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안전 불감증이 우리를 전율케 한다. 지난 16일 오전 8시58분께 전남 진도군 관매도 인근에서 수학여행 학생 등 승객과 승조원 475명을 태운 여객선 `세월호'가 운항 중 침몰한 최악의 해상 참사는 할 말을 잃게 한다. 꽃다운 나이의 젊은이들을 생각하면 가슴이 미어진다. 우선 사고의 원인을 낱낱이 밝혀야 한다.
정확한 사고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급선회 등 여러 가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또 선장이 휴가를 가는 바람에 대리 선장이 세월호를 몰았다고 한다. 노선 선택과 대리 운항이 침몰 사고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규명해 내야 한다. 그래야 각종 재난으로 뒤범벅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안전 불감증을 치유할 수 있다.
1993년 서해훼리호 침몰(292명 사망), 1994년 성수대교 붕괴(32명 사망), 1995년 대구지하철 가스 폭발(101명 사망), 삼풍백화점 붕괴(502명 사망) 등 후진국형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인재(人災)가 계속되고 있는데도 정부는 속 시원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사고가 터진 뒤에야 분주한 모습이다. 사고 현장을 방문하고, 관련 정부 기관장들이 모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꾸리며, 재발 방지를 위해 유사 시설물의 안전점검에 나서겠다고 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2월 부산외국어대 신입생 환영회 행사 도중 체육관 지붕 붕괴 사고와 관련, 국무회의에서 “각 부처는 안전수칙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지 현장에서 철저히 점검하라”고 했지만 또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백년이 흘러도 세월호는 잊어서는 안 된다. 정부는 불안해하는 국민을 안심시켜야 한다. 후진적 참사가 밥 먹듯 일어난다면 선진국이라 할 수 없다. 건성건성 이전의 정책이나 재탕 삼탕 끌어모아 대책이라고 내놓아서는 국민의 분노만 자극할 뿐이다. 시간이 걸려도 좋다. 대한민국의 안전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향상시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