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문) 사상 스마트시티 업종 재배치, 신소재·메카트로닉스 위주로
주례·감전·학장 302만㎡ 조성, 올해 말 재생계획 용역 완료
노후 공업지역을 첨단 산업단지로 재생하는 '사상 스마트 시티' 사업의 밑그림이 나왔다. 부산시는 지난해 4월 착수한 사상 스마트 시티 사업의 재생계획 용역이 올해 말 완료를 목표로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13일 밝혔다.
시가 구상하는 스마트 시티 재생계획의 골자는 사상구 주례·감전·학장동 일원 302만1000㎡를 신소재 메카트로닉스와 전통산업 육성지역, 제조업 전문단지 등으로 재배치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동서고가로 아래 가야로와 사상구청 앞을 잇는 학감대로변에 주거와 상업 기능을 부여한다. 또 감전천과 학장천 하류 유수지에 생태하천을 복원하고, 학장초등학교를 가로지르는 도로를 보행녹지 축으로 설정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첨단산업단지인 선도사업지구 개발안도 포함됐다.
'스마트 밸리'로 불리는 사상 첨단산업단지 조성 사업은 주례동 일원 12만3000㎡에 8개 동, 지하 5층, 지상 최고 48층 규모의 총면적 85만8000㎡의 지식산업센터와 호텔, 주거단지, 문화시설 등을 건립하는 것이다. 지식산업센터에는 지식과 문화, 정보기술(IT)을 기반으로 한 첨단 기업과 각종 연구소를 유치한다. 보상비 1500억 원, 공사비 9400억 원 등 총 1조3000억 원이 투입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이 사업은 정부의 노후공단 재생사업의 지원을 받아 지금의 신발과 도금, 금속가공, 기계장비업을 신소재와 메카트로닉스 등 첨단산업으로 업종을 바꾸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는 도로와 주차장, 공원 등 기반시설을 정비·확충해 민간이 참여하는 연구소와 첨단 융·복합시설을 유치할 방침이다.
시는 기반시설 확충을 위해 오는 2020년까지 10개 도로 노선(7.4㎞)을 정비할 계획이다. 공원은 11개소(3만4000㎡)를 신설하고, 주차장도 9곳(3만1000㎡)을 마련한다. 이를 완성하려면 국비와 시비를 합해 4400억 원이 필요한데, 시는 이 중 절반을 국비로 충당할 방침이다.
시는 현재 재생사업지구 지정을 위한 주민 동의를 받고 있다. 올해 말까지 전체 소유자 중 50% 이상의 동의를 받아 재생사업지구로 지정되면 국토교통부와 국비 지원액을 상향 조정해 달라고 요청하기로 했다. 부산시 최기원 산업입지과장은 "2016년까지 재생시행계획 용역을 추진해 2017년부터 재생사업을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