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는 올해 GDP성장율을 2022년 7월 2.9%, 2022년 10월 2%, 올해 1월 1.7% 에서 1.5%로 하향전망했습니다.
하향전망한 이유로 반도체경기가 하락기인것과 민간소비부진을 꼽았습니다.
스리니바잔 IMF아시아국장은 하반기에 중국으로부터 외부수요증가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스리니바잔국장은 SVB와 CS파산에 의한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말했습니다.
Chip downcycle, lackluster private spending behind lowered growth outlook for Korea: IMF official
반도체 하락주기, 민간소비부진으로 한국성장율 하락: IMF국장
By Yi Whan-woo 이환우 기자
Posted : 2023-04-14 16:46 Updated : 2023-04-14 21:50
Korea Times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has slashed its 2023 growth forecast for Korea this month, the fourth consecutive downward revision of the country's economic outlook, due to the global chip downturn and weakening domestic consumer expenditure, a senior IMF official said.
세계적인 반도체 경기하락과 국내소비약화로 국제통화기금(IMF)이 이달 들어 한국의 2023년 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하향 조정하면서 4번 연속 한국 경제 전망이 하향 조정됐다고 IMF 고위관계자는 말했다..
"There's been a worse-than-expected global semiconductor cycle which has a bearing on Korea," Krishna Srinivasan, the director of the IMF's Asia-Pacific Department, said during a press briefing on the regional economy in Washington, D.C., Thursday (local time.).
“한국에 영향을 미치는 세계 반도체 사이클이 예상보다 악화되었다."고 크리슈나 스리니바잔 IMF 아시아국장이 목요일(현지시각) 워싱턴에서 언론에 지역경제브리핑을 하면서 말했다.
He mentioned that since semiconductors are Korea's key export item, the global chip downcycle has a bearing on the country's export-reliant economy by adversely affecting both chipmakers and investors.
그는 반도체가 한국의 핵심 수출 품목이기 때문에 글로벌 반도체 하강주기가 반도체 제조업체와 투자자 모두에게 악영향을 미쳐 한국의 수출 의존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Srinivasan also addressed the issue of private spending, another major driver of Korea's growth, saying that it has been weakening due to pandemic-induced inflation and monetary tightening that has been paused only recently, as well as the current housing slump.
스리니바잔국장은 또 팬데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과 최근에만 일시 중지된 통화긴축, 그리고 현재의 주택 침체로 인해 약화되고 있다고 말하면서 한국 성장의 또 다른 주요 동인인 민간소비 문제도 거론했다.
"All that feeds into domestic demand waning compared to what we had in the past," he said.
“우리가 과거에 비해 내수에 공급되는 모든 것이 줄어들고 있다,” 고 그는 말했다.
The IMF press briefing took place as a part of the Spring Meetings of the Board of Governors of the World Bank Group and the IMF.
IMF 언론 브리핑은 세계 은행 그룹 및 IMF 이사회의 봄 회의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For its world economic outlook, updated every three months, the Washington-headquartered IMF lowered its 2023 growth forecast for Korea to 1.5 percent, Tuesday.
워싱턴에 본부가 있는 국제통화기금(IMF)은 3개월마다 갱신되는 세계 경제 전망에서 한국의 2023년 성장율 전망치를 화요일 1.5%로 낮췄다.
The forecast was down from previous outlooks of 2.9 percent in July 2022, 2 percent in October 2022 and 1.7 percent in January this year.
이 전망은 2022년 7월 2.9%, 2022년 10월 2%, 올해 1월 1.7% 에서 하락한 수치이다.
The director said external demand from China is anticipated to "play a factor in Korea's growth prospects,"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스리니바잔 국장은 하반기에 중국으로부터 외부수요가 "한국의 성장 전망에 한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eoul hopes that the country's economy will remain sluggish throughout the first half but will rebound in the following six months, with China's reopening causing a spillover effect.
한국 정부는 한국의 경제가 상반기 내내 부진을 면치 못하다가 중국의 재개방의 파급효과로 하반기에 반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n economist in Seoul assessed the IMF's lowered growth outlook for Korea saying that it "reflects the sensitive nature of the country's economy in relation to global risks."
서울의 한 이코노미스트는 IMF가 한국의 성장률 전망을 낮춘 것에 대해 "글로벌 리스크와 관련해 한국 경제의 민감한 성격을 반영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Korea's GDP growth assumes exports must go smoothly, and a downward chip cycle worldwide suggests it will take time for the country's economy to rebound," Hanyang University economics professor Lee Jeong-hwan said.
“한국의 GDP 성장은 수출이 순조롭게 진행되어야 한다고 가정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감소하는 반도체 하강 주기는 한국 경제가 회복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임을 시사한다,” 고 이정환 한양대학교 경제학과교수는 말했다.
Srinivasan added that the impact on Asia, including Korea, has been limited concerning the recent global banking turmoil, which was sparked by the collapses of Silicon Valley Bank (SVB) in the United States and Credit Suisse in Europe.
스리니바잔은 미국의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유럽의 크레디트스위스 (CS) 파산으로 촉발된 최근의 세계 은행 사태와 관련하여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덧붙였다.
#IMF #스리니바잔IMF아시아국장 #GDP성장율1.5% #작년7월2.9% #작년10월2% #올해1월 1.7% #SVB #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