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주 이씨 벌열(閥閱) - 2
● 서원향사록(書院鄕祀錄)
- 전고대방에 실린 조상
○ 여주 고산서원(驪州孤山書院)
- 이존오(李存吾): 자 순경(順卿). 호 석탄(石灘). 고려 정언. 증대사성
○ 포천 화산서원(抱川花山書院)
- 이항복(李恒福)
○ 청주 송천서원(淸州松泉書院)
- 이대건(李大建)- 진사. 증 우상(贈右相)
○ 공주 충현서원(公州忠賢書院)
- 이존오(李存吾)
○ 부여 의열사(夫餘義烈祠)
- 이존오(李存吾)
○ 나주 영강사우(羅州榮江祠宇)
- 이원(李元밑맹): 호 재사당(再思堂). 좌랑. 증 승지
○ 남원 영천서원(남원영천서원)
- 이대유(李大由밑乙): 자 경인(景引). 호 활계(活溪). 좌랑
○ 김제 용암서원(金提龍巖書院)
- 이세필(李世弼): 形叅. 贈領相. 시호 文敬
○ 영광백산서원(靈光栢山書院)
- 이세필(李世弼)
○ 전라도 무장 충현사(全羅道茂長忠賢祀)
- 이존오(李存吾)
○ 경주 구강서원(慶州龜岡書院)
- 이제현(李齊賢): 호 익재(益齋). 고려 시중(侍中). 시호 문충(文忠)
○ 안동 경광서원(安東鏡光書院)
- 이종준(李宗準)
○ 안동 백록리사(安東栢麓里社)
- 이종준(李宗準)
○ 황해도 연안비봉서원(黃海道延安飛鳳書院)
- 이정암(李廷唵-口대신香): 자 중동(仲董). 호 퇴우당(退憂堂). 지주(知樞).
월천부원군(月川府院君). 시로 충목(忠穆)
○ 함경도 북청 노덕서원(咸鏡道北靑老德書院)
- 이항복(李恒福)
○ 평안도 곽산 월포사우(平安道郭山月浦祠宇)
- 이원(李元밑맹)
● 명륜(明倫)
인간의 윤리를 밝힘.
(효행) 이씨(李氏): 李秀文 配位, 旌閭
* 중앙화수회 홈페이지에서 펌한 자료로 유독 이 할머님만 효행으로 올린 이유는?
● 문집(文集)
경주이씨 조상님들이 기록하여 남긴 서책이다.
운곡실기(雲谷實記): 이광좌(李光佐). 화곡유고(華谷遺稿): 이경억(李慶億)
청헌유고(聽軒遺稿): 이경일(李敬一). 활계집(活溪集): 이대유(李大)
제정집(霽亭集): 이달충(李達衷) 현금동문류기(玄琴東文類記): 이득윤(李得胤)
장륙당시고(藏六堂詩稿): 이별(李鼈) 눌헌집(訥軒集): 이시탁(李思鐸)
산은유고(汕隱遺稿): 이상정(李相定) 경해록(經解錄): 이석손(李碩孫)
망세음(忘世音): 이석손(李碩孫) 양와집(養窩集): 이세구(李世龜)
낙완고사(樂院故事): 이세필(李世弼) 소주서(小朱書): 이세필(李世弼)
답문의례(答問疑禮): 이세필(李世弼) 왕조례(王朝禮): 이세필(李世弼)
동호예설(桐湖禮說): 이세필(李世弼) 주변록(籌邊錄): 이시발(李時發)
기봉집(麒峰集): 이시성(李時省) 금강록(金剛錄): 이원(李元밑맹)
난국재집(蘭菊齋集): 이예환(李禮煥) 임하필기(林下筆記): 이유원(李裕元)
가오고략(嘉梧藁略): 이유원(李裕元) 귤산문고(橘山文稿): 이유원(李裕元)
초려집(草廬集): 이유태(李惟泰) 석탄집(石灘集): 이존오(李存吾)
오천집(梧川集): 이종성(李宗城) 동암집(東庵集): 이진(李王+眞)
상례초(喪禮抄): 이정암(李廷콬) 동각잡기(東閣雜記): 이정형(李廷馨)
황토기사(黃兎記事): 이정형(李廷馨) 용토기사(龍兎記事): 이정형(李廷馨)
수춘잡기(壽春雜記): 이정형(李廷馨) 지퇴당집(知退堂集): 이정형(李廷馨)
익재란고(益齋亂藁): 이제현(李齊賢) 낙옹패설(翁稗說): 이제현(李齊賢)
익재집(益齋集): 이제현(李齊賢) 용재유고(팚齋遺稿): 이종준(李宗準)
백사집(白沙集): 이항복(李恒福) 북천일록(北遷日錄): 이항복(李恒福)
주소계의(奏疏啓議, 2권): 이항복(李恒福) 사례훈몽(四禮訓蒙, 1권): 이항복(李恒福)
노사령언(魯史零言, 15권): 이항복(李恒福) 관주일록(觀周日錄): 이흘
오계문집(梧溪文集): 이흘 설정문집(雪汀文集, 3권): 이흘
● 재우(齋宇)
조상님의 신위를 모시고 정한 날에 후손들이 제향를 모시는 사당.
재사. 서원. 영당의 총칭.
광림대(光臨臺): 경북경주. 표암재(瓢巖齋): 경북경주
도천서원(道天書院): 경북산청 양호정사(良湖精舍): 울산
경운사(慶雲祠): 전북전주 격사재(格思齋): 전북고부
삼사당(三思堂): 충남보령 태화서원(泰和書院): 울산
세덕사(世德祠): 전남고흥 단구서원(丹丘書院): 경북경주
경현사(景賢祠): 경북경주 구강서원(龜岡書院): 경주
삼산사(三山祠): 전남장흥 수락영당(水落影堂):충북청원
영암사(靈巖祠): 전남영암 원모재(遠慕齋): 경기파주
동천재(東泉齋): 경기평택 석탄공정려(石灘公旌閭): 서울강남
경절공부조묘우: 서울강남 장산영당(長山影堂): 충북보은
월산사(月山祠): 전남담양 가산서원(佳山書院): 전남장성
도동영당(道東影堂): 경남산청 화산서원(花山書院): 경기포천
백사공영당(白沙公影堂): 경기포천 충훈사(忠勳祠): 충북중원
영강사(榮江祠): 전남영산포 구곡사(龜谷祠): 전남강진
반곡사(盤谷祠): 전남진도 운강사(雲岡祠): 경북울주
충열사(忠烈祠): 경남충무 용문서원(龍門書院): 충남공주
의열사(義烈祠): 충남부여 충현서원(忠賢書院): 충남공주
충현사(忠賢祠): 전북고창 충의사(忠義祠): 경기포천
오재공묘우(悟齋公廟宇): 경기평택 충목공사우(忠穆公祠宇): 경기고양
영모재(永慕齋): 강원춘천 원당재(元堂齋): 경기안성
영모재(永慕齋): 강원삼척 용산서원(龍山書院): 충북청원
운곡서원(雲谷書院): 충북청원 옥화서원(玉華書院): 충북청원
송천서원(松泉書院): 충북청원 숭열사(崇烈祠): 충북진천
화암서원(花岩書院): 충남보령 우모정(寓慕亭): 충남천안
구호서원(龜湖書院): 전북완주 이로재(履露齋): 전북임실
추원재(追遠齋): 전북임실 서륜재: 전북임실
현곡재(玄谷齋): 전북임실 봉산재(鳳山齋): 전북임실
승유재(承裕齋): 광주 영모각(永慕閣): 전남나주
애국재(愛國齋): 전남담양 월암재(月巖齋), 서당(書堂),
영모재(永慕齋): 전남영암 보원재(報遠齋): 경북안동
노림재(魯林齋): 경북안동 석림정사(石林精舍): 경북달성
모휴재(慕休齋): 경북칠곡 용암재(龍巖齋): 경북달성
추색정(秋色亭): 경북달성 북산서사(北山書社): 경북경주
이상재(履霜齋): 경북영일 성오당사우(省吾堂祠宇): 경북영풍
충효사(忠孝祠): 경북의성 경의재(景義齋): 경북의성
용담재실(龍潭齋室): 경북상주 용암재(龍巖齋): 경북칠곡
이리재(二履齋): 울산울주 구산재(九山齋): 경북울주
추원재(追遠齋): 경남밀양
***국당공 휘천 - 운곡서원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
수락영당 - 충북 청원군 미원면 가양리
서계공 휘 득윤 - 구계서원 소재지 - 충북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
● 사. 단소. 서원에서 제향을 모시는 조상님
* 사이트에 올라 있는 여러 자료를 참고로 지금의 지명으로 바꾸기는 하였으나
직접 확인을 할 수 없어 의외로 정확하지 않은 잘못된 내용이 많을 것 같습니다.
원 자료에서도 어떤 자료에는 '영강사'를 ‘영강서원'이라 한 곳도 있는데
이것도 소재지가 같으면 하나로 보면 되겠지만
소재지도 각기 '영산포읍'이라 되어 있거나 '영산동'이라 되어 있어서 매우 헷갈렸습니다.
이외에도 서원 내에 있는 '사우'를 각기 별도로 다르게 표시하여
어느 것은 '○○書院'으로 표시하고 어느 것은 '○○祠'로 표시하여 혼란스러웠습니다.
혼자서 바르게 한다고 수정 보완하였으나 혹여 정확하지 않은 내용도 있을 것입니다.
잘못된 지명이나 잘못 올려 진 내용은 지적하여 아래에 댓글을 달아주시면 곧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 표암공(아찬공) 휘 알평
^경북 경주시 동천동 표암재(瓢巖齋) 전향(專享).
^울산시 중구 옥교동 태화서원.
^경남 합천군 합천읍 교동 경원사(慶源祠- 中洞書院내).
^경북 경산시 진량면 당곡 경덕사(景德祠- 道天書院내)
○ 소판공 휘 거명
^울산시 울주군 청량면 동천리 양천. 양호단(良湖壇) 전향(專享)
^울산시 중구 옥교동 태화서원(太和書院)
○ 열헌공 휘 핵
^울산시 울주군 웅촌면 검단리. 운강사(雲岡祠) 주향(主享).
^울산시 중구 옥교동 태화서원.
^전북 정읍시 고부면 신증리 격사재(格思齋).
^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세덕사(世德祠)
○ 성암공 휘 인정
^전남 나주시 영산동 영강사(榮江祠- 榮江書院내) 주향.
^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세덕사.
^전북 정읍시 고부면 신증리 격사재.
*족보: 배 정부인-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세덕사
○ 동암공 휘 진
^울산시 울주군 웅촌면 검단리. 운강사 배향(配享).
^울산시 중구 옥교동 태화서원
^충북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도통사.
○ 익재공 휘 제현
^공민왕 묘정. ^울산시 울주군 웅촌면 검단리. 운강사 배향.
^북한 개성시 십탄리 도산서원 전향. 사액.
^울산시 중구 옥교동 태화서원.
^충남 보령시 남포면 신흥리 매촌 신안서원 배향.
^충남 보령시 미산면 용수리 삼사당(三思堂- 龍岩影堂).
^충북 보은군 탄부면 하장리 장산 영당(長山影堂. 염수재).
^충북 청원군 미원면 가은리 수락영당(水落影堂).
^경남 산청군 신안면 신기리 도동영당.
^경북 경주시 안강읍 양월리 구강서원(龜岡書院) 주향.
^전남 강진군 대구면 구수리 구곡사(龜谷祠- 益齋書院내)
^전남 진도군 고군면 도평리 반곡사(盤谷祠)
^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세덕사(世德祠)
^전남 영암군 망호리 망호사.
^경남 양산시 웅상읍 주남리 주강단(周岡壇)
^전남 장성군 삼서면 삼계리 계동 가산사(佳山祠).
^전남 진도군 고군면 도성리 도론영당.
^전남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월산사 주향.
^전남 장흥군 관산면 삼산리 관산사(冠山祠).
^경북 경산시 진량면 당곡 마을 경덕사(도천서원내).
※ 족보: *영당- 남포. 보은. 영암.
*향사- 도산서원. 경주. 영광. 강진. 담양 등지의 서원이라고 기록되어 있음
○ 송암공 휘 세기
^경북 경주시 단구서원(丹丘書院)
○ 국당공 휘 천
^전남 남원시 어은사 열향(列享).
^경기도 파주시 금촌2동 원모재(遠慕齋).
^경북 경산시 진량면 당곡 경덕사.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 운곡서원(雲谷書院)
^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세덕사.
^경북 경주시 단구서원
○ 상서공 휘 과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동천동 동천재(東泉齋)
○ 정순공 휘 성중
전북 완주군 봉동읍 구미리 구호서원(龜湖書院) 열향
○ 석탄공 휘 존오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의렬사(義烈祠) 열향 사액.
^충남 공주시 반포면 공암리 충현서원(忠賢書院) 배향 사액.
^충남 서산시 남면 달산리 충령사.
^전북 고창군 무장면 덕흥리 충현사(忠賢祠) 주향 사액.
^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보통리 고산서원 주향 사액.
○ 세촌공 휘 문좌 - 경북 예천군 인산서원 배향
○ 송와공 휘 종윤 - 경북 경주시 단구서원 전향
○ 호계공 휘 을규 - 경북 경주시 북산사 전향
○ 첨제공 휘 기 - 전남 남원시 어흥사 배향
○ 돈암공 휘 석손 - 전남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월산서원 배향
○ 취수헌공 휘 겸 - 경북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 청암서원 배향
○ 모산공 휘 해 - 전남 나주시 영산포 영강사 배향.
○ 재사당공 휘 원
^전남 나주시 영산동 영강사 주향. ^평북 정주군 곽산면 월포사 주향
○ 지형공 휘 윤공 - 전남 담양군 월산서원 배향
○ 경재공 휘 세주 - 경남 산청군 차황면 전리 우계당(우계서원) 배향
○ 효사제공 휘 경주
^ 경남 산청군 우계서원 열향.
^ 경남 산청군 평천서원 배향
○ 천휴당공 휘 몽규
충남 보령시 청라면 장산리 화암서원(花巖書院) 추향(追享) 사액
○ 야은공 휘 영우 - 전남 나주시 영산동 영강사 배향
○ 백사공 휘 항복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 화산서원 전향. 사액.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백사공 영당.
^전남 강진군 대구면 구수리 구곡사
^전남 장성군 삼서면 삼계리 가산사(가산서원).
^울산시 중구 옥교동 태화서원.
^함남 북청군 북청읍 동리 노덕서원 전향. 사액.
^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세덕사.
^경북 경산시 진량면 당곡 경덕사(도천서원)
○ 관란공 휘 승증 - 경북 경주시 문호사 주향
○ 서계공 휘 득윤 충북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에 있는 구계서원
충북 청주시 신항서원 배향. 사액.
^충북 청주시 구암서원. 주향
^충북 청원군 미원면 옥화리 옥화사당(玉華祠堂- 玉華書院내) 주향.
^충북 청주시 수락 서원. 배향
^충북 충북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 구계서원(龜溪書院)
○ 양서공 휘 광윤 - 경북 예천군 인산서원 배향
○ 사류재공(퇴우당. 충목) 휘 정암
^황해도 연백군 연안읍 현충서원 전향. 사액.
^충남 보령시 청라면 장산리 화암서원.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 충목공 사우(忠穆公祠宇)
○ 제정공 휘 달충 - 경북 안동시 풍산면 만운동 보원재(報遠齋)
○ 지퇴당공 휘 정형
^강원도 춘천시 신북면 천전리 문암서원 배향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선유동 영모재(永慕齋).
○ 현감공 휘 원춘 - 전남 남원시 충렬사 배향
○ 성오당공 휘 개립 - 경북 영천시 장수면 성곡리 의산서원(義山書院) 주향
○ 유곡공 휘 유택 - 충남 금산군 금성면 하류리 유곡서원(초려서원) 열향
○ 초려공 휘 유태
^충남 금산군 금성면 하류리 유곡서원(초려서원) 열향
^충남 공주시 상황동 명덕사(용문서원龍門書院내)
○ 활계공 휘 대방 - 전남 남원시 영천서원 배향. 사액
○ 오촌공 휘 대건 - 충북 청원군 오창면 양지리 송천서원(松泉書院) 배향
○ 증참의공 휘 잠 - 경남 진주시 형렬사 배향
○ 설정공(충장공) 휘 흘
^전남 남원시 어흥사 배향.
^광주시 두암동 승유재(承裕齋)
○ 선공감공 휘 명민 - 서울시 동대문구 휘경동 장조조 사단 배향. 사액
○ 용재공 휘 종준
^경북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금호정사(경광서원鏡光書院) 주향.
^경북 봉화군 봉화읍 해저리 백록서원(栢鹿書院)열향
^경북 안동시 서간사
^경북 의성군 가음면 장리 장동 경의재(景義齋)
○ 눌재공 휘 홍준 - 경북 안동시 백려사 열향
○ 삼호당공 휘 중협 - 경남 거제시 임곡사. 전향
○ 매산공 휘 인엽 - 충북 청주시 송천서원 배향
○ 오풍공 휘 유경 - 전남 나주시 영산동 영강사 배향
○ 양와공 휘 세구 - 충남 홍성군 혜학서원 전향. 사액
○ 구천공 휘 세필
^전남 영광군 백산서원 전향. 사액.
^전북 김제시 오현사 배향
^강원도 동해시 북3동(쇄운리) 용산사(龍山祠- 龍山書院내).
○ 지봉공 휘 종영 - 충북 청원군 내수읍 비중리 국계사 주향.
○ 효사재공 휘 목영 - 경북 의성군 충효사 전향
○ 소암공 휘 언기 - 강원도 춘천시 문암서원. 추향(追享)
○ 백곡공 휘 회원
전남 함평군 백양동 영당. ^함남 북청군 백양사
○ 가선공 휘 무실 - 대구시 민충사 배향
○ 증참판공 휘 삼억 - 경북 상주시 상주읍 무장동 삼충사(충효각忠孝閣) 배향
○ 소경공 휘 지회 - 경북 경산시 진량면 당곡 경덕사(도천서원) 배향
○ 휘 희백 - 함북 회령군 형충사
○ 휘 영갑 - 경북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 청암서원
○ 휘 유인 - 전남 함평군 모양사
○ 휘 탁영 - 경북 의성군 의성읍 충효사
○ 휘 온수 - 경북 영천시 화북면 대천동 학천서원
○ 휘 준경 - 충북 괴산군 청안면 구계서원- (광주 이씨? - 댓글)
○ 경림군 휘 정
^경북 경주시 지연서원.
^경북 경주시 문호서원
○ 휘 득윤 - 충남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 구계서원(댓글- 득철 -> 득윤으로)
○ 휘 광윤 - 충남 아산시 인산서원(댓글- 광철-> 광윤으로)
○ 검교공 휘 의반 - 전북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격사재
○ 동정공 휘 규문 - 전북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격사재
○ 휘 인걸 - 전남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 영암사(靈巖祠)
○ 충무공 휘 수일
^충북 충주시 금가면 오석리 충훈사(忠勳祠).
^경남 통영시 명정동 충열사(忠烈祠)
○ 병판공 휘 석
^전남 나주시 영산동 영강사.
^전남 나주시 문평면 대도리 영모재(永慕齋)
○ 도정공 휘 시망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광태리 영모재(永慕齋)
○ 대사간공 휘 감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청원군 미원면 가양리) 운곡서원
○ 충장공(설정공) 휘 흘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 운곡서원(댓글 운정-> 홀)
○ 안분당공 휘 필경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 운곡서원(댓글- 지필-> 필경)
○ 신암공 휘 종문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 운곡서원(댓슬 - 선암공-> 신암공)
○ 오천공 휘 종성 - 충북 충원군 오창면 양지리 송천서원
○ 매산공 휘 인혁 - 충북 충원군 오창면 양지리 송천서원
○ 오재공 휘 탕 - 경기도 평택시 가재동 방혜리 오재공 묘우(悟齋公廟宇)
○ 보재공 휘 상설 -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삼척리 숭열사(崇烈祠)
○ 정익공 휘 완 - 충남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현충사(顯忠祠)
○ 호계공 휘 을규 - 경북 경주시 강동면 호계리 북산서사
○ 현감공 휘 주신 - 전북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이로재(履露齋)
○ 퇴사암공 휘 윤 - 전북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이로재
○ 모헌공 휘 천행 - 전북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이로재
○ 기운재공 휘 묵 - 전북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이로재
○ 묵재공 휘 숭문 - 전북 임실군 덕치면 가곡리 추원재(追遠齋)
○ 반우공 휘 경 - 전북 임실군 현곡리 서륜재(敍倫齋)
○ 서계공 휘 위 - 전북 임실군 현곡리 서륜재(敍倫齋)
○ 청송당공 휘 강 - 전북 임실군 현곡리 서륜재(敍倫齋)
○ 현계공 휘 옥연 - 전북 임실군 임실면 현곡리 봉산재(鳳山齋)
○ 정이공 휘 두연 - 전북 임실군 강서면 갈담리 영모재(永慕齋)
○ 퇴우당 휘 연 - 울산시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이리재(二履齋)
○ 휘 주 - 전남 장흥군 관산면 삼산리 관산사
○ 휘 관빈 - 전남 장흥군 관산면 삼산리 관산사
○ 휘 동의 - 전남 장흥군 관산면 삼산리 관산사
○ 제정공 휘 달충 - 경북 안동시 풍산면 만운동 보원재(報遠齋)
○ 염재공 휘 ( ) - 경남 산청군 차황면 전리 우재당(愚溪堂)
○ 청호공 휘 희 - 경북 안동시 남선면 현내리 노림재(魯林齋)
○ 휘 경욱 - 경북 달성군 다사면 조재동 석림정사(石林精舍)
○ 야동공 휘 종배 - 경북 칠곡군 약목면 모휴재(慕休齋)
○ 휘 준 -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덕성동 이상재(履霜齋)
○ 휘 정린 - 경북 달성군 다사면 조재동 용암재(龍巖齋)
○ 주부공 휘 몽걸 - 경북 칠곡군 동명면 용암재(龍巖齋)
○ 양평공 휘 철견 -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국전리 추모재(追慕齋)
○ 참판공 휘 세룡 -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덕성동 담화정(湛和亭)
○ 절충공 휘 세팽 -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덕성동 담화정
○ 부사공(추암공) 휘 진강 - 전북 부안군 동진면 장하리 추암재실(追巖齋室)
○ 지돈령부사공 휘 몽린 - 전북 군산시 나운동 대전부락 재실(齋室)
○ 진사공 휘 묵 - 울산시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구산재(九山齋)
○ 군수공 휘 몽태 - 경기도 연천군(漣川郡?철원군?) 표절사(表節祠) 배향
● 정려(旌閭)
○충목공 정려(忠穆公旌閭), - 26세 이정암(사류재. 퇴우당)
○석탄선생 정려(石灘先生旌閭), - 19세 이존오
○이창주효자 정려(李昌周孝子旌閭),
○이유근 배위 경주김씨 효열 정려(李裕根配位慶州金氏孝烈旌閭),
○파평윤씨 효열 정려(坡平尹氏孝烈旌閭),
○유곡공 사려(柳谷公祠閭), -26세 이유택- 초려공 이유태의 형
○효자 이진옥 려(孝子李振玉閭),
○이원필 배위 김해김씨 효자효열 정려(李元弼配位金海金氏孝子孝烈旌閭),
○송재공 효열각(松齋公孝烈閣), - 31세 이시성
○2대 충효각(二代忠孝閣), - 익재공의 16대손인 단암공(壇岩公) 33세 휘 관빈(觀彬)과
아들 수명당공(水明堂公) 휘 동의(東儀)의 부자 정려(父子旌閭).
○열녀 정부인 김해김씨 정려(烈女貞夫人金海金氏旌閭),
○선략장군 언진공 충각(宣略將軍彦眞公忠閣),
○충효각(忠孝閣) - 증참 판공 이삼억
○이억 장군 정려(李億將軍旌閭)
● 초상(肖像- 영정影幀)
문화재청은 초상화의 지정 명칭을 일관되게 개선하기 위하여
국가 지정 문화재(국보·보물) 중 초상화 36건의 지정 명칭을 변경하였는데
기존에‘~영정’, ‘~상’, ‘~초상’, ‘~진영’등 통일되지 않은 채
명명된 국가지정 초상화류의 명칭을 개선하여 국가지정문화재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돕고자
국보 제110호 “익재 영정” 등 국가 지정 문화재(국보·보물) 초상화류 36건의 명칭을
“이제현 초상” 등으로 일괄 변경. 통일하였다.
*앞으로는‘영정’이라 하지 않고‘초상’이라는 말로 통일하였다는 것인데
현재 살아 계신 분의 초상화는‘초상’이라 하고
돌아가신 분에 대하여는 그대로‘영정’이라 함이 좋을 것 같다.
어감상으로나 격으로나 돌아가신 분에 대하여 존경심을 더하고 무게가 느껴지는
'영정’이라 함이 더 나을 것 같은데 굳이 초상이라고 해야함은 무슨이유에서인가?
○문충공상(文忠公像): 국보 110호(원 진감여 작), 익재공 제현(齊賢. 17세). 익재공파 대파조
○양평공상(襄平公像), 양평공 철견(鐵堅. 21세), 상서공후 양평공파 중파조
○충무공상(忠武公像), 충무공 수일(守一. 24세), 국당공후 정순공파
○경양군상(慶陽君像), 경양군 사공(士恭. 25세), 부정공파
○오성부원군상(鰲城府院君像), 백사공 항복(恒福. 25세), 상서공후 백사공파 중파조
○양무공상(良武公像), 양무공 언춘(彦春. 27세), 익재공후 판윤공파
○구천공상(龜川公像), 구천공 세필(世弼. 28세), 상서공후 백사공파
○삼호당상(三湖堂像), 삼호당 중협(重協. 28세), 국당공후 정순공파
○아곡공상(鵝谷公像), 아곡공 태좌(台佐. 29세), 상서공후 백사공파
○운곡공상(雲谷公像), 운곡공 광좌(光佐. 29세), 상서공후 백사공파
○통제사공상(統制使公像), 통제사공 우(玗. 29세), 국당공후 정순공파
○회와공상(晦窩公像), 회와공 인엽(寅燁. 30세), 익재공후 생원공파
○오천공상(梧川公像), 오천공 종성(宗城. 30세), 상서공후 백사공파
○동오공상(東梧公像). 동오공 유승(裕承. 34세), 상서공후 백사공파
○춘관공상(春觀公償), 춘관공 건영(健榮. 35세), 국당공후 문정공파
○성재공상(省齋公像), 성재공 시영(始榮. 35세), 상서공후 백사공파
○보재공상(溥齋公像), 보재공 상설(相卨. 39세), 익재공파
*대종보에 실린 ‘초상’을 대상으로 하였음.
● 고려시대 문과 급제 방목
○ 표는 족보에 올라있는 문과급제자.
^ 표는 민희 종친님이 조사한 문과급제자.
인명 초휘. 자. 호. 급제 시년 관직
-------------------------------------------------------------------
^○6세 이주좌(李周佐) - - - 목종조 시년 미상(穆宗朝試年未詳). 형부상서
○16세 이인정(李仁挺) - 성암(誠菴)- 고종조 시년 미상(高宗朝試年未詳). 문하평리
*어떤 곳에는 충렬왕 때에 급제하였다고 해설하고 있으나 족보 기록에 보면
[고종조에 태어나고 일찍이 등문괴(登文魁) 하였으며 충렬왕 2년에 우정언이 되었다.]고 하니
재위기간 고종 46년. 원종 15년에 충렬왕 2년인데
충렬왕 1년에 급제하여 2년에 우정언이 되었다는 것은 무리이니 고종조에 급제로 봐야만 한다.
^○16세 이진(李瑱) 초휘방연(初諱方衍) 온고(溫古) 동암(東菴)
충렬왕시 등제(忠烈王時登第) 검교정승. 임해군. 시문정(諡文定)
이진(李瑱) 1280 충렬왕6년 문신 친시방(忠烈王六年文臣親試榜)2위
^○16세 이세기(李世基) - 송암(松巖)
1279 충렬왕5년 기묘 성균괴 등제(忠烈王五年己卯成均魁)
이세기(李世基) 1280 충렬왕6년 문신 친시방(忠烈王六年文臣親試榜)3위.
밀직부사. 대제학, 검교정승. 시문희(諡文僖)
^○17세 이부(李榑) - - 1283 충렬왕9년 계미 등 성균괴 등제(忠烈王九年登成均魁登第)
이부(李榑) 1286 충렬왕12년 병술방(忠烈王十二年丙戌榜). 내서사인
○17세 이규(李樛) 일휘조은(一諱朝隱) - -
1287 충렬왕13년 정해 임정기방(忠烈王十六年丁亥林貞杞榜).
이규(李樛) 1290 충렬왕16년 경인 정가신방(忠烈王十六年庚寅鄭可臣榜). 우헌납
이규(李樛) 1310 충선왕2년 경술친시방(忠宣王二年庚戌親試榜). 17위
○17세 이관(李琯) - 이암(怡庵)
충렬왕21년 을미 성균괴 등제(忠烈王二十一年乙未成均魁登第). 가락군
^○17세 이제현(李齊賢) 초휘 지공(初諱之公) 중사(仲思) 익재(益齋)
1301 충렬왕27년 신축 성균괴 등제(忠烈王二十七年辛丑成均魁登第).
문하시중. 계림부원군 시문충(諡文忠)
^○17세 이천(李蒨) 군실(君實) 국당(菊堂)
1299 충렬왕 기해 성균괴 등제(忠烈王己亥成均魁登第)
예문관대제학. 첨의정승. 월성부원군. 시문효(諡文孝)
○17세 이과(李薖) - - 등용방(登龍榜). 상서
^○18세 이달존(李達尊) 천각(天覺) 운와(雲窩)
1330 충숙왕 17년 경오방(忠惠王十七年庚午榜). 태상소경. 임해군
^○18세 이배중(李培中) - - 문과(文科) 충숙왕 시년미상(試年未詳). 전리판서
^○18세 이달충(李達衷) 초휘달중(初諱達中) 중권(仲權) 제정(霽亭)
1326 충숙왕 13년 병인 성균괴(忠肅王十三年丙寅成均).
1328 충숙왕 15년 무진 등제(忠肅王十五年戊辰登第)
^○18세 이성중(李誠中) 계저(季著) -
1347 충목왕3년 정해 김인관방(忠穆王三年丁亥金仁琯榜). 판서
^○19세 이보림(李寶林) - - - 1355 공민왕4년 을미방(恭愍王四年乙未榜).정당문학
○19세 이수림(李壽林) - - - 1357 공민왕6년 정유 문과급제(恭愍王六年丁酉文科及第)
^○19세 이준(李樽-木대신立) - - - 공민왕 성균괴 시년미상(恭愍王成均魁試年未詳)
1360 공민왕 9년 경자 정포은방(恭愍王九年庚子鄭圃隱榜). 밀직. 호조전서
○19세 이전(李塼-土대신立) 초명전(初名專) - - 공민왕17년 무신방(恭愍王十七年戊申榜)
^○19세 이당(李堂) - - - 우왕 8년 임술방(禑王八年壬戌榜). 내자시정
○19세 이존오(李存吾) 순경(順卿) 석탄(石灘)
1341 공민왕 9년 경자 등문과(恭愍王九年庚子登文科). 판삼사 대사성
^○19세 이존사(李存斯) - - - 1376 우왕 2년 병진 정총방(禑王二年丙辰鄭摠榜). 교감
○20세 이정보(李廷甫) 초휘제두(初諱濟斗) 맹주(孟周) - 공민조 문과(恭愍朝文科)
* 벼슬은 조선조에서 시작함.
^○20세 이정견(李廷堅) 계주(季周) -
1374 공민왕 23년 갑인 김자수방(恭愍王二十三年甲寅金自粹榜). 첨서. 좌상시 월성군(조선)
^○20세 이승적(李升啇) - - - 1382 우왕8년 임술 성균괴(禑王八年壬戌 成均魁).
이승적(李升啇) 1382 우왕8년 임술 유량방(禑王八年壬戌 柳亮榜). 판서 계림군
○20세 이미(李美) 중인(仲仁) 서재(西齋) 고려조 등제(高麗朝登第). 교리
^○20세 이래(李來) 소명 안국(小名安國) 낙보(樂甫) -
1383 우왕 9년 계해방(禑王九年癸亥榜). 대제학. 학성부원군
^○19세 이반(李蟠) - - - 우왕9년 계해방(禑王九年癸亥登進士十一榜). 형랑
^○19세 이실(李室) - - - 우왕 11년 을축 우홍명방(禑王十一年乙丑禹洪命榜). 정랑
?○이합(李合) - - - 공양왕 2년 경오방(恭讓王二年庚午榜). 대사성
[출처] 경주 이씨 벌열(閥閱) - 2|작성자 풀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