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七、衰旺 17.쇠왕
能知衰旺之真機,其於三命之奧,思過半矣。 쇠왕을 알수 있는 진기는, 삼명에서 그는 오묘하여, 생각은 반이 넘는다.
原注:旺則宜洩宜傷,衰則喜幫喜助,子平之理也。 然旺中有衰者存,不可損也;衰右有旺者存,不可益也。
원주 : 왕이면 마땅히 설하고 상하는 것이 좋고, 쇠이면 기쁘게 거들고 기쁘게 돕는것인데, 자평의 이치다. 따라서 왕중 쇠가 있어 존재하고, 손해일 수 없다 : 쇠 앞에 왕이 있는 것이 존재하면 유익할 수 없다.
旺之可損,以損在其中矣;衰之極者不可所當損者而損之,反凶;實所當益者而益之,反害,此真機,皆能知之,又何難於詳察三微奧乎? 왕의 손해 가능은 손해로 그 안에 존재하는 것이다 ; 쇠가 다하면 당연히 손해일 수 없으며, 손해이고, 반대로 흉하다 :실제에서 당연 이익이면 이익이고 반대로 해이며, 이 진기는 모두 알 수 있으며, 또한 어려움을 상세히 살피면 세 가지 미묘가 어찌 되겠는가? 任氏曰; 得時俱為旺論,失令便作衰看,雖是至理,亦死法也。 夫五行之氣,流行於四時,雖日干各有專令,而其實專令之中,亦有並存者在,如春木司令,甲乙雖旺,而此時休囚之戊己,亦未嘗絕於天地也;冬水司令,壬天雖旺,百此時休囚之丙丁,變未嘗絕於天地也。
임(임철초)씨는 "시를 얻어서 왕론이 되고, 잃은 령은 쇠한 것으로 보는데, 비록 이는 이치이지만, 역시 사법이다"라고 말했다. 무릇 오행의 기운은 사시에서 유행하고, 비록 일간 각각 특령이 있지만, 사실 전령에는또한 존재하는 것이 있다. 예로 춘목 사령은, 비록 갑을이 왕이며, 이때 휴수의 무기도, 천지에서 절이 없다 ; 겨울 수 사령은, 임 천간은 비록 왕하지만, 백이면 휴수의 병정이 때이고 변해 천지에서 절이 아니다.
物時當退避,不敢爭先,而春實春土何嘗不生萬物,冬日何嘗不照萬國乎? 況八字雖以月令迷重,而旺相休囚,年日時中,亦有損益之權,故生月即不值令,亦能值年值日值時,豈可執一而論?
사물의 때는 당연 물러나 피하고, 감히 앞을 다투지 않고, 봄은 봄토를 사실 왜 관장해 만물을 낳지 않는가, 겨울날은 어찌 만국을 비추지 않는가? 하물며 팔자는 월령으로 미혹을 가중하며, 왕상휴수이고, 연일시중이며, 또 손익의 권리도 있기 때문에, 생월은 령 가치가 없으며, 또한 연치 일치 시치일 수 있는데, 어떻게 한 가지 주장을 할 수 있겠는가?
有如春木雖強,金太重而木亦危;干庚辛而支申酉,無火制而不富,逢土生而必夭,是得時不旺也。 있어 만일 춘목이 비록 강하지만 금이 태중이면 목도 위태롭다; 천간 경신이며 지지는 신유이고, 무화 제재이면 부유가 없고, 토생을 만나면 반드시 죽는다, 이는 득시 불왕이다.
秋木雖弱,木根深而木亦強,干甲乙而支寅卯,遇官透而能受,逢水生而太過,是失時不弱也。
추목은 약하지만, 목 뿌리는 깊고 나무도 강하고, 천간 갑을이며 지지 인묘이고, 관을 만나 투출하며 받을 수 있고, 수생을 만나면 태과하고, 이는 실시 불약이다.
是故日干不論月令休囚,只要四柱有根,便能受財官食神而當傷官七殺。 長生祿旺,根之重者也;墓庫餘氣,奶之輕者也。
天干得一比肩,不如地支得一餘氣墓庫。 墓者,如甲乙逢未,丙丁逢戌,庚辛逢丑,壬癸辰之類是也。
이러하여 일간은 월령 휴수를 논하지 않고, 오직 중요는 사주에 유근이고, 재 관 식신이며 상관 칠살이다. 장생 록왕은 근이 중하다는 것이다. 묘고 여기는, 이는 가벼웁다.
천간이 한 비견을 얻으면 지지는 한 여 기 묘고를 얻을 수 없다. 묘는, 갑을이 미를 만나고, 병정이 술을 만나고, 경신이 축을 만나고, 임계가 진을 만나는 종류이다.
余氣者,如丙丁逢未,丙丁逢戌,庚辛逢丑,壬癸逢辰之類是也。 여기는 병정이 미를 만나고, 병정이 술을 만나고, 경신이 축을 만나고,임계가 진을 만나는 종류이다.
余氣者,如丙丁逢未,甲乙逢辰,庚辛逢戌,壬癸逢丑之類是也, 여기는 병정이 미를 만나고, 갑을이 진을 만나고, 경신이 술을 만나고, 임계가 축을 만나는 류인 것이다.
得二比肩,不如支中得一長生祿旺,如甲乙逢亥寅卯之類是也。 蓋比肩如朋友之相扶,通根如家室之可托,干多不如根挭,理固然也。 두 비견을 얻고, 지중에서 한 장생 녹왕을 얻는 것이 없다. 갑을이 해인묘를 만나는 종류이다. 대개 비견은 친구처럼 상부이고, 통근은 집에 의탁하는것 같고, 천간이 많으면 뿌리처럼, 이치는 고정에 따른다.
今人不知此理,見是春土夏水秋木冬火,不問有根無根,,便謂之弱: 見是春木夏火秋金冬水,不究剋重剋輕,便謂這旺,更有任癸逢辰,丙丁逢戌,甲乙逢未,庚辛逢丑之類,不以為通根峰庫,甚至求刑沖以開之,竟不思刑沖傷吾本根之氣。 지금 사람들은이 이유를 모른다, ㅡㅡㅡㅡ
此種謬論,必宜一切掃除也。 이런 종류의 잘못된 이론은 필히 모든 것을 제거하는 것이 적절할 것입니다.
然此皆論衰旺之正面,易者也,更有顛倒之理存焉,其理有十:
따라서 이것 모두 쇠왕의 바른면을 논하고, 쉬운것이다, 다시 전도의 이치가 존재하고 있다, 그 이치는 10이 있다 :
木太旺者而似金,喜火之煉也; 木旺極者而似火,喜水之剋也。 火太旺者而似水,喜土之止也; 火旺極者而似土,喜木之剋也。 土太旺者而似木,喜金之剋也; 土旺極者而似水,喜火之練也。 金太旺者而似火,喜水之濟也; 金旺極者而似水,喜土之止也。 水太旺者而似土,喜木之制也; 水旺極者而似木,喜金之剋也。
목태왕은 금과 같고, 화의 기끔은 달굼이다, 목왕극은 화와 같고, 희는 수의 극이다. 화태왕은 수와 같고, 희는토의 멈춤이다, 화왕극은 토와 같고, 희는 목의 극이다. 토태왕은 목 같고, 희는 금의 극이다, 토왕극은 수 같으며, 희 화의 단련이다. 금태왕은 화 같고, 희 수의 가지럼이다, 금왕극은 수 같고, 희 토의 그침이다. 수태왕은 토 같고, 희는 목의 제재다, 수왕극은 목 같고, 희 금의 극이다.
木太衰者而似水也,宜金以生之;木衰極者而似土也,宜火以生之。 火太衰者而似木也,宜水以生之;火衰極者而似金也,宜土以生之. 土太衰者而似火也,宜木以生之;土衰極者而似水也,宜金以生之。 金太衰者而似土,宜火以生之, 金衰極者而似木也,宜水以生之。 水太衰者而似金也,宜土以生之;水衰極者而似火也,宜木以生之。
목태쇠는 수와 같고, 금으로 생하는 것이 좋다, 목쇠극은 토 같고, 의는 화로 생한다. 화태쇠는 목 같고, 의 수로 생한다, 화쇠극은 금과 같고, 의 토로 생한다. 토태쇠는 화같고, 의 목으로 생한다, 토쇠극은 수 같고, 의 금으로 생한다. 금태쇠는 토 같고, 의 화로 생한다, 금쇠극은 목 같으며, 의 수로 생한다. 수태쇠는 금과 같고, 의 토로 생하고, 수쇠극은 화 같고, 의 목으로 생 한다.
此五行顛倒之真機,學者宜細詳玄玄之妙。 이 오행은 전도한 진기이니, 학자는 현묘한 묘미를 자세히 살펴야 한다. |
첫댓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