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5사를 보면 문헌기록에 황하강이나 양쯔강은 커서 바다로 불렀다.
김수로의 부인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이 이동경로는 바다가 아니라 강인데
바다로 오인한다.양쯔강을 따라 사천성에서 상하이시 위로 흐르는 강이다.
거기에 가야의 도읍지인 안휘성이 있다.
김수로와 허황옥은 애초부터 중국땅에 있었지 한반도로 오지 않았다.
f-->v-->w발음변화
독일어는 Wasser 바서 라고 읽는다.
t-->ts-->s발음변화를 거쳤다.
water 물
바다 러시아어 물
와다 일본어 바다의 신
바다는 물이란 뜻이다.
고구려어로 買매 라고 불렀는데 파르 바르 마르 마히 마이 매
j의 반모음적 성질--->y
買매 고구려어 물
아프리카 스와힐리어
maji
1.복수명사 물, 액체.습기
2.복수명사 med. 분비, 분비물, 분비액, 객담, 배설물(종기 따위에서 나오는) 고름.
3.복수명사 -a maji (또는 maji maji).adj. 수분이 많은 눅눅한, 습기찬. (techn.) 수력의, 수압의, 수역학의.
海바다,해를 보면 每매가 있다.이게 발음이다.
일본어는 우미를 바다라 하는데 우雨+미(=매;물水)/미즈우미는 호수,미즈는 물이다.
비,우 雨역시 어원은 물이다.
장마 의 장=마 역시 물이자 비를 뜻한다.
每는 지역,나라,민족에 따라 발음도 다르다
모 모이 무이 매 마이
moisture 수분
mo물+isture있어
moi 물+sture젖어
베트남어
mỗi [每]
1. 각각의2. 모든
발음 [모이]
대만어 [무이]
매=미==> 미역/미더덕/미나리/미꾸라지/미끄럽다
까이<--캐=패-->해
파하르 파하리 바리 바이 마이 매
바를 바랄 바다로 쓰이던 말이다.
스와힐리어
Bahari
바다
하우사어
bahàr̃
명사 바다 (=tḕku)
페르시아어
بحر [bahr]
1.(복수 بحار، بحور) (دریا، اقیانوس) 바다
2.운율
고대 그리스에선 만물의 어머니인 ‘아르케(Arche)’로 물을 꼽았다.
아리수水 아르海해
프랑스어에 mer는 바다이고 영어 marine은 바다인데 물과 같다.
스페인어에는 mar
水수 역시 페르시아,중앙아시아 투르크어를 거쳐온 말로 물,강,씻다는 뜻이 있다.
살수대첩의 살수는 노란강 즉 황하강을 말한다.
몽골어 샤르 노랗다
투르크어 사르 노랗다
우리말 살구색 살색 노란색이다.yellow people 황인종 피부
살은 불타는 색이라 오렌지색,태양색에 가깝다.
햇살 사르 수르 소르 서르 모두 해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