굵은 나뭇가지에 달린 은행잎이 아니다. 돌말과 같은 규조류 식물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것이다.
지구 산소의 40%를 생산하는 이들이 바다속 무척추동물에 붙어있는 모습은 한 그루 아름다운 나무를 그린 듯하다. 생물이나 사물의 작은 부분을 확대하거나 눈에 보이지 않는 모습, 교육용 자료 등을 그래픽으로 만든 것이다.
유리숲 사진부문 대상 | 이탈리아 나폴리대 바닷속 무척추동물에 붙어있는 규조류 식물의 세포벽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었다.
실의 떨림 사진부문 가작 | 미국 로체스터공대 면실에 모터를 달아 빠르게 회전하는 모습을 찍었다.
오징어 빨판 사진부문 가작 | 미국 드렉셀대 미국 화살오징어의 다리 빨판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었다. 먹이를 잡을 때 쓰는 이 빨판은 지름이 0.4mm로 샤프심 굵기에 불과하다.
복잡한 미로 사진부문 가작 |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 물을 만나면 팽창하는 중합체와 그것을 막으려는 중합체가 이루는 모습을 찍었다.
사람의 혈액순환계 일러스트부문 대상 | 미국 익스플로레이토리엄 혈액이 심장에서 나와 산소와 영양분을 세포에 전달하고 노폐물을 받는 모습이 생생하다.
한 장에 그린 성경 일러스트부문 가작 | 미국 카네기멜론대와 독일 북부엘비앙루터교회 성경 전체 1189장의 절을 아래에 막대그래프로 그리고 각 장 사이의 상호참조를 다양한 색의 반원으로 표현했다.
피부암 세포 일러스트부문 가작 | 미국 국립보건원 피부암(melanoma)에 걸린 세포를 전자현미경으로 찍고 3차원 사진으로 만들었다.
현미경 속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정보성그래픽부문 대상 | 미국 콘사이스스튜디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이야기에 맞춰 곤충 및 분자의 현미경 사진을 합성했다.
수중 생태계 정보성그래픽부문 가작 | 뉴질랜드 오클랜드대 물 속 미생물의 생태계를 그렸다.
식물세포 게임 양방향미디어부문 대상 | 미국 스폰지랩 인터랙티브 가상의 식물을 키우는 식물생물학 게임.
생명의 근원 찾기 양방향미디어부문 가작 | 미국 메사추세츠병원 기본화학물질을 합성하는 과정을 통해 생명의 근원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들었다.
사람의 몸 속으로 양방향미디어부문 가작 | 트라비스 베르밀예와 케네스 이월드 RNA가 단백질을 합성하는 과정 등 사람의 몸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동영상으로 만들었다.
컴퓨터 바이러스를 막아라 일반미디어부문 가작 | 독일 프라운호퍼 컴퓨터및소프트웨어연구소 컴퓨터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기 위한 기술 개발의 노력을 영상으로 표현했다.
인체의 면역 반응 일반미디어부문 가작 | 호주의 월터엘리자홀의학연구소 몸 속으로 침입한 박테리아에 대한 인체의 면역 반응을 그렸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