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 아반떼.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없다. |
이정주 연맹 회장은 “심지어 해결 직전 전화번호까지 바꾸는 먹튀 소비자들도 있다. 대체로 업체 측이 전향적 태도로 교환이나 환불을 해주는 전제조건은 ‘소비자 단체나 언론 등과 접촉을 피할 것’ 이 대부분”이라고 지적했다.
김 씨는 “판매 당시 3개월 전 생산 차량임을 박 씨에게 고지했는데도 못 들었다고 우기는 것이다. 세금계산서에도 판매 금액이 찍혀 있다."고 했고 60만원이나 별도 할인해 주기로 한 것에 대해 "정상적으로 차를 사려고 하는 소비자가 아니다”라고 해명하며 모든 책임을 전적으로 소비자에게 돌렸다.
연맹에도 처음엔 김 씨는 30만원을 편취한 사실을 완강히 부인했다는데, 연맹이 <비즈한국>에 제공한 박 씨와 김 씨간 통화 내용을 들어보니 김 씨는 박 씨에게 9월 생산 차량을 고지 없이 인도해 사과의 뜻을 전했고 할인 금액을 서비스 비용이 많이 나와 개인적으로 썼다고 시인하고 있다. 김 씨는 견적서에 할인 금액 30만 원을 적어놓고 이 돈은 김 씨 자신이 회사로부터 받아야 할 돈이라고 속였고 나중에 연맹과 박 씨가 문제를 제기하자 이를 시인한 셈이다.
지엠 ‘말리부’ 사례다. 한 아무개 씨는 올해 5월 서초동 GM대우 매장을 통해 말리부를 주문했다. 한 씨는 6월 14일 차가 완성됐다 해서 출고장에 가 차량 제작증을 요구해보니 생산 일자가 5월 25일이었고 이 차를 앞서 구매하려던 소비자가 무슨 이유인지 알 수 없지만 인수거부한 차였다. (위영상 참조)
그래도 한 씨는 현장에서 볼 때 큰 문제는 없어 보여 임시번호판을 받았다. 하지만 그는 차량 운행을 할 때마다 차에서 ‘끼익’. ‘찌그덕’소리가 들리는 것을 확인했다.
한 씨는 “지엠 서비스센터에 구입한 차를 가지고 가보니 근본적인 문제 원인을 안 찾아주고 소리조차 들어보지 않으려 했다. 지엠 콜센터에 빨리 처리해 달라 압박했지만 헛수고였다. 지엠이 하자 있는 인수거부 차량을 고객을 기만해 판매한 것“이라고 성토했다.
이에 대해 지엠 관계자는 “한 씨가 구매한 차는 인수거부 차가 맞다. 그러나 인수거부 차라고 무조건 하자가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한 씨에게 차를 서비스센터에 입고시켜달라고 했지만 고객이 아직 차량을 입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 씨는 “임시번호판 사용 기간이 지나 차를 몰지 못해 집에 주차시켜 놓고 있다. 가까운 지엠 정비센터 2곳 모두 "신차이니 더 타 보라"고 하여 한 씨는 6월24일 지인과 함께 1시간 넘게 걸리는 먼 거리의 원주 서비스센터에까지 가서 점검을 요구했으나 예약이 밀려 8월 중순에야 점검해 줄 수 있다”고 해 정비소견서라도 써 달라고 했는데 "'개인에게는 써 줄 수 없고 정비과장도 출장 중이니 접수해 놓고 가면 월요일에 연락 주겠다'고 했지만 지금까지도 연락이 없고 영업맨은 '서비스센터에 가서 거칠게 항의하고 진상을 부려야 된다'는 말만 해 주고 어처구니없다”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지엠은 최대한 빨리 한 씨 차를 점검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교환이나 환불여부에 대해선 함구했다.
더 어처구니없는 일은 한 씨가 보내 온 영업맨과의 카톡 대화 캡쳐를 보면 영업맨이 5월 20일 "공장 생산 일정이 잡혔고, 6월18일 생산 예정이다."라고 했다가 6월 14일 드디어 차가 완성됐다"며 고객을 철저히 속이고 6월 8일 인수거부로 출고장으로 다시 들어 온 차를 주었다는 것이다.
또한 연맹에서 "신차의 주행거리가 14km 정도라면 통상적인 주행거리보다 지나치게 많다"고 하자 한 씨가 인터넷은 물론 해당 매장에 가서 확인 결과 다른 차들은 4~5km 정도라는 사진들을 보내 왔다고 한다.
이정주 연맹 회장은 “인수거부 차는 하자 있는 경우가 흔하다. 교환과 환불 기준만 정하면 오히려 소비자의 혼란을 덜어줄 수 있어 미국의 레몬법 같은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