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李白)-소대람고(蘇臺覽古)(고소대에서의 회고)
舊苑荒臺楊柳新(구원황대양류신) 옛 정원 황폐한 대에 버들은 새롭고
菱歌淸唱不勝春(능가청창부승춘) 마름 따며 부르는 노래 봄의 감회를 서럽게 한다
只今唯有西江月(지금유유서강월) 예전과 변함없는 것은 서강에 뜨는 달
曾照吳王宮裏人(증조오왕궁리인) 그 달은 예전에는 오왕궁의 미녀를 비추었으리
*이백[李白, 701 ~ 762,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은 중국 당나라 시인으로 시성(詩聖)으로 불린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는 중국 최대의 시인이며 시선(詩仙)으로 불렸고, 소년시대부터 검술을 좋아하여 협객 속에 끼어 방랑생활을 보내는 일이 많았으며, 42세 때 현종에게 그 시재를 인정받아 궁정시인이 되었으나 자유분방한 성격 등이 화근이 되어 장안에서 쫓겨나 다시 방랑하였는데, 두보가 인생과 사회에 관심을 기울인 데 대해서 이백은 자연과 술을 사랑하면서 절구에 뛰어났고, 작품으로는 “청평조사(淸平調詞)”, “장진주(將進酒)”, “월하독작(月下獨酌)”, “상삼협(上三峽)”, “협객행(俠客行)” 등이 있습니다.
*이백의 시를 밑바닥에서 지탱하고 있는 것은 협기(俠氣)와 신선(神仙)과 술이고, 젊은 시절에는 협기가 많았고, 만년에는 신선이 보다 많은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술은 생애를 통하여 그의 문학과 철학의 원천이었으며, 두보의 시가 퇴고를 극하는 데 대하여, 이백의 시는 흘러나오는 말이 바로 시가 되는 시풍(詩風)이었다고 합니다.
*위 시는 문학비평가이신 김희보님의 “중국의 명시”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본 것입니다. 위 시는 고소대에서의 황폐한 모습을 노래하고 있지만 그 내용에 흐르는 것은 인생무상이다, 즉 자연은 시간을 초월하여 유구한데 비하여 인간의 일이나 역사는 때와 더불어 소멸하여 버린다는 것을 노래하고 있다고 합니다.
*형식 : 칠언절구(七言絶句)
*蘇臺(소대) : 춘추시대 오왕 부차(吳王 夫差)가 세운 고소대, 姑蘇臺(고소대)는 西施(서시)[중국 4대 미녀(서시, 왕소군, 초선, 양귀비) 중 한명으로 별칭 침어(沈魚)]를 위해 쌓은 대’로 높이 3백 길이고, 부차가 越王 句踐(월왕 구천)을 항복시키니, 구천이 미인 서시를 바치며 퇴각하는 길을 열어 달라 하여 허락받았고, 부차는 서시를 총애하여 향락에 빠지게 되었다 함.
春秋戰國時代(춘추전국시대)는 BC 8세기에서 BC 3세기에 이르는 중국 고대의 변혁시대이고, BC 770년 주(周)왕조가 낙양(뤄양洛陽)으로 천도하기 이전의 시대를 서주시대, 이후를 동주시대라고 하는데, 동주시대는 춘추(春秋) 시대와 전국(戰國) 시대로 나누어 진다. 춘추시대는 주왕조가 도읍을 옮긴 때로부터 진(晉)나라의 대부(大夫)인 한(韓)· 위(魏)· 조(趙) 삼씨가 진나라를 분할하여 제후로 독립할 때까지의 시대를 말하고(BC 403년), 그 이후를 전국시대라 한다.
覽古(람고) : 고적을 찾아 옛날을 회고함
苑(원) : 원래는 제왕의 동산, 정원
菱歌(능가) : 마름을 따면서 부르는 민요
不勝春(부승춘) : 봄의 감회를 견딜 수 없다
西江(서강) : 고소대 서쪽을 흐르는 강, 오와 월의 옛 전쟁터였다.
曾(증) : 1.일찍, 일찍이, 2.이미, 이전에, 3.거듭
吳王宮裏人(오왕궁리인) : 절세 미녀 서시를 가리킴
첫댓글 옛 시절의 영화로움도 세월의 힘에는 지나간 이야기 인가요...
우리를 비추는 달빛은 여전한데 그렇게 세월은 속절 없이 가고 있고....
네, 갈수록 세월이 빨라지네요,
세월의 소중함을 잘 인식해야 하는데, 가끔은 모든 게 부질없다는 생각이 드네요,
회장님의 댓글에 감사드리고, 오늘도 좋은 날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