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탄 하면서 보았던 스위스의 도시 베른의 아름다운 풍경들,
도시에 접어들면서 바라본 풍경, ‘저게 뭐지, 무슨 집들이 저렇게 지어졌을까?“ 하고 의문점을 갖게 만드는 도시가 베른이었다.
어서 내려서 저 풍경 속으로 뛰어 들어가야지” 하는 생각으로 버스에서 내리자 마자 알레강이라는 이름의 강가에 놓여진 뉘데크 다리로 향했고, “아, 좋다!” “아, 좋다!” 하고 경탄을 하면서 베른의 아름다운 풍경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내가 도시 풍겨을 보고 그렇게 충격을 받았던 스위스의 수도首都이자 베른주의 주도州都인 베른은 스위스 최초로 1983년에 구시가지가 통채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됐다. 취리히, 루째른, 제네바 등 스위스에 명성 높은 도시들이 즐비하지만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도시는 이곳 베른이 유일한데, 베른은 스위스의 ‘당당한’ 수도이기도 하다.
스위스를 여행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거쳐 가야 하는 도시가 베른이다. 취리히나, 제네바에서 융프라우의 도시 인터라켄으로 가는 길. 그리고 이탈리아 북부로 향하는 열차로 갈아타는 도시가 베른이기 때문이 다.
안동의 하회마을이나 의성의 회룡포 마을처럼 알레강이 휘돌아 흐르는 베른을 세게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유네스코가 밝힌 사유는 이렇다.
‘알레 강에 둘러싸인 12세기에 조성된 언덕 위의 도시. 몇 세기에 걸쳐 독특한 컨셉으로 도시가 발달했으며 15세기풍의 아케이드, 16세기풍의 분수들을 담아내고 있다.’
열차가 다니는 철로 옆으로 오래된 도시를 알레강이 U자형으로 감싸고 흐르는 도시 배른이 첩첩이 포개진 집들과 고즈넉한 풍경을 지닌 베른 시내로 들어가며 도시를 휘감아 도는 알레 강의 풍경속으로 빨려들어갔다.
베른 시내로 들어가자, 입구에서 보았던 보일 듯 말듯한 풍경은 사라지고 여늬 유럽의 도시나 진배없다. 수많은 관광객들이 드나들고, 즐비한 상가에서는 음식을 먹거나 커피를 마시면서 담소하는 풍경이 질펀하게 펼쳐지고 있었다.
베른의 도시 건축물들은 18세기에 재건되었다. 그러나 베른의 옛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다. 베른 시내에는 보아야 할 것들이 많다. 슈피탈 거리와 시계탑, 대성당, 뉘데크 다리까지 이어지는 길목은 걸어서 답사하기에 충분하다.
베른 구시가지에서 볼 수 있는 특별한 볼거리는 분수대다. 여러 형태의 분수대들이 있는데, 사자의 입을 열고 있는 삼손의 분수와, 구멍 난 신발을 신고 있는 백파이프의 연주자의 분수, 그리고 식인 귀신의 분수가 있으며 이 마을을 창시한 사람과 최초의 병원을 세운 여인을 기리는 분수도 있다. 분수대 옆으로아슬아슬하게 무궤도 전차인 트롤리 버스가 지나는 도시 베른은 길과 사람이 가깝게 공존하고 있다.
베른의 또 하나의 명물이 석조 아케이드다. 유럽에서 가장 긴 아케이드 중 한 곳으로 알려진 석조 아케이드는 저장고 형태의 반지하 상점이 늘어서 있고, 점심때가 되면 그 계단에 앉아 사람들이 식사를 하며 담소를 나눈다.
베른시내를 천천히 걷다가 보면 만나는 시계탑은 아름다운 도시 베른의 상징물이자 가장 빼어난 건축물이다. 베른이라는 도시가 생성됐던 12세기 후반에 지어지기 시작해 16세기 중반에 완성되었다고 알려진 시계탑에서는 매시 정각 4분 전부터 곰들과 광대들이 나와 춤을 춘다. 베른의 시계탑은 감옥탑 이전에 도시의 출입구 역할을 했던 곳이다.
베른 시내에서는 어디에 사고 곰 형상들을 볼 수가 있는데, 베른은 곰의 도시라고 부른다. 이 도시를 처으 세운 체링겐 가문이 곰 사냥을 해서 시작됐다는 전설이 내려오기 때문이다. 그런 연유로 주의 깃발도 곰이고, 시내의 도처에서 곰의 깃발이 펄럭거리고 있으며, 뉘데크 다리 건너편에는 곰 공원이 들어서 있다
베른 시내 속에서 샌드위치로 점심을 먹다가 보니 문득 떠오르는 시 한 편이 있다.
북송 때의 시인인 소식(蘇軾)이 여산에 갔다가 그 오묘한 아름다움에 넋을 잃고 있다가 <제서림벽題西林壁>이라는 칠언절구의 시 한 수를 지었다.
橫看成嶺側成峯 옆으로 보니 고갯마루요, 또 곁으로 보아도 봉우리로다.
遠近高低各不同 멀고 가깝고, 높고 낮음이 저마다 같지 않구나.
不識廬山眞面目 여산의 참 모습 알기 어려우니,
只緣身在此山中 다만 이 몸이 이 산중에 묻혀 있음이로다.
산속으로 들어가면 산의 본 모습을 알기 어렵듯이 베른 시내로 깊숙이 들어가자 베른의 참 아름다움이 보이지 않으니, 이를 어쩐담, 다시 시내 밖으로 나가보자.
다시 베른 시내를 바쁘게 걸어서 버스가 들어오던 길, 강 건너 길을 걸어 올라가자 베른이 참모습이 고스란히 내 눈에 들어찼다.
멀리 스위스의 국회 의사당이 보이고, 처음에 무심코 경탄에 경탄을 거듭했던 베른 시내의 모습이 제대로 보였다.
저 베른이라는 도시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대를 이어 살아냈고, 지금도 살고 있을 것이다. 사랑하고, 미워하고, 싸우면서도 대를 이어 살아냈을 수많은 사람들, 그들은 누구였고 지금은 어디에서 어떤 형태로 남아 있을까?
영국의 속담에“대 도시는 대 사막이다”라는 말이 있고, 로마 속담에는“큰 도시는 큰 고독을 의미한다.”는 말도 있다, 조금 전에 보았던 왁자지껄한 도시 베른에도 큰 고독이 존재할까?
“가장 뚜렸한 침묵은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입을 열고 얘기를 하는 것이다.“ 라고 말한 덴마크의 철학자인 키르케고르의 말이 맞다는 전제하에서 베른은 지금 큰 고독에 휩싸여 있는지도 모르겠다.
멀리 보이는 베른 대성당은 스위스 최대의 고딕양식의 건물로 높이가 100m이기 때문에 베른 시내 어느 곳에서나 보이는 성당이다. 대성당의 첨탑에 올라가면 알프스의 연봉들이 눈앞에 다가서는데, 이곳 베른에서 아인슈타인이 상대성 원리를 완성시겼다.그가 머물던 집은 현재 아인슈타인 박물관으로 남아 있다. 베른에서 반생을 보내며 자신의 예술세계를 완성한 파울 클레의 작품들을 파울 클레 센터에서 만날 수 있다.
자연과 합일하여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도시 베른을 감싸고 흐르는 저 강과, 강을 배경으로 들어선 도시, 베른 자연스럽게 보이지 않는가?
독일의 철학자이자, 작가인 괴테는 ”자연은 영구하고 필연적이며,성神性 그 자체로, 신조차도 함부로 바꿀 수 없는 신성의 법칙이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연이 인간의 미래’라는 것을 에둘러 표현한 것이다. 스위스의 베른이라는 도시 역시 인류가 존재하는 한 오래도록 저렇게 고풍스런 모습으로 남아 사람들에게 기쁨과 행복을 전해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2023년 6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