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위진인(無位眞人)-청매인오(靑梅印悟)
금성옥진과장우(金聲玉振過墻隅) 금과 옥을 쩔렁이며 지나는가 했더니
초언풍행태사우(草偃風行太似愚) 이리 흔들 저리 흔들 바람 앞에 뼈 없는 놈
석화전광추막급(石火電光追莫及) 번갯불마저 그를 쫓아가지 못하지만
유시침취천인부(有時沈醉倩人扶) 또 어느 땐 술 취하여 하늘 뱅뱅 비틀비틀
*위 시는 ‘석지현’(釋智賢)님의 편저 “선시감상사전”에 실려 있는데, 참고로 석지현님은 196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고, 1973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이후 인도, 네팔, 티베트, 미국, 이스라엘 등지를 수년간 방랑하였고, 편.저.역서로는 “선시”, “법구경”, “숫타니파타”, “불교를 찾아서”, “선으로 가는 길”, “벽암록”, “왕초보 불교 박사 되다”, “제일로 아파하는 마음에-관음경 강의”, “행복한 마음 휴식”, “종용록” 등 다수가 있습니다.
*청매인오(靑梅印悟, 1548~1623)는 서산(西山)의 고제(高弟, 학식과 품행이 뛰어난 제자)로 묘향산에서 청허휴정(서산대사)을 모시고 있다가 지리산 천왕봉 아래 연곡사에서 입적하였는데, 그의 선적(禪的) 경지는 중국의 설두중현(雪竇重顯)과 천동정각(天童正覺)을 능가하였고, 어느 날 누군가가 그의 방문을 열자 임종이 가까워진 그는 벽의 사방에 똥칠을 하고 앉아 있어 이 소식을 듣고 사람들이 다시 문을 열었을 때 그는 이미 육신을 벗고 어디론가 떠나 버렸으며 그가 똥칠 한 벽은 금빛 서기로 눈부시게 빛나고 있었다 하며, 숭정(崇禎) 6년(1633)에 간행된 그의 문집 ‘청매집(靑梅集)’이 있습니다.
*위 시의 형식은 ‘칠언절구’이고, 출전은 ‘청매집(靑梅集)’입니다.
*초언풍행(草偃風行) : 君子之德은 風이요 小人之德은 草라, 草上之風이면 必偃이니라(공자). 여기서는 物을 따라 종횡무진하는 마음의 작용을 말함이다. 때문에 겉보기에는 전혀 줏대가 없어 어리석은 것 같을 수밖에....
*언(偃) : 나부끼다, 쓰러지다, 눕다
*위 시는 “가장 고상하면서 동시에 가장 어리석고, 또 가장 빠르면서 동시에 가장 느린 우리의 본성에 대해서 읊은 시”라 합니다.
첫댓글 사람의 본성이란 본다 타고난 것인데...
후천적인 노력으로 삶아 바뀌기도 하고....
그렇지만 그 본성은 어딜가랴~~~~
ㅎ, 본성불변의 법칙인가요.
회장님의 댓글에 감사드리고,
행복한 금요일과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