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가지 지혜가 하나의 무심(無心)만 못하다. / 효봉 스님
영가(永嘉)스님은 ‘마음은 감각기관이고 법은 경계다.
그러나 그것은 모두 거울 위의 흔적과 같은 것이니,
마음의 때를 모두 지워버리면 비로소 광명이 나타나고,
마음과 법을 모두 잊어버리면 그 성품이 곧 진실이다’라고 하셨습니다.
이 말은 망상을 쉬고 마음을 닦는 방편으로 가장 좋은 설명입니다.
그러나 그 말씀은 저 나그네가 부질없이 후학들로 하여금
깨진 기왓장 속에 그대로 머물게 하는 것입니다.
이 산승은 그 말씀보다 이렇게 말하겠습니다.
즉 조계(曹溪)의 거울에는 본래 티끌이 없는데
깨끗한 그 성품에 무슨 흔적이 있겠으며, 처음부터 덮이지 않았는데
무엇이 다시 나타나겠습니까. 이 광명은 허망한 것도 아니고,
진실한 것도 아닙니다. 눈 밝은 사람 앞에 어두움이 석 자일 뿐입니다.
도를 배우는 사람에게는 백 가지 지혜가 하나의 무심만 못한 것이니,
그 마음에 집착이 없으면 뒷생각이 저절로 이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무심의 법을 얻으려거든
그 마음이 항하의 모래처럼 되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범천과 제석천 등
여러 하늘이 밟고 가거나 오더라도 그 모래는 기뻐하지 않고,
소 말 개 돼지 독사 개미 땅강아지들이 밟고 가거나 오더라도
그 모래는 성내지 않으며, 금 은 등 보물과 향 꽃 등을
거기에 뿌리더라도 그 모래는 탐내지 않고,
썩고 더러운 물건들을 던지더라도 그 모래는 싫어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들 마음 쓰는 것도 그러해야 합니다.
만일 단박에 무심(無心)하지 못하면 아무리 많은 겁을 두고
수행하더라도 끝내 도를 이루지 못할 것입니다.
다음에는 모두 버리는 것입니다.
안팎의 마음과 몸을 버리고 지금까지 지은 복덕도 모두 버리며
모든 경계에 마음이 집착함이 없는 것을 모두 버림이라 합니다.
<금강경〉에 말한 바와 같이,
‘과거의 마음을 얻지 못한다’고 한 것은 과거를 버리는 것이고,
‘현재의 마음을 얻지 못한다’고 한 것은 현재를 버리는 것이고,
‘미래의 마음을 얻지 못한다’고 한 것은 미래를 버리는 것입니다.
이렇게 삼세(三世)의 일을 모두 버려야
비로소 불도(佛道)를 이룰 수 있는 것입니다.
위에서 말한 무심과 버림의 궁극적 목적은 부처되는 데에 있습니다.
그런데 부처에는 삼신(三身)이 있으니
이른바 법신(法身), 보신(報身), 화신(化身)입니다.
법신불은 자성의 허통(虛通)한 법을 말하고,
보신불은 일체의 청정한 법을 말하며,
화신불은 육도만행(六度萬行)의 법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법신불은 설법하되 언어, 문자, 음성, 형상 등을 빌지 않고,
다만 자성의 허통한 법만을 말할 뿐이니
‘가히 말할 법 없는 것이 바로 설법인 것이다’라고 하신 것입니다.
보신불과 화신불은 설법하되 언어, 문자 등을 빌어
오직 세간, 출세간의 법만을 말하므로 ‘그것은 참 부처가 아니며,
또 설법이 아니다’라고 하신 것입니다.
위에서 삼신불을 말하였지만 이는 모두 하나의 정명(精明)에서
나온 이치로, 하나의 정명이 나뉘어져 육화합(六和合)이 됩니다.
하나의 정명이란 마음이요, 육화합이란 6근을 말합니다.
6근은 모두 진(塵)과 합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눈은 빛깔과 합하고, 귀는 소리와 합하며, 코는 냄새와 합하고,
혀는 맛과 합하며, 몸은 감촉과 합하고, 뜻은 법과 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6근과 6진이 화합해 6식(識)을 내는 것으로, 이것이 바로 18계(界)입니다.
그러나 만일 이 18계가 본래 아무것도 없는 것임을 알면
그 여섯 가지 화합을 거두어 하나의 정명이 될 것입니다.
이 하나의 정명이란 곧 마음입니다.
옛날 부처님께서 가섭을 불러 자리를 나누어 주고 마음을 전하시니
그것이 곧 말을 떠난 설법입니다.
만일 그 분부하신 도리를 깨우쳐 알면 아승지겁(阿僧祗劫)을
지내지 않더라도 곧 부처의 자리에 오를 것입니다.
이 삼계(三界)의 불타는 집에 누가 그 큰 법왕(法王)인고?
그는 석가도 아니요 미륵도 아니다. 오직 대중의 눈동자에 맡기노라.
열 반 송
五說一切法(오설일체법) 내가 말한 모든 법
都是早騈拇(도시조병무) 그것 모두 군더더기라네.
若間今日事(약문금일사) 오늘 일을 묻는가
月印於千江(월인어천강) 달이 일천강에 비치리
-----------
- 효봉스님(1888~1966)
조계종 초대 종정을 지낸 스님은 평안남도 양덕에서 출생,
26세 때 법관이 됐으나 판사생활 10년 만에 법복을 벗었다.
3년 동안 전국을 떠돌며 참회와 고행의 길을 걷다가
1925년 금강산 신계사 보운암의 석두(石頭)스님을 은사로 사미계를 받았다.
법명은 원명(元明), 법호는 운봉(雲峰). 이후 깨달음을 위한
용맹정진에 들어간 스님은 1932년 금강산 법기암에서 대오하고,
유점사 동선 스님을 계사로 구족계와 보살계를 받았다.
1936년에는 한암(漢岩)스님과 만공스님으로부터 도를 인가 받았다.
1938년 보조(普照)국사의 16세 법손인 고봉(高峰)국사로부터
몽중법문을 듣고 난 후 법명을 학눌(學訥), 법호를 효봉(曉峰)이라 개명했다.
이후 송광사, 해인사, 표충사 등에 주석하며 선풍을 진작시켰다.
스님은 송광사 삼일암(三日庵)에서 조실로 10년을 머물면서
후학들에게 길을 열어 보였다.
또 이 무렵 정혜쌍수(定慧雙修)에 관한 확고한 신구도관을 가지게 됐다.
8·15 광복 이후 해인사에 가야총림(伽倻叢林)을 개원하자
스님은 초대 방장으로 추대되었다.
1962년 통합종단 조계종 초대종정에 추대돼 불교의 기틀을 다졌던
스님은 1966년 10월 15일 표충사 서래각에서 세수 79세,
법랍 42세로 원적에 들었다.
스님은 입적하는 날도 “스님, 화두가 들리십니까?”라는 물음에
“무(無)라 무(無)라 무(無)라”라고 답하고는,
세상과의 인연을 마쳤을 만큼 평생 화두를 놓지 않았다.
[출처] 나홀로 절로 | 작성자 성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