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허리케인 이름들,
누가 어떻게 정할까?
다양한 허리케인 이름들,
누가 어떻게 정할까?
©Getty Images
허리케인에 이름을 붙이는 것은 명확한
의사소통과 공공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세계 기상 기구(WMO)는 기상학자와 대중이
이러한 강력한 시스템을 추적하고 논의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체계적인 폭풍 이름 리스트를 관리하고 있다.
초기의 명칭은 무작위로 지정되거나
지역적 참조를 기반으로 했으나, 현재는
체계적인 알파벳 구조를 따르고 있다.
허리케인 이름이 어떻게 정해지는지 더 자세히
알아보려면 다음 슬라이드를 클릭해 보자!
사전 작성된 이름 리스트
©Getty Images
허리케인 명칭은 세계 기상 기구(WMO)에 의해 관리되는
여섯 개의 리스트가 알파벳 순 으로 미리 정해져 있다.
이 리스트는 6년마다 다시 번복 되어 붙혀지기 때문에
대중에게 일관되고 친숙한 이름을 유지할 수 있다.
6년마다 재사용
©Getty Images
허리케인 이름 로테이션은 알베르토(a)로 시작하여
윌리엄(w)으로 끝나는 2024년의 이름을 2030년에
다시 사용함으로써 허리케인 이름 지정 관습의
연속성을 유지한다는 의미이다.
열대성 폭풍 이름 짓기
©Getty Images
발달 중인 사이클론은 시속 39마일(63km/h) 이상의 바람이
지속되어야 열대성 폭풍으로 분류되면 이름을 얻게된다.
이러한 이름 지정 과정을 통해 기상학자와 대중은
폭풍에 대해 쉽게 추적하고 소통할 수 있다.
허리케인이 되기까지
©Getty Images
열대 폭풍의 최대 지속풍속이 119km/h에 도달하면
공식적으로 허리케인으로 분류된다. 이 분류는
경고를 발령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과거 명칭 지정 사례
©Getty Images
역사적으로 폭풍 이름은 더 무작위적이었으며,
때로는 성인이나 폭풍의 영향을 받은 지역의
이름을 따르기도 했다.
무작위 이름의 예시
©Getty Images
예를 들어, 1842년에 항해 중이던 '안티에(Antje)'라는
배에 피해를 준 폭풍은 '안티에 허리케인'이라고 불렸다.
알파벳순 네이밍 시스템
©Getty Images
기상학자들은 질서와 명확성을 위해
알파벳 이름 체계를 채택하였으며,
시즌 첫 번째 폭풍에는 'A' 이름,
두 번째 폭풍에는 'B' 이름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이름 리스트의 출처
©Getty Images
국립 허리케인 센터(NHC)는
1953년에 이름 리스트를 작성했으며,
초기에는 여성의 이름들만 사용했다.
70년대 이후 번갈아 가며 사용된 이름
©Getty Images
1979년부터는 목록이 여성과 남성의 이름을
번갈아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오늘날과 같이 6개의 리스트가 6년마다
번복되기 시작한 것도 이 시기이다.
태평양 허리케인 이름
©Getty Images
태평양 허리케인 이름은
동일한 체계를 따르지만 각기
다른 지정 목록이 따로 존재한다.
때론 이름이 삭제 되기도
©Getty Images
또한 허리케인으로 인한 피해가
특히 더 치명적이거나 파괴적인 경우
허리케인 이름이 6년마다 재번복 되지
않도록 이름 리스트에서 삭제 할 수 있다.
위원회에서 삭제 결정
©Getty Images
이름 목록에서 이름을 삭제할지는
국립 허리케인 센터(NHC)가
주최하는 위원회 회의에서 결정된다.
피해자에 대한 존중과 세심한 배려
©Getty Images
허리케인으로 인해 심각한 인명 손실, 광범위한 피해
또는 오래 지속되는 트라우마가 발생한 경우, 향후
동일한 이름을 다시 사용하는 것은 생존자와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사람들에게 무감각하거나
상처를 주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기 때문이다.
주목할 만한 변경된 명칭
©Getty Images
수년에 걸쳐 일부 이름은 명확한 이유 없이 변경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1966년 NHC에 따르면 '펀'이라는 이름은
'프리다'로 변경되었다.
없어진 여러 명칭들
©Getty Images
특히 치명적인 허리케인 시즌에는
태풍의 재난적 영향으로 인해
여러 개의 명칭이 삭제될 수 있다.
카트리나에서 카티아로
©Getty Images
2005년 뉴올리언스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것으로 알려진
카트리나는 이후 목록에서 카티아라는 명칭으로 대체되었다.
플로이드에서 프랭클린으로
©Getty Images
마찬가지로 1999년에 발생한 대형 허리케인과
연관된 '플로이드라'는 이름은 나중에
'프랭클린'이라는 명칭으로 대체되었다.
최근 폐기된 명칭들
©Getty Images
2017년에는 하비(Harvey), 어마(Irma),
마리아(Maria), 네이트(Nate) 등
치명적인 재난이 되어 여러
허리케인 명칭이 폐기되었다.
이다에서 이마니로
©Getty Images
2021년에 심각한 피해를 입힌
허리케인 이다(Ida)도 폐기되었으며,
2027년에는 이마니(Imani)라는
명칭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기타 변경된 명칭 리스트
©Getty Images
2022년 폭풍 이후에도 몇몇 이름이 폐기되었으며,
아이언(Ian)은 이드리스를(Idris)로,
피오나(Fiona)는 파라(Farrah)로 변경되었다.
없어진 허리케인 명칭 수
©Getty Images
1953년 이후 세계기상기구는
94개의 허리케인 명칭을 폐기했다.
2024년 허리케인 명칭
©Getty Images
2024년 허리케인 이름 목록에는 알베르토로(A) 시작하여
윌리엄(W)으로 끝나는 21개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다.
다양한 명칭
©Getty Images
크리스, 아이작, 사라처럼 익숙한 이름부터
네이딘, 타라, 밀턴처럼 흔하지 않은 이름도
리스트에 포함되어있다.
Q, U, X, Y, Z로 시작하는 이름은 없다
©Getty Images
허리케인 목록에 있는 이름은 21개에 불과한데,
이 문자로 시작하는 일반적인 이름을 충분히 찾기
어렵기 때문에 Q, U, X, Y, Z는 제외되었기 때문이다.
다음 연도의 허리케인 이름들
©Getty Images
NHC는 향후 몇 년 동안 6개의
순환 이름 목록을 유지하며,
2025년에는 로렌조, 에린, 제리, 타냐 등
6개의 이름을 사용할 예정이다.
그 시즌 허리케인 이름이 부족할 경우
©Getty Images
알파벳순 이름이 부족할 경우 WMO에서
추가 이름 리스트를 준비해 두고 있다
최근 사례
©Getty Images
이 추가 리스트는 지난 15년 동안 단 두 번만 사용되었으며,
가장 최근의 사례는 2020년에 있었다. 해당 시즌에는
9월 중순에 기족의 허리케일 이름 리스트가 모두 소진되었었다.
그리스 알파벳 사용 종료
©Getty Images
WMO는 이름이 부족할 때 그리스 알파벳을 사용했지만,
2021년 위원회 회의에서 이 관행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그리스어 사용 종료 이유
©Getty Images
그 이유는 그리스어 이름이 너무 많은 관심을 끌고,
일부 사람들에게는 발음하기 어려우며, 폭풍의
실제 영향에서 초점을 멀어지게 하기 때문이다.
출처:
(CBS News)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