을 예정
교황청은 2월 28일 퇴위한 베네딕토 16세 교황에 대한 공식적인 호칭은 ‘전임 교황’(Pope emeritus 또는 Roman pontiff emeritus)으로 부르게 될 것이라고 2월 26일 밝혔다. 교황청 대변인 페데리코 롬바르디 신부는 전임 교황에 대한 예우와 호칭, 복장 등은 타르치시오 베르토네 추기경을 비롯한 교황청 관계자들과의 논의를 통해 확정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복장과 관련해, 전임 교황은 흰색 수단을 착용하지만 교황 복장이 간소화된 형태가 될 것이라고 대변인은 설명했다. 베네딕토 교황의 상징과도 같은 빨간색 구두는 앞으로 신지 않고, 대신에 갈색 계통의 간편화를 신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 그 첫 번째로 지난해 3월 멕시코 레온 방문 중 선물로 받은 ‘자파토스’(Zapatos)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 향후 전임 교황의 보안은 바티칸 경찰이 담당한다. 한편 교황을 상징하는 ‘어부의 반지’는 추기경단에게 반납되어 깨뜨려지고, 추기경 때 끼던 주교 반지를 다시 낄 예정이다.
■ 중국교회, 떠나는 베네딕토 교황에게 감사의 서한
교황청 공보실은 교황이 바티칸을 떠난 2월 28일 중국교회의 성직자와 신자들이 전임 교황 베네딕토 16세에게 보낸 서한을 공개했다. 교황이 중국교회에 보여준 관심과 배려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담은 이 서한에서 중국교회는 베네딕토 16세 교황이 “우리가 지고 있는 십자가를 가볍게 해주었다”고 말했다.
서한은 특히 교황이 각종 자연 재해로 고통 받는 중국의 국민들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관심과 사랑을 보여 줌으로써 각 지역교회와 국제사회가 재해의 현장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하도록 배려해주었다고 말했다. 서한은 한편 교황의 퇴위에 대한 안타까움과 슬픔을 표시하면서, “계속해서 중국의 양떼들을 돌봐주고, 퇴임 후에도 중국 국민들과 기도 안에서 함께하기를 빈다”고 말했다.
첫댓글 빠른 정보 감사드려요 착한양 자매님. 담아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