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이란
지구와 달, 태양 그밖의 천체사이의 만유인력과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해수면의 주기적인 수직 운동을 말합니다.
만유인력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으로 달이나 태양을 향한쪽에서의
고조(밀물)을 설명 할 수 있고
원심력이은 달(태양)의 반대편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인력방향 반대쪽에서의 고조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력과 원심력이 바닷물을 양 옆으로 끌어내는 힘입니다.
부피가 일정한 풍선의 한쪽을 누르면 다른쪽이 튀어나오겠죠?
바닷물도 마찬가지로 양은 일정하기 때문에 이렇게 인력이나 원심력에 의해서 한쪽이 부풀게 되면
다른쪽은 자연스럽게 물이 줄어들게 되고 이때문에 고조와 저조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해하기 쉽기 누른다는 표현을 썼지만 실제로는 잡아당기는 인력이나 원심력만 존재하고
누르는 힘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자연스럽게 인력이나 원심력방향으로 빠져나가는거죠
밀물과 썰물은 달과 태양의 인력과 지구의 원심력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즉 달과 태양이 지구와 일직선상에 놓이면 끌어당기는 힘이 가장 커져 달 쪽을 향한 바닷물이 부풀어 오르게 되어 밀물(만조)이 되며, 또한 지구 반대편에서는 지구가 태양 둘레를 돌때의 원심력에 의해 바닷물이 부풀어 올라 만조가 됩니다. 반대로 태양과 지구와 달이 직각을 이룰 때는 바닷물이 줄어들게 되어 썰물(간조)이 되는 것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하루에 2번 일어납니다. 이는 지구가 하루에 1번 자전하는 동안 한 번은 인력에 의해서 또 한 번은 원심력에 의해서 밀물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밀물과 썰물이 일어나는 시간은 일정하지 않고 매일 달라집니다.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 자전을 하지만 달은 하루에 약 13。씩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지구가 한 바퀴 돌아 제자리에 오면 달은 13。만큼 움직여 있으므로 지구가 이만큼 움직이는데 약 50분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24시간 50분 간격으로 일어나며 지구의 반대편에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것을 반으로 나누면 12시간 25분마다 밀물과 썰물이 일어납니다. 이렇게 12시간이 아니고 12시간 25분이기 때문에 밀물과 썰물은 매번 25분씩, 매일 50분씩 늦춰지는 것입니다.
1.밀물과 썰물에 대한것
밀물과 썰물은 달과 태양의 인력과 지구의 원심력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즉 달과 태양이 지구와 일직선상에 놓이면 끌어당기는 힘이 가장 커져 달 쪽을 향한 바닷물이 부풀어 오르게 되어 밀물(만조)이 되며, 또한 지구 반대편에서는 지구가 태양 둘레를 돌때의 원심력에 의해 바닷물이 부풀어 올라 만조가 된다. 반대로 태양과 지구와 달이 직각을 이룰 때는 바닷물이 줄어들게 되어 썰물(간조)이 되는 것이다.
밀물과 썰물은 하루에 2번 일어난다. 이는 지구가 하루에 1번 자전하는 동안 한 번은 인력에 의해서 또 한 번은 원심력에 의해서 밀물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밀물과 썰물이 일어나는 시간은 일정하지 않고 매일 달라진다.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 자전을 하지만 달은 하루에 약 13。씩 공전하기 때문이다. 지구가 한 바퀴 돌아 제자리에 오면 달은 13。만큼 움직여 있으므로 지구가 이만큼 움직이는데 약 50분이 소요된다. 따라서 24시간 50분 간격으로 일어나며 지구의 반대편에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것을 반으로 나누면 12시간 25분마다 밀물과 썰물이 일어난다. 이렇게 12시간이 아니고 12시간 25분이기 때문에 밀물과 썰물은 매번 25분씩, 매일 50분씩 늦춰지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동해안보다 서해안에서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크며, 그 크기는 최대 약10m에 달한다. 태양도 밀물과 썰물에 영향을 미치나 달보다 아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달보다 작다. 달은 음력 한 달을 주기로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보름과 그믐에 태양, 지구, 달이 일직선 위에 있게 되는데 이때는 태양의 인력이 합쳐지면서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가장 크게 되며 '사리'라고 한다. 한편 태양, 지구, 달이 직각으로 배열되는 상현과 하현에는 인력이 상쇄되어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작아지는데 이때를 '조금'이라고 한다. 서해는 동해나 남해에 비하여 바다가 육지 깊게 들어와 막혀 있는 형태이므로 밀물이 들어올 때 출구가 막혀 넘치는 현상에 의해 물높이가 더욱 높아지고, 썰물은 반대로 더욱 낮아지게 된다. 밀물과 썰물의 크기는 태양과 달의 인력에 의한 영향과 아울러 해안선 및 해저의 모양과 크기에 영향을 받는데, 만이나 해협등과 같이 막혀 있는 지형내의 바다에서는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커 그 크기가 15.2m나 되는 경우도 있으며 조류의 속도가 10노트나 될 때도 있다. (1노트=시간당 1해리(1.852㎞)를 갈 수 있는 속도)
1.밀물과 썰물
밀물과 썰물은 달과 태양 및 기타 여러 천체의 인력과 지구의 원심력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달의 영향이 가장 크며 태양이 다음으로 영향을 미친다.
태양은 크지만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달의 약 반 정도의 영향을 미칠 뿐이다.
즉 달과 태양이 지구와 일직선상에 놓이면 끌어당기는 힘이 가장 커져
달 쪽을 향한 바닷물이 부풀어 오르게 되어 밀물(만조)이 되며, 또한
지구 반대편에서는 지구가 태양 둘레를 돌때의 원심력에 의해 바닷물이 부풀어 올라 만조가 된다.
반대로 태양과 지구와 달이 직각을 이룰 때는 바닷물이 줄어들게 되어 썰물(간조)이 되는 것이다.
밀물과 썰물은 하루에 2번 일어난다. 이는 지구가 하루에 1번 자전하는 동안
한 번은 인력에 의해서 또 한 번은 원심력에 의해서 밀물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밀물과 썰물이 일어나는 시간은 일정하지 않고 매일 달라진다.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 자전을 하지만 달은 하루에 약 13。씩 공전하기 때문이다.
지구가 한 바퀴 돌아 제자리에 오면 달은 13。만큼 움직여 있으므로
지구가 이만큼 움직이는데 약 50분이 소요된다. 따라서 24시간 50분 간격으로 일어나며
지구의 반대편에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것을 반으로 나누면
12시간 25분마다 밀물과 썰물이 일어난다. 이렇게 12시간이 아니고 12시간 25분이기 때문에
밀물과 썰물은 매번 25분씩, 매일 50분씩 늦춰지는 것이다
사진
밀물
썰물
첫댓글 조석이란? 네이버 만화 ' 웹툰 ' 에 있는 ' 마음의 소리 ' 를 그리고있는 한 작가의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