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유(王維)-여노원외상과최처사흥종임정(與盧員外象過崔處士興宗林亭)(원외 노상과 최흥종 처사의 정자를 지나며)
綠樹重陰蓋四隣(녹수중음개사린) 겹겹이 짙은 녹음 사방을 뒤덮고
靑苔日厚自無塵(청태일후자무진) 푸른 이끼 날로 두텁고 티끌 없는 곳에
科頭箕踞長松下(과두기거장송하) 맨머리로 장송 아래 발 뻗고 앉아
白眼看他世上人(백안간타세상인) 세상 사람들을 흘겨보나니
*왕유[王維, 701년 ~ 761년, 자는 마힐(摩詰), 분주(汾州, 지금의 산시성(山西省) 펀양(汾陽) 출신]는 중국 성당 시기의 시인이며 화가이자 관료로, 이백은 천재天才, 두보는 지재地才, 왕유는 인재人才로 평하기도 하고, 각각 시선詩仙, 시성詩聖, 시불詩佛이라 하였습니다.
시,서,화,음악에 능통하였고, 문학적으로는 산수전원시를 많이 창작하였고, 그림 방면에서는 중국 남송화의 비조로 추앙되며 음악에도 정통하였으며, 회화성이 뛰어나고 선취禪趣가 풍부한 산수전원시를 많이 썼습니다. 안녹산 반군에게 잡혀 반강제적으로 관직을 맡았다가 난 평정후 하옥되어 죽을 뻔한 것을 동생 왕진의 구명운동으로 풀려났고, 독실한 불교신자였던 어머니의 감화를 받아 불교에 귀의하였고, 40세 때 장안 남쪽 남전현에 있는 망천 별장을 얻어 친구 배적과 더불어 반관반은半官半隱 생활을 하며 자연에서 노니는 즐거움을 시로 읊었습니다.
*위 시는 한문학계의 원로이신 손종섭 선생님의 “노래로 읽는 당시”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 본 것인데, 예법 따위에 구애되지 않는 철저한 자연인으로 아무렇게나 앉아 세상의 속물들을 못마땅한 눈길로 바라보는 초연히 속세를 떠난 주인의 세외인世外人 다운 면모를 몇마디 요어要語로 그 의태意態마저 생동하게 그려낸 작품이라 합니다.
*형식 : 칠언절구(七言絶句)
*員外(원외) : 원외는 관직명이고 노상은 사람 이름
處士(처사) : 처사란 벼슬이 없는 선비를 부를 때 쓰는 말인데, 원외 역시 한직이어서 처사나 별반 다르지 않다.
科頭(과두) : 두건이나 관 따위를 쓰지 않은 맨머리, 이런 자세를 ‘맨머리바람’이라 한다.
箕踞(기거) : 키箕 모양으로 두 다리를 앞으로 벌려 쭉 뻗고 앉는 앉음새
白眼(백안) : 흰자위가 허옇게 드러나게 본다는 뜻으로 흘겨봄, 백안시白眼視↔청안靑眼
첫댓글 속세를 벗어나 자연과 함께 더불어 사는 삶.
세상사의 일에는 초연한 자연인의 삶이 어느때는 부럽기도하네요~~~
ㅎ, 언제나 시인과 같은 경지에 오를 수 있을 지 부럽습니다.
회장님의 멋진 댓글에 감사드리고,
이번 주도 즐거움이 가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