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사 연봉을 순수 법인에서 고용된 노무사를 말하시는거면 4-5년 이상 고용노무사로 재직중인 동기는 거의 못봐서 말씀드리기 어렵네여 4-5년 지나면 대부분 개업하거나 사기업 공공기관으로 취업하니까요 개업은 말 그대로 사업이니까 케바케고 사기업이나 공공기관은 어디로 취업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니까 의미 없는 비교 같습니다
노무사 수입은 스펙트럼이 워낙 넓어서... 노무사 평균이 4천 후반쯤 될 겁니다. 노무사로 상위 30퍼 안에 못 들 바에 수입 평균으로 치면 7급 공무원으로 입직하는 게 더 낫죠. 공무원 생애 수입이나 다달이 고정적으로 따박따박 들어오는 거에 거기다 안정성, 연금, 사회적 지위, 업무강도 등등. (그리고 자격증이 있는데 대기업, 공기업 들어가서 받는 수입은 노무사로 받는 게 아니라 기관 소속으로 버는 거니 개업과 법인 기준으로 비교해 봐야죠.)
@닉네임은뭘로해야하나요현직 아닙니다. 공무원이고요, 전문 자격사에 관심 있어 서칭중입니다. 평균은 기사를 근거로 한 얘기고 진짜 얼마나 많이 버는지는 정확히는 모르지만 여러 루트로 검색한 바로는 편차가 상당한 거 같고요. 하지만 제목에 대한 답변으로 생애 소득을 비교해 보면 평균적으로는 7급 입직이 분명 나아보이네요.
첫댓글 자격사는 능력기반인데.. 공무원은 고정이고..
비교가안되지않나요 그럴수도 아닐수도있겠죠
동일연차 기준으로 보통 더 많이 버는 것 같아요
채용이든 개업이든 기업소속이든
둘 다 장단점이 있죠
7급은 동일연차 노무사보다 못벌겠지만
안정성이랑 연금문제 등이 무시못할 장점이죠
그리고 사회적 인식측면에서는
노무사보다는 7급(공무원)이 더 알아주는 거 같구요
노무사하면 잘 모르는 사람들 은근 많더라구요 아직
공무원은 지금월급떼서 연금에다붓는느낌이라 연봉따지면 당연히 노무사가높죠...공기업도 대부분 공먼보다 연봉높으니
노무사 연봉을 순수 법인에서 고용된 노무사를 말하시는거면 4-5년 이상 고용노무사로 재직중인 동기는 거의 못봐서 말씀드리기 어렵네여
4-5년 지나면 대부분 개업하거나 사기업 공공기관으로 취업하니까요
개업은 말 그대로 사업이니까 케바케고 사기업이나 공공기관은 어디로 취업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니까 의미 없는 비교 같습니다
노무사 수입은 스펙트럼이 워낙 넓어서... 노무사 평균이 4천 후반쯤 될 겁니다. 노무사로 상위 30퍼 안에 못 들 바에 수입 평균으로 치면 7급 공무원으로 입직하는 게 더 낫죠. 공무원 생애 수입이나 다달이 고정적으로 따박따박 들어오는 거에 거기다 안정성, 연금, 사회적 지위, 업무강도 등등. (그리고 자격증이 있는데 대기업, 공기업 들어가서 받는 수입은 노무사로 받는 게 아니라 기관 소속으로 버는 거니 개업과 법인 기준으로 비교해 봐야죠.)
기관소속으로버는거긴한데 본인이 노무사자격증으로 이득보고들어갔으면 노무사수입으로도볼수있는거죠..자격사들중에 개업만하는사람 솔직히 많지않음
'평균'이라는게... ㅋㅋ 통계의 오류같은데
아마 그 전문직 종사자 평균연봉 통계자료? 이거 보고 쓰신글 같네요
통계적인 평균말고
제가 체감상 느끼는 일반적인 노무사 연봉은
2~3년차 정도 되면 말씀하신 4천 후반정도는 가볍게 넘을 거 같은데요?
현직이신지 그냥 카더라로 말씀하시는건지 ㅎㅎ
@닉네임은뭘로해야하나요 현직 아닙니다. 공무원이고요, 전문 자격사에 관심 있어 서칭중입니다. 평균은 기사를 근거로 한 얘기고 진짜 얼마나 많이 버는지는 정확히는 모르지만 여러 루트로 검색한 바로는 편차가 상당한 거 같고요. 하지만 제목에 대한 답변으로 생애 소득을 비교해 보면 평균적으로는 7급 입직이 분명 나아보이네요.
@호야님 저도 공무원 현직인데
하 공무원 생애소득보다 적을까요 ㅜㅜ 제가 신입이라그런가 되게 쪼달리는데
@노무사 가즈아~~ 7급 입직해서 5급이나 4급 퇴직하면 노무사 보다 더 번다고 봅니다. 9급 신입은 당연 쪼달리죠. 10년은 근무해야 숨통 좀 트이죠. 호봉에 따라 각종 수당이 오르는 게 많으니까요. 저도 월50만 더 주면 좋겠네요ㅜ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