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34편
사랑이와 희망이네 아저씨
박유진
1인 가정 수가 전체 가정의 33.4% 정도 됩니다.
혼자 지내는 이가 많아지면서 외로워하는 이가 많아졌고,
이런 마음 상태를 질병으로 볼 정도로 심각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반려 동물의 수도 함께 증가했습니다.
약 1천 3백 만 정도에 이른다고 합니다.
전체 국민의 25% 정도로, 개를 기르는 가정이 75.6%이고,
고양이를 기르는 가정이 27.7%였습니다. (농식품부 추정치)
이제, 우리 현장에서도 반려 동물을 가족으로 보는 이를 종종 만납니다.
가족을 다시 정의해야 하는 때입니다.
오늘부터 보내는 이야기 몇 편은
모두 반려동물과 함께 지내는 가정 이야기입니다.
박유진 선생님 글은
물건을 많이 쌓아두는 가정처럼,
지나치게 동물을 많이 키우는 이야기일 수도 있습니다.
세상 사람들은 이런 이를 애니멀 호더 Animal Hoarder라 한다지요?
우린 사회사업가입니다.
곡선의 시선을 가졌으니 보이는 대로 판단하지 않습니다.
나름대로 그럴만한 사정이 있겠죠.
이유 없이 그리 사는 이는 없습니다.
일단, 들어봐야지요.
동물을 사랑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더하여,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가정을 거드는 이야기가 적지 않습니다.
2022년에 이 글을 정리하면서 이제 생태도를 그릴 때 반려동물도 포함하자는 글을 썼습니다.
함께 읽어주세요.
https://cafe.daum.net/coolwelfare/Qcny/237
드라마 같은 이야기에 푹 빠져 듣다 보니,
솔직하게 이야기하지 않고 한 걸음 물러섰던 게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웃들이 악취에 대하여 충분히 이야기했을 테고,
아저씨 자신도 집이 더럽다는 걸 잘 알고 계셨습니다.
그래서 찾아간 우리에게 미안한 마음도 가득 있었을 겁니다.
그런데 또 냄새난다는 소리를 하면 아저씨 마음이 어떨지.
아마 고양이를 아끼는 마음을 이야기하지 못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랑이와 희망이네 아저씨'를 읽은 뒤,
댓글로 '읽었습니다' 하고 남겨주세요.
소감이나 질문을 써도 좋습니다.
첫댓글 다 읽었습니다. 누군가를 온전히 신뢰를 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참 오래 거리는 일인 것 같습니다. 그 신뢰를 쌓아가는 과정에서 오해가 쌓이기도 합니다. 사례관리를 하며 신뢰가 깨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계속 그들을 믿고, 기다려야 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항상 생각합니다. "안 되면 어쩔 수 없지." 라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의 삶이기에 무언가 안 되면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생각하고 마는 것이 아니라 그들과의 관계에서 성찰해보고, 반성하며 다음에는 이렇게 해야지, 다음에는 이러지 말아야지 하는 과정의 반복인 것 같습니다.
스스로 해 볼 수 있겠다는 아저씨의 말씀.. 만나는 아이들한테 이런 말을 들을 수 있도록 힘내겠습니다.
상대방의 좋은 점을 보려고 애쓰는 노력이 사회사업가도 성장하게 합니다.
상대방이 변화하기 위한 노력이 사회사업가에게도 힘을 불어 넣어줍니다.
그런 관계는 소진되는 관계가 아니라 박유진 선생님의 글에서 처럼 '서로에게 힘이 되고 응원이 되는 존재로 함께 성장하는' 관계가 되고 문제 너머를 생각해보게 되는 힘을 가지게 하는 것 같습니다.
만나 뵙고 있는 분들께 좋은 점을 보려고 하는 사회사업가의 애씀이, 그 분이 변화하는 모습이 전해지며 서로에게 의미 있는 관계가 되는 오늘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분들이 정말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저는 반려동물을 키우지 못해 온전히 이해하긴 힘들지만,
덧붙여주신 글을 보며 반려인들의 마음을 잘 읽고 공감해야 하겠다 생각합니다.
창문을 열어두는 결정을 하기까지 많은 고민이 있었을테지만, 아저씨와의 신의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모습을 기억하겠습니다.
처음만 도와주면 다음부턴 혼자 하실 수 있다는 말씀을 믿는 것도 용기였을 것 같습니다. 저도 믿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왜?라는 궁금증을 가지고 시작한 점. 아저씨 스스로 처한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을거라는 믿음. 덕에 어떻게 하면 좋을지 계속 묻고 의논하신 것 같습니다. 이해되지 않을 때도 묻고, 이유가 있겠지 하고 믿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아저씨를 믿는 믿음을 보며, 저도 그런 믿음으로 한 아이, 한 아이를 만나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어떤 상황이 잘 이해되지 않을 때, 먼저 믿는다는게 어려울 것 같기는 하지만, 당신만의 이유를 궁금해하는 시도들을 꾸준히 해보고 싶습니다. "당신 스스로 지금 처한 상황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을 거라는 믿음. 그 믿음이 행여나 만나는 분들을 어떤 식으로든 ‘취급하게 하는 일’을 막아 줍니다" 고맙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사람을 그저 믿는 일이 얼마나 힘이 큰지..
저도 다시 되새기게 됩니다.
고맙습니다
다읽었습니다
끊임없이 당사자에게 묻고 함께하는일
그건 당사자의 삶이기 때문이라는 당연한 이유를 떠올려 보았습니다
기다려주시고 함께하신 팀장님이 계서 참 힘이 되셨을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