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산(1,567m) 옛부터 삼한의 명산, 전국 12대 명산이라 하여 '민족의 영산' 이라 일컫는다.
태백산은 가파르지 않고 험하지 않아 초보자나, 남녀노소 누구나 오를 수 있다. 2시간이면 천제단에 이르고 하산까지 4시간이면 족하다.
산 정상에는 고산식물이 자생하고 봄이면 산철쭉이 만개하고 여름에는 울창한 수목과 차고 깨끗한 계곡물이 흐르며, 가을에는 오색단풍으로 수놓으며 겨울에는 흰 눈으로 뒤덮인 주목군락의 설경을 이룬다.
산 정상에 태고 때부터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천제단이 있다. 천제단은 둘레 27m, 폭 8m, 높이 3m의 자연석으로 쌓은 20평 가량의 원형 돌 제단이다. 삼국사기에 왕이 친히 천제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고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신라에서 오악 가운데 태백산을 북악으로 받들어 봄, 가을에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태백산은 겨울의 눈과 설화가 환상적이다. 주목과 어우러진 설화는 동화 속의 설경이다. 적설량이 많고 바람이 세차기로 유명하여 눈이 잘 녹지 않고 계속 쌓인다. 세차게 몰아치는 바람이 눈을 날려 설화를 만든다. 매년 1월 중순에서 하순 사이 눈 축제가 태백산도립공원과 시내 일원에서 개최된다. 화려한 눈 축제에 앞서 눈 조각 경연대회가 태백산 당골에서 개최된다.
또한 태백산은 일출 산행으로 인기 있다. 새해를 맞이하는 첫 일출을 보려고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1991년 국가중요민속자료 제228호로 지정된 이 천제단은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는 동안 방백수령과 백성들이 천제를 지냈고, 구한말에는 쓰러져 가는 우국지사들이, 일제때에는 독립군들이 천제를 올렸던 성스런 제단이다. 천제단을 중심으로 5분 거리인 북쪽 300m 지점이 태백산의 주봉인 가장 높은 장군봉, 남동쪽으로 능선을 타고 가면 멀리 수만 개의 바위로 이루어진 문수봉이 있다.
천제단에서 유일사 쪽으로 내려가는 능선 중간과 문수봉으로 가는 중간에 살아 천년, 죽어 천년이라는 주목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사찰로는 망경사, 백단사, 유일사, 만덕사, 청원사 등이 있으며 산 정상 아래 해발 1,500m에는 단종대왕을 모신 단종비각과 한국 명수 100선 중 으뜸인 용정이라는 우물이 있다. 신라시대 자장율사가 창건했다는 망경사 절 입구의 용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샘물이며 개천절에 올리는 천제(天祭)의 제수(祭水)로 쓰인다. 또한 당골에는 매년 개천절에 제를 올리는 단군성전이 있다.
첫댓글 신청합니다.모란 탑승.
넵~
반갑습니다.
태백산 모란탑승
확인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태백산 신청합니다.서현탑승.
넵~~
반갑습니다.
태백산 서현탑승
확인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수내 탑승 신청합니다
넵~!!
수내탑승 확인하였습니다.
태백산 동행길에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예약 변경이 어려워져 어렵네요
잘 다녀 오세요
넵..알겠습니다.
다음에 뵙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개인사로 이번 태백산행은 쉬겠습니다. 죄송합니다..
넵..알겠습니다.
다음 산행길에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