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병장수 100세 시대①]
요즘 유행하는 ‘구구팔팔·일이삼사’를 아십니까?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어르신들 <사진=뉴시스>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병 없이 건강하게 오래 사는 무병장수(無病長壽)는 축복받은 인생이다. 인간은 건강하면 몇 살까지 살 수 있을까? 근대적 문서로 증명이 가능한 최장수 기록 보유자는 122세까지 살았던 프랑스인 잔 칼망(Jeanne Calent, 1875-1997) 할머니다. 장수(longevity)란 생명체가 오래 사는 것을 뜻하며, 보통 사람이 평균 이상의 삶을 누리다 죽는 것을 뜻한다. 인간의 수명을 성서(Bible)적 차원에서 보면, 구약전서(The Old Testament) ‘창세기(Genesis)’에는 아담(Adam)이 930세, 셋(Seth)이 912세, 에노스(Enosh)가 905세, 최장수자인 므드셀라(Methuselah)는 969세까지 살았다고 기술돼 있다. 그러나 창세기 6장 3절에는 인간의 한계수명을 120세로 규정했다. 즉, 주께서 “생명을 주는 영이 사람 속에 영원히 머물지는 않을 것이다. 사람은 죽기 마련이요, 그들의 날은 120년이다.(My Spirit will not contend with man forever, for he is mortal; his days will be a hundred and twenty years.)”라고 말씀하셨다. 또한 시편(Psalms) 90편 10절에는 “우리의 연수가 70이요 강건하면 80이라도, 그 연수의 자랑은 수고와 슬픔뿐이요, 빠르게 지나가니, 마치 날아가는 것 같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노화(老化)ㆍ장수(長壽)분야 학자들은 현대인들의 성장 발육이 24-25세에 완성되며, 그 발육기간의 5배가 인간의 한계수명이라는 것을 근거로 하여 인간은 120-125세까지는 살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또한 70세, 80세는 이른바 인간의 평균수명으로 요즘 선진국의 평균수명이 이에 근접하는 수치인바 2천년 전 성경말씀과 현대의 연구결과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최근 인구통계 보고서에 의하면 2013년 기준 한국인의 기대 수명은 81.8세이지만 건강수명, 즉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정상적인 생활을 하며 사는 기간은 73년이므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8.8년을 병석에서 보내고 있는 셈이다. 이에 정부는 건강수명을 늘리기 위한 보건복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현대인은 과거 어느 때보다 건강에 관심이 클 뿐만 아니라 심지어 너무 지나칠 정도로 과민하다. 그러나 이에 걸 맞는 건강관리를 잘 하지 못하는 이유는 건강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잘못돼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누려야 할 필수적인 건강 요소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안녕이다.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인간의 최대 욕망은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므로 누구나 늙기를 싫어하고 더욱이 죽음을 두려워한다. 그러나 단순히 오래 사는 것보다 건강한 몸 상태를 유지하면서 오래 사는 것이 종요하다. 이에 인간은 ‘웰빙(well-being)’을 추구하고 ‘웰다잉(well-dying)’을 소망한다.
요즘 ‘99ㆍ88ㆍ1ㆍ2-3ㆍ4’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다. 즉, 99세까지 팔팔(88)하게 일(1) 또는 취미활동을 하면서 살다가, 노환으로 2-3일 정도 병석에 누워 있으면서 사랑하는 자손들을 모두 만나고 또한 유언도 남긴 후 죽음(4)을 맞이하는 행복한 일생을 말한다
[무병장수 100세 시대②] 버나드 쇼·알렉산더 대왕이 죽으며 남긴 한마디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필자가 주일마다 가족과 함께 예배를 드리는 연세대 교회(Yonsei University Church)에서는 1월3일 신년 주일(New Year’s Sunday) 예배를 드리고, 오찬을 함께 하면서 교인 300여명 중 90세 이상 어르신 7분(남성 5명, 여성 2명)께 세배를 드렸다. 우리 교회의 최고령자는 98세(1918년생)이며 아직 100세 장수인은 없다.
한국 철학계의 대부이자 이 시대의 멘토로 꼽히는 김형석(金亨錫, 1920년 평남 대동 출생) 연세대 철학과 명예교수는 96세인 요즘도 매일 산책과 일주일에 세 번 수영을 30분씩 한다. 그는 노인들의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는 지팡이, 보청기, 틀니가 없다. 김 교수의 <영혼과 사랑의 대화>는 수필집으로 전무후무한 베스트셀러이며, 요즘도 책을 쓰고 강연을 다닌다. 나이를 먹어도 일을 멈추지 않고 하는 것이 건강 비결이라고 말한다.
김형석 교수는 지난해 9월 출판한 <예수>의 서문에 “예수가 누군가를 묻고, 그 예수와의 관계가 어떤 것인가를 진지하게 모색하고 경건히 탐구하는 데 작은 도움이 된다면 그 이상의 고마움이 없겠다”고 적었다. 그는 오늘날 한국 교회가 사랑의 봉사보다는 소유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더 관심을 가지고 있는 비정상적인 ‘교회주의’를 걱정하면서 교회는 사회를 위해 있는 것이며 사회가 교회를 위해 있는 게 아니라고 상기시켰다.
아일랜드 출신의 영국 극작가 겸 소설가, 비평가인 조지 버나드 쇼(George Bernard Shaw, 1856-1950)의 묘비명(墓碑銘)은 “I knew if I stayed around long enough, something like this would happen”이다. 즉 인간은 살다 보면, 결국은 죽음을 맞는다는 뜻으로 “오래 살다 보면, 이런 일(죽음)이 생길 줄 알았다” 는 것이다.
버나드 쇼는 1903년 생명철학에 기초한 작품 <인간과 초인>(Man and Superman)으로 세계적인 극작가로 발돋움했으며, 1925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그의 많은 명언(名言) 중에는 “나는 젊었을 때 10번 시도하면 9번 실패했다. 그래서 10번씩 시도했다” “자신의 부족한 점을 더 많이 부끄러워할 줄 아는 이는 더 존경받을 가치가 있는 사람이다” “유능한 자는 행동하고, 무능한 자는 해설한다” 등이 있다.
“When I was young, I observed that nine out of ten things I did were failures. So I did ten times more work.” ? George Bernard Shaw
The more things a man is ashamed of, the more respectable he is. - George Bernard Shaw -
알렉산더 대왕(알렉산드로스 대왕, Alexandros the Great, BC 356-BC 323)은 20세 나이에 마케도니아의 왕(재위 BC 336-BC 323)이 되어 그리스ㆍ페르시아ㆍ인도에 이르는 대제국을 건설하여 그리스 문화와 오리엔트 문화를 융합시킨 새로운 헬레니즘 문화를 이룩하였다. 알렉산더 대왕은 BC 323에 아라비아 원정을 준비하던 중, 33세 젊은 나이에 갑자기 사망했다.
알렉산더 대왕이 죽으며 남긴 마지막 말은 “나를 묻을 땐 내 손을 무덤 밖으로 빼놓고 묻어주게. 천하를 손에 쥔 나도 죽을 땐 빈손이란 걸 세상 사람들에게 말해주고 싶다네” 라고 했다. 한 철학자는 “어제는 온 세상도 그에게 부족했으나, 오늘은 두 평의 땅으로도 충분하다. 어제까지는 그가 흙을 밟고 다녔으나, 오늘부터는 흙이 그를 덮고 있다”고 말했다.
Alexander saide, “And about my third wish of having my hands dangling out of the coffin, I wish people to know that I came empty handed into this world and empty handed I go out of this world.” With these words, the king closed his eyes. Soon he let death conquer him and breathed his last.
[무병장수 100세 시대③]
‘전해라 짤방’ 주인공 이애란의 ‘백세인생’ 사는 비결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오키나와는 세계에서 100세 이상 노인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세계적인 장수촌이다. 오키나와는 일본 본토와 대만 사이에 약 800마일에 걸쳐 뻗어 있는 군도로 161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오키나와 북부에 위치한 오기미 마을 해변 근처에 있는 기념비에는 고대 오키나와의 속담이 새겨져 있다. 거기엔 “70세에 당신은 어린아이에 불과하다. 80세에 당신은 청년이다. 90세에 조상들이 당신을 천국에 초대한다면, 100세까지는 기다리라고 말해라. 100세가 된다면 한번 고려해볼 만하다”라고 적혀 있다. 오키나와의 모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요즘 이애란 트로트 가수가 부른 ‘백세인생’이 인기가 높다. 강원도 홍천에서 1963년 출생한 이애란은 1990년 ‘서울 뚝배기’이란 노래로 데뷔 하였다. 그러나 25년이라는 긴 무명가수(無名歌手) 생활을 한 뒤 2015년 ‘명품 가요 쇼’에서 ‘백세인생’을 부르는 도중에 “못 간다고 전해라”라는 가사가 나오는 장면이 화제가 되어 유행을 타기 시작하였다. 이애란 - 백세 인생
‘백세인생’ 가사는 다음과 같다.
“육십세에 저 세상에서 날 데리러 오거든, 아직은 젊어서 못간다고 전해라/ 칠십세에 저 세상에서 날 데리러 오거든, 할일이 아직 남아 못간다고 전해라/ 팔십에 저 세상에서 날 데리러 오거든, 아직은 쓸만해서 못간다고 전해라/ 구십세에 저 세상에서 날 데리러 오거든, 알아서 갈 테니 재촉말라 전해라/ 백세에 저 세상에서 날 데리러 오거든, 좋은 날 좋은 시에 간다고 전해라/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또 넘어간다”
“팔십세에 저 세상에서 또 데리러 오거든, 자존심 상해서 못간다고 전해라/ 구십세에 저 세상에서 또 데리러 오거든, 알아서 갈 테니 또 왔냐고 전해라/ 백세에 저 세상에서 또 데리러 오거든, 극락왕생 갈 날을 찾고 있다고 전해라/ 백오십세에 저 세상에서 또 데리러 오거든, 나는 이미 극락세계에 와있다고 전해라/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우리 모두 건강하게 살아가요”
노래 가사가 재미있고, 삶에 대한 아름다운 철학과 이 세상에서 건강하게 오래 살다가 저 세상 극락세계(極樂世界)로 가자는 내용이 담겨있다. 인간은 이 세상에 태어나는 순간부터 늙음을 향해 가고, 그리고 죽음으로 접근해 가고 있는 것이다.
100세 장수인 특성에는 규칙적인 운동에 즐거움을 느끼며, 평온하면서도 활달한 성격의 소유자들이다. 그들의 생활습관은 모나지 않고 온건하며, 과거에 대한 향수에 젖지 않는다. 장수 노인들은 그들이 누구인가 보다는 무엇을 하는가에 더 신경을 쓰며, 자신들이 한 일에 자부심을 느낀다. 고령에도 불구하고 일상적으로 규칙적인 삶을 살고, 유머 감각이 살아 있다.
인간이 종교를 갖고 신앙생활을 하면 보다 건전한 일상생활을 하게 되고 사회 봉사활동에도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므로 스트레스를 완화해 주는 힘을 얻게 된다. 또한 희망과 낙관주의가 우리 인간의 면역체계를 강화시켜 주며, 감사하는 마음을 습관화하면 행복지수가 올라가고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다. 우리는 이 세상에서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건강관리 수칙을 충실히 실천해야 한다.
|
출처: 마음의 정원 원문보기 글쓴이: 마음의 정원
첫댓글 건강관리에 관한 좋은 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