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쑥남이들 안녕?
사실 난 안녕하지 못해
왜냐면 이 글을 한 번 날려버렸거든ㅎㅎㅎ
그래서 난 지금 광기에 휩싸여있어
하지만 난 할 거 없고 시간 많은 백수니까
포기하지 않으려고😋!
야호~!
일단 아래 사진을 보자
이건 "梅甁"이야
'매병'이라고 읽어
매병은 정의상
"아가리(도자기는 입구를 이렇게 표현함 ; 혹은 '구연부(口緣部)')가 좁고
어깨(구연부에서 몸통으로 내려가는 부분)가 넓고 풍만하며,
동체(몸통)가 저부(바닥부분)로 갈 수록 홀쭉해지는 형태"
를 말해
(아휴 길기도 해라)
'어라, 나 매병 알아😉!'
하는 쑥남이들이 있을 것 같네
우리가 아주 잘 아는 학 무늬의 청자야
이건 알다시피 국보🤩야
(정확히는 국보 제86호 청자상감운학문매병)
개인적으로 '매병'은 영화로 치자면
떡밥회수가 매우 잘 된 스릴러라고 생각하는데
입에서 어깨로 떨어지는 선은 완만한데에 비해
어깨에서 바닥으로 흘러가는 선은 매우 과감해서
활자로만 보면 균형감이 없어야 정상일 것 같은데,
실제 도자기는 그 균형이 정말 잘 잡혀있잖아?
👍
완전 굳이지 굳
(마쟈 내 취향이야 그니까 굳임😋)
ㅋㅋㅋ
문제는
"이게 실제로는 어떻게 쓰였을까🤔?" 야
'아니 근데, 실제로 어떻게 쓰였는지까지 알아야해🤨🤔?'
"응응! 그래야 누군가 대학원을 다니는 보람이 있지😭"
(쓰니는 대학원 안 다녀요 진짜 안 다녀 진짜야)
🙃
우리가 문화재를 잘 이해하는 혹은 잘 감상하는?
그런 방향 중에 하나는 '이 유물이 그때는 어떻게 쓰였을까?'를 상상해보는거야
우리가 지금 '문화재'로 감상하는 대부분의 유물이
최초로 만들어졌을 당시에는 '실용품'이었다는 것을 알면 꽤 재밌어
그래서 '매병'도 "실제로는 어떤 쓰임이었을까🧐?" 라고 상상해보는거야
우리가 이런 도자기를 '매병'이라고 부르지만
이 "매병"이라는 이름은 사실 18세기 중국 문헌에서나 확인할 수 있어
그런데 우리가 아는 '고려'청자의 고려는 918년.
그러니까 10세기에 건국되었는데!?
18세기면 1700년대
조선이잖아😮?!
(임진-병자전쟁도 끝난 뒤임)
😊
그래서
우리가 "고려청자 운학문매병"이라고 부르는 도자기가
사실은 "매병"이라고 불리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사실 이런 도자기는 중국 '당唐' 때부터 등장하는 형태야
(이에 대해 여러가지 이야기를 더 덧붙일 수 있겠는데 일단 스킵하쟝)
어쨌든
매병의 '梅'는 '매화'를 의미하기 때문에
"화병花甁(꽃병) 아니었을까?
괜히 그런 이름을 후대에 덧붙였겠어?"
라는 의견이 있었고
"술병일 수도 있지!
대부분의 그릇들이 술그릇에서 출발한 경우가 많잖아?"
라는 의견도 있었고
"뭔 소리야. 야, 딱 봐라. 저걸 누가 썼겠냐?
딱 봐도 사치품인데, 귀족들의 관상용일 수도 있지!"
라는 의견도 있었어
사실 각 의견마다 충분히 납득될 만한 증거들이 있었어
매병 형태의 도자기가 등장하는 그림이나
비슷한 형태의 쓰임새, 그에 대한 기록 등등
하지만 그 어느 쪽도 우세를 점하지 못한 채
(사실 술병일 것이라는 의견이 좀더 컸음)
갑
자
기
✨
일대의 사건이 우리를 찾아오게 되는데...
태안 앞바다에서 '옛날 배'가 발견된 거임😮
이 배는 고려시대의 무역선 혹은 조운선(세금운송선)으로 생각되는데
우리가 주의깊게 봐야할 보물선은
2010년에 수중발굴된 "태안 마도 2호선"임
이 보물선에서 다름아닌 '매병'이 발견되는데
그 이전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부속품'이 함께 발견됨
그게 바로
"목간木簡"임
이 '목간'은 오늘날로 말하자면
일종의 "상품사용설명서"라고 할 수 있음
이 상품이 무엇이다~ 라고 설명해주는 거임
(발견 당시에는 '목간'이라고 기사가 많이 났으나,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죽찰竹札'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이하 '죽찰')
그러니 이 말이 무슨 말?
이 도자기가 무슨 도자기인지 알 수 있다는 말!!!!!!!!!
태안마도 2호선에서
이런 죽찰이 발견된 매병은 두 개인데
놀랍게도 이 두 개에는 매병의 정체가 적혀있음
딱 봐도 위의 도자기와 함께 있는 죽찰과
밑의 죽찰에 써있는 글자가 다르다는 것을 알텐데
앞 뒤로 다른 글자가 써있어서 그럼
하나는
重房都將校吳文富
宅上眞盛樽封
앞면 : 중방도장교오문부
뒷면 : 택상진성준봉
요렇게 쓰여있고
다른 하나는
重房都將校吳文富
宅上精蜜盛樽封
앞면 : 중방도장교오문부
뒷면 : 택상정밀성준봉
이렇게 쓰여있음
(한자를 잘 아는 쑥남이는 벌써 눈치깠겠죠😝?)
두 죽찰에서
"重房都將校吳文富(중방도장교오문부)"라는 글자가 겹치는데
한국사 시간에 졸지 않은 쑥남이라면 '어라?'하는 부분이 있을 거임
"중방重房"
ㅇㅇ 맞음
그 '중방'의 중방임
고려시대 무신들의 합좌기구이자
무신정변 이후에는 고려 최고의결기구가 된
그 중방을 말하는 거임
그 뒤의 "도장교都將校"는
당시 정8품의 무관직을 말하는 거임
그 다음의 "오문부吳文富"는
그냥... 그냥 사람 이름임😊!
(오늘날로 치면 옥뮤다 같은 곳으로 택배가 빠져서 영영~ 못 받게 되신 분임)
그러니까 두 죽찰의 앞면에 써진 글자는
'회사-직책-이름' 순으로
일종의 수취인을 쓴 거임
"중방에서 근무하시는 오문부 도장교 귀하께"
정도 되는거임
그럼 뒤에 써진
"宅上眞盛樽封"
"宅上精蜜盛樽封"
은 무엇일까
"택상宅上"
= 받들어 올리다
"진眞" / "정밀精蜜"
= 참기름 / 꿀
"성준봉盛樽封"
= 준(樽)에 담아(성盛) 봉(封)하여
......?
참...기름???
꿀이요?????????
녜...
참기름 & 꿀단지였던 거임ㅇㅇ
세상에서_가장_비싼_포장용기.jpg
앙대ㅠㅠㅠ
이렇게 이쁜 내 고려청자가 고작 포장용기일리가 없어!!!
실제로 죽찰의 발견 당시
그 어느 누구도 상상해보지 못한 쓰임새라서
학계에 일대의 파란...까지는 아니고 놀라움?을 선사해주었고
지금도 대학교 한국미술사 or 한국도자사 수업을 들으러 가면
교수님과 강사님들이 아주 재미있게 말해주는 일화 중에 하나😉
^^
어케 끝내 이거...
처음 썼을 때도 어떻게 끝내야 하는지 망설였엉
+덧
죽찰의 발견으로 우리가 '매병'이라고 부르는 것이
고려 당시에는 "준(樽)"이라고 불렀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덧2
"도장교都將校"는 정8품의 '하급'무관직임
하급무관이 저런 도자기를 선물(혹은 뇌물?) 받았을만큼
당시 무신들의 위세(혹은 오문부吳文富 아저씨의 위세?)가 컸음을 알 수 있음
+덧3
설마 포장용기로만 썼겠..썼을까?
다 쓰고 꽃병으로든 술병으로든 썼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어쨌든 '참기름&꿀단지'로 쓰인 실사용례를
아주 정확하게 알게 된 사례😊...
자, 마지막으로 죽찰과 발견된 매병을 보자!
둘다 보물로 지정되었음
참기름단지
국보 제1783호 청자 상감국화모란유로죽문 매병
꿀단지
국보 제1784호 청자 음각연화절지문 매병
ㅎㅎㅎ
안녕!
첫댓글 뭐야 흥미돋이다 완전
헐 꿀단짘ㅋㅋㅋㅋㅋㅋㅋㅋㅋ 생각도 못했어
꿀 저기 꽉차게 담으려면 엄청 많이 넣어야할 것 같은데.. 대박
세상에 꿀단지 치고 고급시려요 조상님들
개간지 참기름병이라니
와 신기해
삭제된 댓글 입니다.
222 빼박 뇌물ㅋㅋㅋ
@응슷응흫슷흫 여시들 너무 찌든거 아닌가요 ㅠ ㅋㅋㅋㅋㅋㅋㅋ
뚜껑 깍 닫아요 그럼
와 너무 재밌고 흥미로워
헐 그러네ㅠㅠ 미안해 2018로 봤다
2014년이라 공지상 신생카페 아니지 않아...??!?
미치인 그럼설거지 어케햇지!!!!
참기름 어떻게 썼을까 들어서 따르면 질질 흐르고 까딱하면 놓쳐서 깨질거같은데..
저만치 참기름 담으면 존나 무거울 것 같기도 하고
장식용인줄 알았는데 쏘주병이랑 같은 역할이었다니 ㄷㄷ
꿀이랑 참기름을 저기에 가득채웠다고....? ㄷㄷㄷㄷㄷ
최고급 선물이었을듯.. 양도 어마어마한데, 그 비싼걸 아무데나 담을수없으니 저런병을 만든거면.. 너므나도 이해됨
두루미 밥그릇 아니였냐고
꿀단지!!!!!대박ㅋㅋㅋㅋ
존잼이다 ㅠㅠ
유익하다... 참기름이랑 꿀이 저렇게 많이 났다고
우와 어제 국중박 다녀와서 청자보면서 꽃병인가? 술인가? 관상용인가? 어떻게 세척했을까 ?? 했는데 오 꿀,참기름!!!
와씨 흥미롭다
재밌다 진짜 우와
우리 델몬트병에 보리차담아마신것처럼 백퍼 꿀 다먹고 화병으로썼다 (모름)
너무재밌어ㅋㅋㅋㅋㅋㅋ
햐...신기하고 재밌어 ㅋㅋㅋㅋㅋ
참기름병이었으면 원래는 뚜껑도 있었을까? 신기하다ㅋㅋㅋㅋㅋ
헐 너무 재미있어
아씨저렇개마니먹엇다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 큰 병에 가득 꿀을..??? 엄청난 뇌물 아니여..??🤔
와 신기해ㅎㅎㅎㅎㅎㅎ
꿀단지…..!
우와 흥미돋ㅋㅋㅋㅋㅋㅋ
헤엑 그럼 뚜껑은 없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