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류의 문화유산
세계민속악기박물관
악기로의 여행
머리말
악기는 인류가 만들어낸 유산 중 가장 문화적인 예술품이다. 거의 모든 민족들이 고유의 예술가적 기교 또는 세련된 기술을 가지고, 악기에 종교적 신념과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며, 소리를 만들어내는 기구를 만들고 사용하며 보존해 왔다. 시대에 따라, 유행에 따라, 변화하기도 하고 개량되면서, 각 민족마다 창의적으로 그들의 음악적 목적에 맞게 디자인하고 연주해 온 악기들이 현대에 와서는 일방적인 세계화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점점 사라져 가는 운명에 처해 있다.
악기 분류 기회는 작스-호른보스텔 악기 분류법을 적용했다. 이것은 에리히 모리츠 폰 호른보스텔과 쿠르트 작스가 세운 악기 분류체계로 1914년 발표한 이후 음악학자들이 모든 문화권의 악기를 분류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며, 국제박물관협회 산하 악기박물관위원회가 권고하는 방식이다.
추천의 글
세계민속악기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악기의 실물 사진을 수록해 문화와 지역에 따라 다른 악기의 특성을 명료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이 소중한 까닭은 단지 문화나 지역의 차이에 따라 만들어지는 악기의 독특한 생김새, 소리, 음향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이 책은 개개의 악기가 겪어 온 역사, 문화, 사회의 변화를 담고 있고, 그 악기와 함께 살아온 개인, 공동체, 사회의 삶을 담고 있기에 소중한 자료인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이 책은 세계 곳곳의 다양한 문화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생각하게 하는 귀중한 안내서 역할을 할 것이다.
김성혜_세계민속악기박물관 고문 음악인류학 박사
1 동북아시아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는 한국과 일본, 중국을 비롯해 대만과 몽골, 심지어 베트남에 이르기까지, 이른바 중국문화권에 속하는 지역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이다.
Korea 한국
1.가야금
한국의 대표적인 악기 중 하나로, 오동나무 공명판에 12줄의 명주실을 꼬아서 새로로 메고 안족으로 음을 조절하며 손가락으로 뜯어 연주한다.
2.양금
페르시아 지역의 산투르가 중국을 거쳐 조선 영조 때 청나라에서 전래되었으며 대나무 채로 연주한다.
3.북
나무통 위에 아름다운 채색의 헝겊을 대어 만든, 장단을 맞추는 북이다.
Japan 일본
1.샤미센
긴 목에 네모난 몸통을 가진 샤미센은 악기의 명칭대로 세 줄을 지닌 현악기의 일종이다. 원나라 때 이슬람의 세타르라는 현악기에서 유래된 중국의 산시엔이 16세기 일본에 전래되어 샤미센으로 발전했다. 중국 산시엔의 몸통은 뱀 가죽으로 씌워졌으나 사미센의 몸톰은 뱀 가죽 대신 주로 고양이 가죽 또는 개 가죽이 사용된다. 사미센 연주자는 왼손으로 목 부분을 잡고 몸통을 오른쪽 무릎 위에 얹고 오른손에 잡은 바치로 줄을 튕겨서 소리를 낸다.
2.고즈츠미
모래시계 모양의 양면 북으로, 아프리카의 토킹드럼처럼 가죽과 연결된 줄을 당기며 음을 조절한다.
3.비와
중국의 비파가 8세기 일본의 나라시데에 건너가 토속화된 악기로 한국의 향비파, 베트남의 단티바와 유사한 악기이다.
4.우치와다이코
부채 모양의 얇은 가죽 면을 채로 쳐서 소리 내는 악기로, 일본의 사원에서 사용된다.
5.빈자사라
수많은 나무판을 끈으로 묶은 상태에서 양 손잡이를 잡고 파도처럼 휘저어 소리를 낸다. 가부키 공연이나 시골 축제 때 사용한다.
6.사쿠하치
중국의 퉁소나 한국의 단소처럼 세로로 잡고 부는 관악기이다. 사쿠하치에 쓰이는 대나무는 황죽의 뿌리 부분인데, 직경은 4-5cm,길이는 55cm가량이고, 몸통에 5개의 지공이 있다. 사쿠하치의 취구는 몸통 윗부분의 앞쪽을 비스듬히 베어내어 반달형으로 만든 다음, 입김이 닿는 부분에 단단한 나무를 박아서 만든다.
China 중국
1.산시엔
긴 목에 작은 몸통을 지닌 삼현은 가극과 경극의 반주악기로 사용되는 중요한 현악기이다. 현대의 삼현은 지단목의 울림통이 뱀 껍질로 덮여 있으며, 연주자는 모조손톱으로 연주한다. 삼현의 음색은 굵게 울려 퍼지는 성향을 띠고 있으며, 높고 넓은 음역의 풍부하고 조화로운 소리를 낸다. 중국의 삼현은 일본에 전래되어 샤미센의 모체가 되었다. 현재는 뱀 가죽을 사용하는데, 오키나와의 산신과 베트남의 단 탐과 유사하다.
2.망라
중국 운남성 소수민족들이 사용하는 악기로, 여러 개의 공을 손잡이로 동시에 타격하며 연주한다.
3.셩
셩은 기원전부터 중국에서 사용된 오랜 역사를 지닌 관악기이다. 길이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대나무관이 호리병 형태의 공명통에 꽂혀 있다. 옛 문헌에 의하면, 마치 봄볕에 모든 생물이 돋아나는 것처럼 삐죽삐죽하고 그 소리는 대지에 생명을 불어넣는 생의 뜻을 담고 있어 셩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처음에 셩은 14개의 관이 있었으나 현재는 일반적으로 17개의 관으로 되어 있다. 대나무관 끝에 달린 쇠청이 울려 만들어지는 금속성의 음색이 특징이고 동시에 두 음 이상의 소리를 내어 화성 효과를 낸다는 점이 특징이다.
4.아이젝
페르시아에 기원을 두고, 부하라 등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 서역(신장)지역에 전해진 악기이다. 4현이며, 무릎에 세워 활로 연주한다.
5.사바이
신장 위구르민족의 악기로 양의 뿔로 만든 2개의 침봉에 금속 고리가 붙어 있다. 기둥을 잡고 흔들면 금속음을 낸다.
6.비파
실크로드를 따라 불교문화와 함께 극동아시아 지역으로 전래된 비파는 지금의 중앙아시아인 서역이 고향이다. 비파라는 이름은 악기를 연주할 때, 손을 앞으로 밀어 소리내는 비와 끌어당겨 소리내는 파를 의미한다. 비파의 구조는 배를 반으로 자른듯한 연주판과 구부러진 목, 그리고 일반적으로 4~5개의 줄을 가지고 있으며, 괘는 23개, 25개, 30개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당나라 때까지는 비파의 연주에서 발자가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연주자의 모조손톱을 끼우고 줄을 뜯어 연주한다.
7.다요방
나무 가운데를 파내어 만든 작은 슬리트드럼의 일종으로 손잡이가 있다.
8.구친
3,000년의 역사를 가진 중국 고대 악기로, 중국의 학자나 귀족들이 즐겨 연주하던 악기이다.
9.찡후
19세기 호금에서 발전된 악기로 북경의 경극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어 경극의 중요한 선율악기로 사용되고 있다. 오른손으로 활을 잡고 몸체를 바로 세워 연주한다.
Mongolia 몽골
1.마두금
사다리꼴로 생긴 목조현악기 마두금은 몸통의 목 끝 부분을 말머리 조각으로 장식하고 두 현을 얹어 만든다. 연주자는 우리나라의 해금처럼 왼손으로 목 부분과 줄을 잡고 말총으로 만든 활로 줄을 문질러서 소리를 낸다. 마두금과 관련된 전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어느날 초원에서 백마가 죽었다. 백마의 주인이 죽음에 매우 슬퍼하며 말을 깊이 그리워하던 중 꿈에 백마가 나타나서 나의 몸으로 악기를 만들면 나는 당신과 영원히 같이 있게 될 것이며 당신 또한 외롭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래서 주인은 말의 털로 줄을 만들고 뼈대로 악기의 목을 만들고 가죽으로 목재로 된 몸통을 감싸고, 악기의 윗부분을 말머리로 장식했다. 마두듬은 중국과 몽골, 투바 등지에서 독주악기와 노래의 반주악기로 널리 사용된다.
2.야산갈링
사람의 무릎뼈로 만든 관악기로 라마교를 믿는 티베트와 몽골에서만 발견된다.
3.둔부레
소라껍질로 된 나팔 종류로, 나선형으로 잘라 만들어 사용한다. 이 악기는 공식적인 행사나 종교(불교)의식에 폭넓게 사용된다. 그러나 수세기 동안 신호용 관악기로 사용되기도 했다. 또한 티베트의 불교의식에서 둥(긴 금속 나팔)과 함께 사용된다.
Tuva 투바
1.찬즈
러시아의 자치공화국인 투바의 현악기 찬즈는 중국의 산시엔과 유사한 목이 긴 세 줄짜리의 류트악기이다. 이 악기는 달걀 모양이나 하트 모양의 나무 몸통에 세 줄을 걸어 만든다. 마두금처럼 독주악기와 반주악기로 쓰인다. 연주자는 뿔로 만든 채나 손가락으로 줄을 튕기거나 뜯어서 소리를 낸다.
2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 반도와 말레이제도로 이루어진 동남아시아는 지리적 위치와 복잡한 지형의 영향 때문에, 예로부터 다양한 민족과 언어, 종교로 역동적인 문화를 이루어왔다. 유럽과 미국의 식민통치를 겪으면서 오래전 정착한 원주민과 중국화교 외에도 인도인과 유럽인, 이들과의 혼혈인들이 거주하게 된 이 지역에서는 중국문화의 영향이 강한 베트남을 제외하면 대부분 인도의 영향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인도의 라마야나 신화는 이 지역의 토속신앙으로 자리를 잡았고, 인도의 영화음악 또한 20세기 동남아시아 대중음악에 자극제가 되고 있다.
전통적인 의식이나 행사음악, 극음악으로 쓰이는 여러 형태의 공 앙상블 가믈란은 세계 곳곳에 많은 애호가를 확보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의 전통음악으로 유명하고, 입으로 불어서 소리내는 대나무 풍금 캔을 반주악기로 삼는 라오스나 북부 타일랜드의 전통적인 노래들도 이제는 꽤 알려진 이 지역의 민속음악이 되었다. 동남아시아 국가 중 예외적으로 중국 등 동북아시아문화와 긴밀한 관계를 보여주는 베트남의 특성은 중국의 얼후와 비슷한 단코나 단티바, 단짜인 같은 악기를 통해 쉽게 발견할 수가 있다.
Philippines 필리핀
1.기타랑카와얀
대나무통으로 만든 원형 지터 형태로, 대나무 4현을 가진 현악기다. 민다나오 섬 지역에서는 Saluray라고도 부른다.
Timor 티모르
1.사산도
티모르섬 East Musadengara 지역의 악기로 원통형 지터에 소리를 모으기 위해 코코넛 잎으로 악기를 둘러싸고 있으며, 손으로 철사 현을 퉁겨서 연주한다. 솔로 또는 앙상블로 연주하는데 Rofe섬과 Sabu섬의 연주 형태가 서로 다르다.
2.페코플루트
서 티모르 지역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피리로, 가축을 우리로 불러 모을 때나 사냥할 때 사용하는 관악기다.
Malaysia 말레이시아
1.사페
사라와크, 칼리만탄, 보르네오 등지에 거주하는 민족의 현악기로 큰 나무줄기를 잘라 보트 형태로 만든다.
Indonesia 인도네시아
1.켄통안
사람 모양의 형태로 된 슬리트 드럼. 성기 모양의 막대를 빼서 홈이 있는 나무통을 쳐서 소리를 낸다.
2.안클룽안
발리 지역 가믈란 악기의 일종으로, 기용, 강사, 칸틸란, 타와타와, 저고간, 리용, 켐풀, 챙챙, 켄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레밥
이슬람의 전래와 함께 들어온 악기로 가믈란 연주에서 현악기로 사용된다. 말레이시아 동부 지역에서는 음악치료사가 연주하기도 한다.
4.중가
인도네시아 숨바섬의 발현악기이다.
5.게속
토라자 지역의 닭 모양으로 장식한 찰현악기로 어머니가 아기에게 장래를 축원하며 연주하는 악기다.
6.고피찬드
벵골 지역에서 기원한 현악기로 위쪽에 달린 나무말뚝으로 현을 조율한다. 바닥의 공명통은 나무와 염소가죽으로 이루어져 있다.
7.공
인도네시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공 종류 중 하나로 섬세한 장식의 받침대가 돋보인다.춤, 노래,종교적 행사와 의사전달용으로 사용하며, 악귀를 쫓고 병을 치유하는 신비한 힘을 지니고 있으며 부의 상징으로도 여겼다.
Thailand 태국
1.라낫엑
태국의 실로폰(목금)으로 전통음악 앙상블의 리더 악기이다. 21~22개의 나무로 만든 나무판을 배처럼 생긴 공명통 위에 걸쳐놓고 2개의 말렛으로 연주한다.
2.미엔 드럼Mien drum
태국의 소수민족 미엔 족의 북으로 양 가죽 면에 나무쐐기를 박아서 만든다.
Vietnam 베트남
1.트롱 동
북베트남의 동손 지역 문화에서 발견되어 동손드럼이라고 한다. 유사한 형태가 남중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발견되지만 원래는 중국에서 기원전 600년 전에 유래되었고 한다. 악기로도 사용되지만 숭배의 대상으로 귀족층에서 소유했고, 일부는 곡식저장 용도와 전쟁에서도 사용되었다.
2.단바우
역사적으로 맹인이 연주했던 1현 악기로 예전에는 대나무 통과 실크 현, 코코넛 열매 반쪽, 탄력있는 나무막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 줄의 현이 걸려 있는 나무막대를 흔들어 독특한 농현으로 조롱박 형태의 공명통을 통과하며 배음을 만들어낸다.
3.단니
단코 또는 단니는 수직으로 세워 두 줄 사이를 활로 연주하는 현악기다. 악기의 몸통은 뱀가죽으로 덮여 있고, 대나무나 나무, 말총으로 만들어진 활을 사용한다. 오늘날에는 금속 줄을 선호하기는 하나, 예전에는 명주실로 줄을 만들었다. 이 악기는 짧은 스타카토나 긴 화음을 느리게 또는 빠르게 연주할 수 있다. 음역이나 음색, 강약을 비교적 다양하게 구사하는 악기로, 베트남에서는 대중적인 악기이다.
Myanmar 미얀마
1.사웅가욱
버마하프라고도 불리는 사웅은 오랜 역사를 가진 아시사의 대표적인 하프로, 지금도 명주실 현을 사용한다.
2.온망
미얀마의 절에서 사용한 슬리트드럼의 일종으로 시간을 알리거나 할 때 사용되었다.
3.파아
동남아시아 농부들이 개구리가 울면 비가 온다는 사실을 알고, 가뭄기에 개구리 모양의 악기 등 부분을 긁어 기우제를 지냈다.
4.미 갸웅
버마의 몬 족이 사용하는 악어 모양의 치터 종류의 악기로, 현지어로는 키암이라고 부른다.
5.파탈라
동남아시아의 실로폰이지만 말렛으로 치는 건반 부분이 대나무로 되어 있다.
Cambodia 캄보디아
1.스코르
크메르어로 스코르는 북이란 의미이며, 나무와 동물가죽으로 만든다. 이 북은 캄보디아 북종류 중 하나로, 뱀가죽을 통나무에 씌워 만든 것이다.
2.타케
타케는 크메르어로 악어란 뜻을 지닌 크라페우라고도 불리는 지터 형태의 발현악기이다. 결혼식 음악에 연주되며, 태국에서는 자케라고 부른다.
3.스랄라이
크메르 왕국의 궁중댄스와 관련된 핀피앗 앙상블에서 연주되었던 이 악기는 슬라이 핀피앗이라고도 불린다. 중동의 주르니에서 유래했으며 야외에서 연주하는 한국의 태평소와 사촌 간이다.
Laos 라오스
1.캔
동남아시아의 청동기 시대부터 비슷한 형태의 악기가 유래했다. 에데, 흐몽 민족의 남성들이 연주한다.
3 인도 및 서남아시아
히말라야 산맥과 힌두쿠시 산맥을 경계로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네팔, 부탄 등의 나라가 이루는 문화는 지리적으로 근접한 남부아시아의 인도와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아리아인, 드라비다인, 이들 두 인종간의 혼혈인과 몽골계, 이란계 등이 주요 인종을 구성하고 있는 이 지역은 인도 남부를 중심으로 하는 힌두교와 방글라데시, 파키스탄의 이슬람교, 스리랑카의 불교 등 다양한 종교가 삶에 깊이 뿌리를 내리며 갈등과 공존을 유지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고대 인도의 종교적 문헌이자 역사서인 베다를 낭송하는 노래와 계절의 변화, 삶에서의 중요한 통과의례, 중교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인도의 라가 또는 라그는 이 지역의 대표적인 전통음악으로,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힌두교의 전통이 강하게 살아 있는 인도 남부의 카르나틱 음악 전통과 이슬람 세력이 우세하면서 기악을 중요시하는 북인도의 힌두스타니 음악전통은 악기편성과 음악양식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라가 연주에서도 그러한 차이는 반영된다. 시타르와 사랑기, 므리당감, 타블라 등은 서구의 월드뮤직 시장에서도 이미 잘 알려진 인도의 대표적 악기들이다.
SriLanka 스리랑카
1.타메타마
2,500년의 역사를 가진 악기로, 공동체 간의 소통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India 인도
1.사랑기
사랑기는 인도에서 활로 연주하는 악기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악기이다. 사랑기의 이름은 100가지를 의미하는 사우와 색을 의미하는 랑기로부터 유래했다. 이 악기는 1개의 통나무 아래쪽을 파내어 공명통으로 삼고, 그 위에 가죽을 씌우고, 장선 줄을 사용한다. 악기의 목 부분에는 지판(프렛)이 없고 줄이 몸통의 지지대 위에 얹혀 있다. 사랑기는 그 모양이나 현의 수, 조율 등이 유파나 시대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의 사랑기는 3현의 선율현이 있고, 동으로 만든 현은 지속음을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나머지 공명현들은 선율현의 아래쪽 라가 선율에 맞추어 조율되어 있다.
2.시타르
이슬람교도 음악인들이 탐부르라는 현악기와 남인도의 비나를 개량하여 13세기 무렵에 만든 현악기이다. 2개의 조롱박 공명통과 티크나무로 만들어진 시타르는 긴 목에 움직일 수 있는 16~20개의 지판이 있다. 네 개의 선율현 이외에 시타르는 개방현 3개와 13현의 공명현이 있어서, 연주 때 신비로운 음향을 낸다. 줄은 금속 줄로 되어 있는데, 괘 위로 일곱 줄이 있고, 괘 아래로 열세 줄이 있다. 괘 위의 일곱 줄 중에 음악을 연주하는 줄은 넷째 줄과 다섯째 줄이고, 나머지 줄은 지속음을 내는 데 사용한다. 연주자는 오른손가락에 금속 골무(미즈랍)을 끼고, 줄을 뜯거나 튕겨서 소리낸다.
3.탄부라
지역에 따라 탐부라, 탄푸라, 탐부로라고 불리는 악기이다. 긴 목을 지닌 탐부라는 4개의 개방현을 지니고 있다. 악기의 네 줄은 라가의 음계에 맞추어 아주 정밀하게 조율되며 성악이나 기악 연주에서 지속음을 내는 반주악기로 사용된다.
4.타우오스
딜루바의 옛 악기로 전해지며 공작새 모양의 현악기로 비나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산스크리트어로 마유리이고 힌디어로 타우오스이다.
5.사랑가
사린다와 유사하며 3현의 동물내장으로 만든 거트현과 그 아래의 공명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6.콜 드럼
므르당가라고도 불리는 콜은 인도 서벵갈에서 유래한 양면 북으로 진흙으로 구운 몸체에 가죽 끈들을 묶어 만든다.
7.사라스와티 비나
음악과 예술의 여신 사라스와티에서 다온 이름으로 남인도의 카르니틱음악을 연주하는 데 사용된다. 비나 종류 중 가장 화려하여 비나의 여왕이라 부른다.
8.므리당감
술통처럼 생긴 몸통의 양쪽에 가죽을 씌워 만든 북의 일종이다. 산스크리트어로 므리드는 본래 진흙을 뜻하지만 므리당감의 몸통은 현재 나무로 제조된다. 오른쪽 북면은 왼쪽보다 약간 좁고, 북편의 테두리 양끝은 가죽끈으로 조여 고정시켰다. 오른쪽 가죽면의 중앙에는 조율점이 있는데 조율점의 지름은 약 7cm가량의 검은 색깔로 되어 있다. 이 조율점은 망간가루나 철가루와 쌀밥을 잘 반죽하여 붙여서 만드는데, 라가의 사음에 맞도록 조율되었다. 연주자는 손목과 손가락 끝을 이용해서 아주 맑고 묘한 소리를 낼 수 있다.
Nepal 네팔
1.디앙그루
티베트나 네팔에서 손에 들고 춤을 추면서 막대로 치는 북이다.
2.샤만북
동물가죽 뒷면에 십자형으로 손잡이를 갖추고 장식물을 단 전형적인 시베리아의 무당북 형태로 네팔의 몽골계 민족이 사용하고 있다.
3.걀링
티베트나 네팔 지역 불교도들이 연주하는 겹리드의 나팔로, 수도원의 기도나 의식에 사용된다.
4.사랑기
원래는 말총으로 만든 4현을 활로 문지르는 악기로, 나무의 몸체를 파서 만든다, 인도의 비하르주 호족과 네팔에서 사용된다.
Butan 부탄
1.둥첸
티베트나 부탄의 불교행사에 사용되는 긴 트럼펫, 짝으로 혹은 여럿이 연주한다.
Tibet 티벳
1.다므루
모래시계 모양의 몸체는 나무나 사람의 해골로 만들며 티베트와 인도, 네팔, 몽고에서 사용된다. 한손으로 비틀면서 돌리면 2개의 끈에 묶여 있는 조그만 매듭이 양면의 가죽 북면을 때리면서 소리가 난다.
2.캉링
불교음악에 사용되는 악기. 뼈 조각과 금 세공이 아름다운 관악기이다.
3.고우
티베트의 현악기. 용머리 장식이 있어 중국에서는 용두금이라 한다.
4.둥 드카르
소라 껍질로 된 나팔 종류로 종교(불교)의식이나 공식적인 행사에 폭넓게 사용되었다. 신호용 관악기로도 사용되었던 흰 소라는 신성시 여겨졌으며 둥과 함께 불교의식에 사용되었다.
4 중동 및 중앙아시아
터키의 투르크 전통과 이란의 페르시아 문화, 그 밖의 아랍 전통이 대표적 요소로서 형성된 중동의 이슬람 문화는 우즈베키스탄이나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직스탄 등 구 소련의 중앙아시아와 모로코, 리비아, 이집트 등 북아프리카에서도 그 영향력을 느낄 수 있다. 십자군 전쟁을 통해 이슬람문화로서부터 유입된 현악기가 유럽에서 개량을 거듭하여 지금의 바이올린이 되었다는 역사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이슬람 사회는 우드와 레밥, 케만체와 타르 등 아름답고 다양한 많은 현악기들을 보유하고 있다. 중동의 악기들은 유럽뿐 아니라 실크로드를 거쳐 동아시아로도 전해진다.
우리나라에 이르러 양금이 된 산투르, 혹은 카눈은 한국에서와는 전혀 다른 현란한 연주 방법을 통해 여러 악기가 동원되는 합주처럼 짜임새가 두터운 음악을 연주하는 독주악기로 사용된다. 그 밖에 염소가죽을 통째로 사용하여 만든 백파이프 종류나 가죽 핸드북인 다프, 탬버린 종류인 도이라 등도 유목민의 생활을 느끼게 하는 이 지역의 악기들이다.
Kazakhstan 카자흐스탄
1.킬코푸즈
나무 몸통에 서너 개의 말총 현으로 구성된 이 악기는 연주자의 무릎에 얹어 활로 연주한다. 킬코푸즈는 중앙아시아 샤만의 주된 악기이다.
Kirgizstan 키르기스스탄
1.킬키약
살구나무 몸통에 두 개의 현을 매고 말총으로 된 활로 연주한다. 말꼬리만 의미의 킬에서 붙인 이름으로, 키약 또는 나아마라고도 부른다.
Uzbekistan 우즈베키스탄
1.루밥
현은 말이나 소의 힘줄로 만들었으며, 면화를 상징으로 하는 엠블럼과 양의 뿔 모양을 장식했다.
2.도이라
둥근 탬버린에 금속 링을 달아 북편을 칠 때 찰랑거리는 래틀의 효과도 함께 낸다.
3.탄부르
긴 목에 14~19개의 지판을 가진 배 모양의 현악기이다. 악기의 공명통은 통나무로 만들고 목 부분은 호두나무로 만들며 지판은 말과 황소의 힘줄로 만든다.
Tadzhikistan 타지키스탄
1.수르나이
나무나 뿔로 만들어진 원뿔형의 몸통에 앞에 7개, 뒤에 1개의 지공이 뚫려 있다. 40cm정도 크기의 악기 몸통에 더블리드와 깔때기 모양의 입술원반을 부착시켜 사용한다. 이 악기는 샤나이, 수르나이, 주르나, 주르라 등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불려지고 있으나, 그 모양이나 형태는 유사하다. 수르나이는 보편적인 선율악기의 하나로, 주로 도이라(템버린과 닮은 북)와 함께 연주된다.
Iran 이란
1.세타르
얇은 뽕나무로 만들어진 세타르는 25개 혹은 26개의 괘가 있다. 세타르는 세 줄 이라는 뜻이다. 현재의 악기는 4개의 현으로 되어 있지만, 이름으로 보아 초기에는 세 줄이 사용됐을 것으로 학자들은 추정한다. 이슬람교도 가운데도 특히 수피들이 즐겨 연주한다.
2.타르
코카서스와 중앙아시아 지역에도 퍼져나가 연주되고 있지만 원 지역은 이란 지역에서 유래했다. 타르는 페르시아어로 현을 뜻한다.
Turkey 터키
1.사즈
탐부르의 일종으로 분류되는 현악기로, 물방울 모양의 작은 몸통에 긴 목이 꽂혀 있다. 쌍으로 된 8~10개의 금속 현이 얹혀 있는데, 첫째와 둘째 줄을 제외한 나머지 줄은 개방현으로 쓰인다.
2.카박 케마네
카박은 호리병의 몸통에 견고한 나무로 된 목 부분, 그리고 철사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로 노래 반주에 사용되고 무릎 위에 놓고 연주한다.
3.주르나
우리나라의 태평소와 같은 계통의 주르나는 겹 리드로 된 관악기로 아시아의 여러나라에서 널리 연주되고 있다. 지역에 따라서 사나이, 수르나, 쇄납 등으로 불린다. 앞으로는 7개, 뒤로는 1개의 지공이 있고 몸통 끝은 나팔꽃처럼 벌어져 있다. 한 옥타브 반의 음역을 지닌 주르나는 음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주로 결혼식이나 기타 축제 등 야외행사에서 연주되고 있다. 행진에서 다발과 함께 연주하기도 한다.
Armenia 아르메니아
1.두둑
3,000년의 역사를 가진 악기로, 주로 살구나무로 만든 몸체에 물에 불려서 사용하는 겹리드의 관악기이다. 그루지아에서는 두두키, 터키에서는 메이라고 한다.
2.카눈
고대 이집트의 하프에서 변형된 발현 악기이다. 아랍 지역 카눈과는 달리 아르메니아 카눈은 레버로 반음만 조절한다.
Azerbaijan 아제르바이잔
1.타르
페르시아어로 현이란 의미에서 유래한 긴 목의 류트형 악기로, 코카서스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Georgia 그루지아
1.구다스트비리
그루지아 서부 이메레티에서는 소나 양의 동물가죽으로 울림통을 만들어 붉은 색 벨벳천으로 감싸고 염소뿔에 은줄로 장식한 찬터에 2개의 나무파이프가 연결되어 있다.
2.치보니
그루지아 중부 카르틀리나 북부 라차를 포함하여 지역에 따라 크기나 모양이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동부 키헤티와 서부 아자리에서는 양이나 염소가죽을 통째로 울림통 자루로 쓰는 치보니라고 한다. 2개의 나무파이프 중 왼쪽은 높은 음의 가락을 내는 6개의 지공이 있고, 오른쪽은 낮은 음을 내는 3개의 지공이 있는데, 전통적으로 남자들만이 연주하는 악기로 서창이라 불리는 대화형식의 남은조 노래를 부를 때 동시에 연주되어 왔다.
Afganistan 아프가니스탄
1.레밥
레밥은 지금의 아프가니스탄 지역에서 16세기 경부터 쓰였다고 해서 때론 아프가니스탄 루밥이라고도 부른다. 푼집 지역, 카쉬가르 지역 외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에서도 사용된다. 몸체 중간에 양쪽이 들어간 모양은 과거에 활로 연주했던 흔적이다.
Israel 이스라엘
1.쇼파르
쇼파르는 현재 유대인들의 종교 의식에서 사용된다. 짧게 굽은 숫양의 뿔로 만들어진 쇼파르는 회개로 해석되는 울부짖는 소리를 낸다. 이에 비해 예멘의 쇼파르는 큰 야생 염소의 뿔로 길게 뒤틀어진 모습을 하고 있는데 보다 장엄한 소리를 낸다.
Bashkortostan 바시코르토스탄
1.쿠라이
미니릿과의 식물인 쿠라이의 줄기로 만드는 동명의 악기다. 민요 The singing cranes(두루미의 노래)는 천년 이상 오직 쿠라이로만 연주되었을 정도로 우랄 지역 바시코르톤스탄 사람들의 슬픔과 기쁨을 반영하며 사랑받아 온 악기다.
5 아프리카
3,000여 개의 부족과 1,000여 개의 언어가 공존하며 최초로 인류가 탄생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대륙 아프리카는 유럽 및 중동과의 오랜 교류, 그리고 노예선으로 시작된 아메리카 대륙으로의 문화전파를 통해 자신들의 음악을 알려왔다. 북아프리카에서는 함-셈족의 백인종계 인구가 거주하고, 사하라 사막 이남에는 멜라노 아프리카 인종 또는 네그로라고 흔히 분류되는 흑인들이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카메룬 동부와 콩고 지역에 걸친 중앙아프리카의 열대우림 지역에는 피그미(또는 음부티), 적도 아래 지역에는 부시맨, 최남단에는 줄루족 등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민족들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음악은 서로 다은 박자의 리듬을 동시에 연주하는 타악과 열정적인 의식음악들로 유명하지만, 특히 중앙아프리카 이투리 숲의 피그미들은 사회구성원 전원이 참여하는 폴리포니(다성음악/노래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음악적인 종족이라는 칭송을 받기도 한다. 수렵과 채집 등 이동활동을 통해 생업을 유지하는 피그미나 부시맨이 노래를 즐기는 반면에, 농업과 목축업 등으로 정착생활을 해온 다른 부족사회는 여러 형태의 드럼과 현악기들로 기악연주를 즐겨왔다. 잘리는 하프소리를 내는 코라와 박으로 된 공명통을 단 발라폰, 젬베를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한 서아프리카의 세습음악가들이다.
Moroco 모로코
1. 나파르
얇은 양철판을 돌려 원통형을 만들고 외부에 음각을 하여 장식한 나팔이다.
2.레밥
페르시아에 기원을 두고 있고 2줄의 거트(동물의 내장을 꼬아 만든 현)현과 말총으로 만든 활로 연주한다.
3.게이타
터키의 주르나와 유사한 형태로 5~6개의 지공을 가진 음량이 풍부한 야외용 관악기이다. 페르시아어로 수르니야, 아랍어로 미즈마르라고 한다. 상나팔은 자므로라고 부른다.
4.트빌라
한 쌍의 진흙으로 만든 몸체에 염소나 소가죽으로 고정시켜 만들고 손가락으로 북면을 치며 연주한다. 탐탐 또는 나카라라고도 불린다.
5.코페
항아리의 주둥이에 얇은 가죽을 씌워 만든 타악기로 양쪽에 음량을 조절하는 구멍이 2개 있다.
6.갈랄
세라믹 몸통 주위를 납으로 장식한 북으로 과거에 연주되던 북이다.
7.케틀드럼
아랍 지역에서 사용되는 솥 모양의 북으로 말이나 낙타 등에 얹어 전쟁이나 의식에 집단적으로 연주되었다. 10세기 문헌에 나타나며 몸체는 진흙으로 만들다가 후에 금속으로 바뀐다. 단독으로 사용할 때는 Tabi, 짝으로 사용할 때는 Naggara라고 한다.
Algeria 알제리
1.부작
머리 부분에 동물 모양을 한 알제리의 민속악기로 4현의 발현악기이다.
2.슈쉬
사하라 사막 지역 베르베르 민족의 라밥인 원형의 몸통을 가진 1현 악기이다.
Tunisia 튀니지
1.미즈와드
자루라는 의미의 미즈와드 또는 미즈워드는 튀니지의 백파이프이다. 2개의 첸터를 묶어서 사용하며 끝에 소뿔을 매달았다. 원추형의 관악기를 트리폴리와 튀니지에서는 주크라라고 한다.
Lybia 리비아
1.이즈마라
아랍어로 이중 이란 뜻의 이즈마라는 마크룸 미트빅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시리아, 레바논,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인기 있는 관악기로, 결혼식, 축제 등에서 연주된다. 일반적으로 2개의 동일한 원통형 파이프가 송진이나 왁스를 칠한 끈으로 묶여 있거나 색상으로 장식되어 있다.
Egypt 이집트
1.우드
이슬람의 여러 국가에서 우드는 아주 중요한 현악기의 하나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아랍이 스페인을 정복한 이후에는 서구의 여러 나라에도 퍼져 류트라 불리면서 서양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2.다르부카
다르부타는 도기로 만든 타악기로,. 속이 빈 잔 모양처럼 생겼다. 염소가죽으로 덮은 머리 부분을 북편으로 삼아 오른팔 또는 왼팔 아래에 맞닿게 수평으로 놓고 연주한다. 다양한 춤과 종교의식에서 수세기 동안 사용된 악기이다.
Ethiopia 에티오피아
1.바가나
에티오피아나 에리트리아 지역에서 베게나, 바가나로 불리는 긴 리라 종류로, 점성술사나 성직자들에 의해 연주되었다.
2.클레이 드럼
진흙으로 구운 몸통과 그림으로 장식한 가죽면을 가진 북으로 인도의 타사와 유사하다. 에디오피아 전통의상을 입은 악사들의 연주 모습과 문양이 흥미롭다.
Mauritania 모리타니
1.겜브리
아랍어로 문양이 새겨져 있는 지터형 현악기로 겜브리라고 하나 현지어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Senegal 세네갈
1.젬베
젬베이, 젬베, 짐베라고 불리는 서아프리카의 대표적인 타악기로 만딩카족으로부터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손 끝과 손 바닥으로 연주하며 지역마다 조금씩 형태가 다르다.
Angola 앙골라
1.드럼
밑이 잘룩한 대형북으로 옆면에 사람 얼굴 장식이 있다.
Ghana 가나
1.돈도
서아프리카의 가나, 나이지리아, 베냉 등에서 사용되며, 겨드랑이에 끼고 북면을 연결하는 줄을 조절하며 다양한 소리를 내기 때문에 메시질르 전달할 수 있다고 토킹드럼이라 부른다. 요루바족은 둔둔, 울로프니 만딩카족은 타마라고 한다.
2.발라폰
발라폰이라는 말은 12세기 말리제국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팔라쿠, 마림바 등 다양한 이름이 사용된다. 동남아의 실로폰과 다른 점은 길이가 다른 나무판 밑에 크기가 다른 조롱박을 대어 공명통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붕붕거리는 소리를 내기 위해 박의 작은 구멍에 거미알집을 붙여서 만들고 2개의 말렛으로 연주한다.
3.고제
사하라 이남 지역의 민족등이 연주하며 1-2줄의 말총 현과 뱀이나 도마뱀 가죽을 박 위에 덮어서 만든다.
Congo/Zaire 콩고 /자이레
1.무쿠펠레
장구처럼 생긴 이 악기는 콩고 동남부 지역의 초케족의 양면북이다. 통나무로 만들며 중간에 손잡이와 젊은 여자를 의미하는 Mwana wa Pwo를 나타내는 얼굴을 조각했다.
2.쿤디
콩고 보모칸디 지역 잔데 민족의 파프로 인물 조각상에 4-5현을 가죽 공명통에 연결한 발현악기이다.
3.사티
콩고 응바카 민족의 악기로 조상과 신이 전령자를 인물로 조각했다.
4.보예케
앙골라, 콩고, 잠비아에 걸쳐 거주하는 초케, 음분디 민족의 악기로 5-6현의 현악기이다. 산족은 치료음악에 사용되는 악기로 유사한 그와시를 연주한다.
5.슬리트드럼
입상의 사람 모양으로 된 슬리트드럼으로 서아프리카에서 온 도라고 부른다.
6.공 드럼
망베투족의 나무로 만든 공 종류로, 인물상은 귀한 신분을 상징한다.
7.음비라
리켐베, 신자, 칼림바, 썸피아노 등으로 불리는 음비라는 아프리카 중남부 대부분의 지역에서 연주된다. 양손으로 잡고 엄지손가락으로 나무나 쇠로 만든 고정된 긴 막대들을 튕겨 소리를 낸다.
8.인물상 드럼
사람의 몸통을 조각한 대형 북으로 여자들의 의식에 사용되었다.
9.로열 드럼
쿠바왕국의 북으로 카우리 조개 장식과 손잡이를 한 북이다.
10.은곰
은곰 또는 불룹이라고 부르는 이 드럼은 긴 북의 측면에 사람의 형상이나 손을 조각해 지역사회의 부의 며성을 표현했다.
Cameroon 카메룬
1.맘빌라드럼
맘빌라 민족의 통나무드럼으로 인간의 몸과 머리로 구성된 전형적인 H형 슬리트드럼이다.
2.남치족 래틀
남치 민족의 악기로 등나무로 만든 래틀에 사람 형태의 손잡이를 만들고 구슬로 치장했다.
3.종
청동으로 만든 기마상의 벨로, 정교한 금속공예가 돋보이는 악기이다.
Kenya 케냐
1.냐티티
케냐 서부지역에 거주하는 루오족의 리라로, 나무 몸통 전면에 동물가죽을 덮고 동물 내장을 현으로 사용한다. 수단의 탐부라족도 비슷한 악기를 연주한다.
Nigeria 나이지리아
1.요루바 드럼
나이지리아 요루바족의 악기로 사면에 사람 얼굴로 장식하고 사람이 받치고 있는 형상의 북이다. 기니의 바가족 악기인 아은데프와 유사하다.
2.코라
21현을 가진 전형적인 서아프리카의 코라로, 그리오(역사학자이자 음악가)가 연주하는 악기이다. 큰박을 반으로 잘라 만든 몸체에 긴 막대를 걸고 동물가죽으로 현을 매어 만든다.
3.커런시 벨
참바족의 악기로 여러개의 벨을 연주하며, 물건을 살 때 교환하는 화폐의 역할도 한다.
Benin 베냉
1.청동트럼펫
청동으로 만든 트럼펫으로 정교한 조각은 왕을 의미한다.
2.청동사각 장식 종
청동으로 만든 사각형의 벨로, 전사를 위함으로부터 보호하고 조상의 제단에 놓기도 했다.
Tanzania 탄자니아
1.우든 트럼펫
사람 모양의 트럼펫, 한쪽은 열려 있고 중간에 큰 취구가 있다.
Gabon 가봉
1.모켄게
아프리카 가봉의 코타족이 만든 레틀 종류로 머리장식을 동으로 장식하고 등나무로 짠 용기 안에 작은 돌을 넣어 흔들어 연주한다.
2.더블공
팡족의 공으로 절대신을 나타내는 인물상을 조각했다.
Guinea 기니
1.은고마
기니의 바가족, 콩고의 빌리족 등 무당이나 치료사가 치료의식에 사용하는 북으로, 조상신이 북을 지배하게 되면 저절로 북이 연주된다고 믿고 있다. 신비한 기적의 상징으로 뱀을 감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Ivory Coast 아이보리코스트
1.플리에오
세누포민족의 악기로 수호신이나 조상신을 숭배하는 북이다.
Sudan 수단
1.양아르
아비시니아 지역의 리라 종류로, 몸통은 모두 동물의 가죽으로 만들었다.
6 아메리카
15세기를 전후하여 유럽인의 탐험이 시작되면서 아메리카의 문화는 큰 변화를 겪었다. 원주민들의 전통과 유럽에 기반을 둔 백인들, 아프리카에서 강제 이주된 흑인들의 삶이 공존하면서 다원적 색채의 문화적 기틀을 다진 북아메리카와는 대조적으로 혼혈적 성격을 강하게 드러낸다. 안데스산맥과 브라질의 아마존 일부에서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남아메리카 인이도들의 소수의 의식음악을 제외하면, 스페인으로 대표되는 유럽의 음악문화와 카리브해 지역 및 브라질에 깊이 뿌리내린 아프리카의 전통이 기존의 원주민 전통과 뒤섞이면서 중미 및 남미 특유의 성격을 빚어내고 있다. 스페인의 비우엘라가 변형된 차랑고는 볼리비아 등에서 애용되는 대표적인 남미 기타이고, 삼포냐, 시쿠, 안타라 등 다양한 이름을 가진 팬플루트는 와이노라 불리는 메스티조 민요를 비롯해 많은 남미 음악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Bolivia 볼리비아
1.차랑고
스페인의 남미 정복시기에 유럽에서 비우렐라를 가져왔는데, 등판을 갑옷주로 바꾸어 토속 민속악기로 개량했다.
Brazil 브라질
1.Kraho Gourd 휘슬
크라호족 인디오의 작은 조롱박으로 만든 휘슬이다.
Mexico 멕시코
1.마라카스
동물의 다리뼈를 손잡이로 만든 Primitive한 래틀이다.
Peru 페루
1.보테야 실바도라
고대 비쿠스 문명 때부터 제작되어 온 도자기로 만든 악기로, 주전자로도 사용되며 주둥이에 바람을 불어 소리를 낸다.
2.푸투투
남미 지역의 악기로, 수소나 다른 동물의 뿔로 만든 관악기로 기념식이나 의식에 사용된다.
3.와히라푸코
고대 잉카제국에서는 땅의 여신 파차마마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악기로 신성하게 여겨 카니발 의식후 연주했다. 동물의 뿔을 연결해서 만든 관악기다.
Panama 파나마
1.쿠나 인디언 마라카스
파나마의 산 블라스섬의 쿠나 인디언(여성)의 Nasis Rattle이다.
Colombia 콜롬비아
1.뼈피리
펠리칸 새와 야마의 정강이 뼈로 만든 피리이다.
USA 미국
1.인디언 드럼
북미 네이티브 아메리칸 인디언 나바호족의 북으로, 깃털 장식이 있다.
2.거북 래틀
거북의 등껍질 속에 작은 돌을 넣어 흔들면 소리가 나는 래틀이다. 사슴의 다리를 이용해 손잡이를 만들기도 한다.
7 유럽
유럽은 모차르트와 베토벤을 낳은 이른바 클래식 음악의 본고장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교육받은 귀족과 지식인 계급을 중심으로 범유럽적인 클래식음악이 발달한 이면에는 유럽의 서민은 세상 곳곳이 그러하듯 지역마다 고유한 풍습과 춤, 의식 등을 즐기고 전하며 삶이 묻어나는 민속문화를 간직해 왔다. 유럽의 기악은 17세기 이후 클래식음악을 이끌며 근대적 음악 개념의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민요들은 19세기말을 전후하여 헝가리의 벨라 버르토크와 같은 작곡가들에 의해 클래식음악 안으로 녹아들기도 했다. 하지만 유럽을 여행하는 이들이 목격하듯 도시와 시골마을을 풍요롭게 만드는 거리의 악사들은 지터나 허디거디와 같이 클래식 오케스트라에서 볼 수 없는 악기들로 낭만적인 노래를 들려준다. 민속악기는 거리악사의 연주에서 뿐만아니라 일반 민중의 생활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함께 한다. 스위스의 관악기 알프혼은 산세가 험한 지역에서 서로의 의사소통을 위해 쓰는가 하면, 크고 작은 삼각형 모양의 러시아 류트, 발랄라이카는 트레몰로로 연주하는 기타의 소리를 곧잘 내며 애수 띤 민요의 단골 반주악기로 사용되고 있다.
Germany 독일
1.지터
남부 독일의 민속악기로 30~45줄의 현을 손가락으로 뜯거나 픽으로 연주한다. 지터는 나무판 위에 현을 길게 매단 형태의 악기를 부르는 용어로도 종종 사용된다.
2.기타류트
유럽의 류트가 기타로 넘어가는 중간 형태의 악기로 지판이 있다.
3.반도네온
독일에서 만들어져 아르헨티나로 건너간 톤서티나의 한 형태이다.
Swiss 스위스
1.알프혼
기록에 의하면 켈트족에 의해 대략 2,000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악가ㅣ로 예로부터 마을의 양치기와 소치기들에 의해 연주되었다. 젖소의 젖을 짤 때 마음을 안정시키거나, 밤에 양들을 재우기 위해 불러 모을 때 사용되었다. 마을회의나 전쟁을 위해 남자들을 모을 때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가문비나무로 만들며 감미롭고 풍부한 울림을 가진 악기이다.
Czech 체코
1.만돌린
유럽의 배 모양을 가진 몸통과 지판을 가지고 있는 류트형 악기로, 반주나 선율뿐 아니라 화음도 연주한다.
Serbia 세르비아
1.브라치
유고지역의 4~6현으로 구성된 류트형 악기로, 손목만으로 빠르게 연주하는 발현악기이다.
2.탐부라
비세르니카라고도 불리며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지역에서 춤 또는 노래의 반주에 사용된다.
Albania 알바니아
1.라후타
한줄의 현과 말총으로 된 활대로 연주하고 머리 부분에 양의 모양이 장식되어 있다.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지역에서는 구슬레라고 부른다.
Bulgaria 불가리아
1.가이다
양가죽으로 만든 공기주머니와 8개의 지공을 가진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다. 불가리아의 산악 지역에서 연주된다.
2.드보얀카
직사각형 모양의 피리를 입을 대는 부분이 2개로 나누어져 있으며 하나는 화음을 하나는 지속음을 내게 하여 백파이프와 비슷한 느낌을 준다.
3.가둘카
3줄의 선율현과 10~12개의 공명현을 가지고 있으며 활로 연주한다. 전통적이고 규모가 작은 오케스트라나 노래 반주에 사용된다.
Hungary 헝가리
1.체테라
고대부터 농부나 목동들에 의해 민속악기로 사용되;어 온 지터의 일종이다. 근대에는 댄스파티나 결혼식 등에 사용되었다.
2.두다
16세기 경기병들의 군악대는 물론 결혼식, 축제 등에서도 사용되었다. 파이프는 염소머리와 뿔로 장식되어 있다.
3.테케로
영어로 허디거디, 독일어로 드렐라이어라고 한다. 스페인에서 전해져 17세기에 헝가리에서 유행한 악기로 오른손으로 손잡이를 돌리고 왼손으로 건반을 누르며 연주한다.
Russia 러시아
1.발랄라이카
삼각형의 나무 몸통에 3현을 가진 발현악기로 러시아의 대표적인 민속악기이다. 중앙아시아의 돔브라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Ukraine 우크라이나
1.반두라
우크라이나 민족을 상징하는 반두라는 죄측의 12줄 긴 드론현을 왼손으로 연주하고 오른쪽의 멜로디현을 오른손으로 연주한다. 약 20현의 온음계로 조율되는 고전적인 빈두라와 온음계와 반음계로 조율이 가능한 하리코프 반두라, 그리고 55~64현을 가지고 반음계로 조율이 가능한 키예프 반두라 세 종류 증 키예프 반두라이다.
Sweden 스웨덴
1.네켈하르파
약 850년 전에 등장한 스칸디나비아 지역과 북독일 지방의 악기로, 금속현은 직접 누르지 않고 측면의 나무 건반을 눌러 연주하는 칠현악기이다. 악기의 이름에서 니켈은 건반악기를 의미하고 하르파는 현악기를 뜻한다.
Italia 이탈리아
1.잠포냐 아 파로
2개의 챈터와 드론을 가진 백파이므로 숌과 함께 자주 연주된다.
Slovakia 슬로바키아
1.푸야라
주로 단풍나무로 만들며 양치기들에 의해 연주되었으며 여자의 얼굴을 장식한 지팡이 형태의 관악기이다.
2.바샤
슬로바키아 민속음악에 사용되는 3현 찰현악기로 긴 몸통은 1개의 통나무로 만들고 활로 연주하면 첼로처럼 저음이 난다.
Lithuania 리투아니아
1.칸클레스
철기시대부터 언급되었던 오랜 역사를 가진 악기로, 수많은 악과 죽음으로부터 보호한다는 전설을 가진 8~12줄의 발현악기이다.
8 남태평양
남태평양에는 25,000여 개의 섬들이 있고 이 중 1,500여 섬에서 수백 개의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살고 있다. 이 섬들은 하와이, 뉴질랜드, 이스터 아일랜드를 잇는 삼각형 모양의 영영 폴리네시아와 삼각형 왼편의 북쪽 부분 마이크로네시아, 남쪽 부분 멜라네시아, 그리고 남태평양 서쪽의 오스트레일리아로 흔히 부른다. 많은 섬들이 있다는 의미의 폴리네시아와 매우 작은 섬들이라는 뜻의 마이크로네시아, 세계에서 가장 피부색이 검은 사람들이 모여 산다는 멜라네시아는 선박교통을 통해 오랜 시간 교류해 왔기 때문에 서로 다르면서도 비슷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태평양 섬 지역의 사람들은 구전을 통해 그들의 삶 속에서 음악을 향유해 왔다. 가사를 가진 노래가 중요시되어 악기가 다양하지는 않고 노래와 춤, 가사의 역사적 종교적 의미 등이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의 유기적 문화 활동으로 간주되어진다.
박 속의 내용물을 깨듯이 파내고 말려 만든 하와이 악기 이푸는 손바닥이나 손가락으로 두드려 소리를 내는데, 북 파후와 마찬가지로 전통적인 훌라 공연에서 춤을 반주한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이 부는 악기인 디저리두는 조상들의 영혼을 숭배하는 춤을 출 때 연주한다.
Australia 호주1.디저리두
호주 북부의 원주민들이 사용해 온 관악기로 원주민 공동체의 축제에서 사용된다. 이 악기는 전통적으로 여성과 이방인에게는 금지된 악기였으며 야다키라고도 부른다. 유칼리나무의 속을 흰개미가 파먹어서 구멍이 생기는 형태이다.
2.빌미르스틱
호주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곤봉 형태의 막대로, 한 쌍을 부딪혀 소리낸다. 빌마 또는 빌빌이라고도 부른다.
Solomon lslands 솔모몬 제도
1.팬파이프
아시아에서 멜라네시아 지역으로 전해졌다고 하는 팬파이프 종류이다.
New Zealand 뉴질랜드
1.은구루
뉴질랜드 원주민인 마오리족의 민속악기로 입이나 코로 연주하며 향유고래의 뼈나 나무를 조각해서 만든다.
Vanuatu 바누아투
1.현지인의 얼굴을 조각한 작은 슬리트드럼이다.
Papua New Guinea 파푸아 뉴기니
1.세픽플루트
뉴기니의 세픽 강 유역에 사는 민족의 플루트로, 가운데에 취구가 하나 있고, 주로 신성한 영물로 여기는 새의 장식을 한다. 성인식에서 연주되는데, 심령들을 즐겁게 하기 위해 특히 Yangi Yat라는 영적인 새를 숭배한다.
2.쿤두
파푸아뉴기니 지역의 모래시계형 드럼으로 한 면에 도마뱀 가죽을 씌우고 가운데에 손잡이가 있다. 의식이나 행사에 사용되며 가죽 면에 동물의 피를 발라 얇은 가죽이 찢어지지 않게 연주한다.
Hawaii 하와이
1.울리울리
마라카스 안에 씨앗을 넣고 새의 깃털로 장식한 악기로, 훌라춤 등에 사용된다.
2.이푸 헤케
조롱박 속을 파고 2개을 연결하여 만든다. 훌라춤에 따라 박자를 맞추는데 사용한다.
인류의 문화유산 악기로의 여행
초판 인쇄 2010년3월29일
초판 발행 2010년4월15일
펴낸곳 음악세계
펴낸이 전재국
대표 김동일
값 4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