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M 중심으로 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으로 지속적인 성장 -
- 2022년까지 200만개의 일자리 창출 예상 -
□ 세일즈포스(Salesforce) 소개
ㅇ 세계 최초로 CRM 서비스를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제공한 기업, Salesforce
- 세일즈포스는 미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명한 비즈니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1999년 샌프란시스코에 한 작은 아파트에서 시작됨.
- 창업자는 베니오프(Marc Benioff)로, 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 SaaS(Software-as-a-Service)을 개발함.
- 설립한 지 13년만인 2012년, CRM 시장을 장악하고 있던 SW기업 SAP를 제치고 세계 CRM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 세일즈포스 창업자 베니오프는 지난해 말 실적 발표 자리에서 2022년까지 지금보다 두 배 성장한 200억 달려(21조4200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함.
ㅇ 세일즈포스의 CRM 시스템
- 기존 CRM은 회사 서버에 설치하는 기간이 평균 12개월 가량 걸린 반면, 세일즈포스 CRM은 평균 3개월 정도 밖에 걸리지 않음
- 설치 기간 단축이라는 경쟁력으로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할 수 있었음.
-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에 호스팅하고 사용자들에게 매달 일정의 사용료를 받는 SaaS를 사용함으로써 중소기업에서 대기업까지 비지니스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
- 기업을 위해 제작된 세일스포스 CRM은 수정 및 변경도 쉬움
ㅇ 지속적으로 성장 중인 기업, 세일즈포스
- 구글, 던킨도넛, 유한 킴벌리 등 세계적인 대기업들이 세일즈포스 CRM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음.
- 세일즈포스 사용기업은 13,500 이상에 달하며(2017년 9월 기준) 2014년 약 5,100기업만이 사용했던 것에 비하면 3년간 3배 정도로 사용 기업이 증가함
- SAP을 주로 사용하는 유럽 지역을 비롯하여 아시아로 시장 개척 중
- 최근 구글과의 파트너십을 발표했으며, 앞으로 구글 제품과 세일즈포스 제품의 연동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 구글 클라우드 CEO Diane Greene는 세일즈포스와의 파트너십과 관련해 "세일즈포스와의 파트너십은 자연스러웠으며 세일즈포스 CRM과 G Suite는 함께 팀들이 더 생산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며 "이는 우리들의 고객과 파트너들에게 큰 승리일 것이다"고 밝힘.
세일즈포스의 장점(사용자 리포트)

자료원: 세일즈포스 홈페이지
세일즈포스 사용 기업들

자료원: Siftery
세일즈포스 매출 성장
(단위: 십만 달러)

출처: 세일즈포스 파일링
□ 세일즈포스 개발자
ㅇ 담당업무
- 고객과 유저들을 위한 맞춤 세일즈포스 환경 제작
- 세일즈포스를 회사 내 필요 시스템과 연동
- 다른 세일즈포스 개발자들이 작업하기 쉽도록 애플리케이션 개발
세일즈포스 직책 별 업무

자료원: 세일즈포스 홈페이지
ㅇ 세일즈포스 개발자가 되기 위한 조건
- 세일즈포스의 프로그래밍 언어인 아펙스(APEX)와 자체 UI 프레임워크인 비주얼포스(Visualforce)를 사용할 줄 알아야 함
- 프로그래밍 언어뿐 아니라 비즈니스와 소통할 줄 아는 커뮤니케이션 스킬도 중요
- 세일스포스를 개발하는 기업 대부분은 세일즈포스 자격증이 있는 개발자만 채용하기 때문에 세일즈포스 자격증은 필수로 필요
세일즈포스 개발자 자격증 종류
Salesforce Certified Commerce Cloud Digital Developer
|
Salesforce Certified Platform Developer I
|
Salesforce Certified Platform Developer II
|
자료원: 세일즈포스 홈페이지
세일즈포스 자격증 종류와 중요도

자료원: sfdcfanboy.com
ㅇ 개발자를 위한 세일즈포스의 지원
- 개발자들의 지속적인 트레이닝을 위하여 Trailhead와 Workbook 등의 무료 교육지원
- 외국인 개발자 채용을 위한 비자 지원 (세일즈포스 개발자 비자 신청 현황: http://www.myvisajobs.com/Visa-Sponsor/Salesforce-Com/471153.htm)
Trailhead

자료원: Trailhead 홈페이지
□ 한국 청년 진출 가능성
ㅇ 미국 내 필요로 하는 개발자 수요 부족
- 미국 내 개발자의 경우 현재 인력시장에 나와있는 구인 수에 비해 현저하게 적음.
-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있다고 하더라도 직책에 맞는 스킬을 지닌 이들이 많지 않음.
컴퓨터 관련 구인 수 및 관련학과 졸업생 수

자료원: www.cacm.acm.org
ㅇ 높은 숫자의 외국인 개발자 고용과 비자 지원
- My Visa Jobs의 조사(2016년)에 따르면 미국 워킹비자 신청 내역 중 컴퓨터 시스템 디자인과 관련 서비스 직업의 비자(H1B)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음.
- 미국 시장 내 개발자 부족으로 해외 인력 채용이 많음.
미국 비자신청 현황
(단위:명)

자료원: Statista
ㅇ 진출 공략 포인트
- Linkein 이력서 등록 : Linkein을 통하여 헤드헌터들의 연락이 많이 오기 때문에 이력서 업데이트에 신경 쓸 것
- 세일즈포스 개발자 자격증 획득 : 세일즈포스 개발자를 채용하는 기업에서는 세일즈포스 자격증 유무를 중시하므로 미리 준비해놓을 것(소지 자격증 종류, 갯수에 따라 직책과 연봉이 달라질 수 있음)
- 세일즈포스 애플리케이션 개발회사 조사 : 세일즈포스 기업 뿐만 아니라 많은 소프트웨어 기업에서 세일즈포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기에 관련 기업들 리스트를 만들어 해당 기업 홈페이지 구직 공고란을 꾸준히 확인할 것(https://www.thetoptens.com/salesforce-development-companies/)
- 프리랜서 사이트 이용하기 : 세일즈포스 개발자 부족으로 프리랜서 구인 공고가 올라오고 있음, 미국 내 개발자로 한정돼 있지 않기에 이를 통해 경험을 쌓는다면 도움이 될 것임
- 세일즈포스 개발자 커뮤니티 활용 : 커뮤니티에 가입하여 현재 활동 중인 개발자들과 교류하며 세일즈포스 시장흐름을 파악해 둘 것(https://www.janbask.com/salesforce-application-development/)
세일즈포스 개발자 커뮤니티

자료원: JanBask 홈페이지
□ 시사점
ㅇ 한국 IT 산업 인력 수출의 기회
- 세계 최고의 IT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 한국의 유명세를 이용하여 구직 활동을 한다면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됨
- 전문직종으로 우선 순위로 비자 획득이 가능한 직군인 만큼 해외 채용의 기회가 높을 것임
ㅇ 자기개발은 필수
- 컴퓨터 언어로 작업하는 직업이긴 하지만 비즈니스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게 요구되는 만큼 영어 실력 향상은 필수
- 언어 실력 향상의 증거로 TOEIC 이나 TOEFL 시험을 준비하는 구직자들도 많으나 미국에서는 시험 성적이 보단 인터뷰를 중시하므로 스피킹 실력 향상이 해외 구직에 더 도움이 될 것임.
- 국내 컴퓨터 관련 자격증이 아닌 해외 공인 자격증 획득이 구직에 더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자료출처: Statista, Salesforce, CRS info Solutions, JanBask, the Seattle Times, Sfdcfanboy, CSCM, Trailhead, Sift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