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b → 가자궁묘: home(집 '가') + womb(자궁) + tomb(묘). 집을 가리키는 것은 분명하지만 등장인물이 인간의 출생과 죽음을 동시에 생각한 구절에서 이 표현을 썼기 때문에 이렇게 번역한 것이다.
cropse → 시곡체: crop(곡물) + corpse(시체). 죽음과 부활의 절묘한 조어다.
thirstay mourin → 고행하는 갈신(渴神)목요일 조조(弔朝)에?: Thursday morning(목요일 아침) + Thursday mourning(목요일의 비탄) + thirsty mourning(목마른 비탄) + Thor's day(북유럽에서 토르의 날) + I thirst(나는 목타도다. 요한복음 19장 28절 중)
stlongfelloa → 강장자(強長子): strong(강한) + long(긴) + fellow(동료, 남자)
liffeying waters → 생도엽(生跳葉)의 물소리: leafy(잎이 많은) + leaping(도약) + living(생활) + Liffey(더블린을 통과하는 강)
relevution(혁명계시) → revolution(혁명) + revelation(계시)
Sandyas → Sanctus(라틴어로 holy) + Sandhi(산스크리트어로 peace)
whouse → 뉘집: who(누구) + house(집)
Finnegan → Finn(게일어, 전설의 거인) + fin(프랑스어, 끝) + finis(라틴어, 끝) + again(영어, "다시")
제임스 조이스의 다른 책으로는
율리시스
젊은 예술가의 초상
등이 있다
|
첫댓글 저게 뭐야 첫장읽는데 한자로 재번역이 많아서 다 해석해야겠넼ㅋㅋ
번역 어케 하누......진심 원서로 읽는 게 낫겠다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