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물고기와사람들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홍접초
    2. 비로소
    3. 소리아빠
    4. 지원
    5. cololado
    1. 구사일생
    2. 알뜰알리미
    3. 돌고기
    4. 금붕어집사
    5. 정예진
 
카페 게시글
‥열 린 ━ 토론방‥ 개체군간의 복잡한 상호작용 - '배스개체군에 대한 생태학적 이해의 필요성'
권율 추천 0 조회 452 06.04.08 05:39 댓글 118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06.04.14 22:09

    마지막으로, 제가 라임병 사례에서 이야기하고자 한 핵심(생태계의 복잡성을 이해해야 한다)은 전형배님에 잘 짚어주셨습니다. 하지만, 물음표님께 좀 더 부연설명을 하고 싶네요.

  • 작성자 06.04.14 22:10

    물음표님께서 [권율님이 인용하신 라임병 증가의 원인은 도토리 증가입니다. 원래대로 하기 위해서는 토토리를 줄이면 되는 것이죠. 이런것에 구체적인 생태학적인 원리가 필요할까요]라고 말씀하셨지요.

  • 작성자 06.04.14 22:12

    그렇다면, '라임병 증가의 원인이 도토리'라는 사실은 어떻게 알아냈을까요? 그건 다름 아닌 "생태학적 원리에 기반한 연구"를 통해서지요.

  • 작성자 06.04.14 22:17

    '도토리를 줄임으로서 라임병 발병율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라는 예측은 '집시나방 - 도토리 - 쥐(사슴) - 진드기 - 박테리아 - 인간'에 이르는 복잡한 생태적 연결고리에 대한 연구결과(생태학적 원리를 이용한)를 통해 가능했던 겁니다.

  • 작성자 06.04.15 03:40

    도토리와 라임병이라는 연관되지 않을 것만 같은 두 요소가 실험과 면밀한 고찰을 통해 연결된거예요. 우리 육수생태계에도 이런 보이지 않는 연결고리(예측을 어렵게 하는 원인)가 무수히 많을 것이고, 그렇기에 생태학 연구가 필요하다는 겁니다.

  • 작성자 06.04.14 22:24

    제 의견이 잘 전달되었는지 잘 모르겠군요. 관련개념이나 논지흐름이 확실하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거나 혹은 다른 궁금한 점이 있으면 먼저 질문을 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정중히 답해드릴께요.

  • 06.04.15 18:18

    제가 계속적으로 하는 말의 요지는, 두분이 지금의 배스,블루길구제사업을 중단하고 생태학적인 연구가 선행되야 한다고 주장하시는 것에 이치에 맞고 객관적인 근거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이에요. 복원생태학에 대해서는 너무나 잘 알겠습니다.

  • 06.04.15 18:19

    저도 외래어문제의 현재시점에서는 효과적인 구제를 위해서 생태학 연구가 필요할 것 같다는 것은 여러번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필요성과 선행되야 한다는 것과는 전혀 다릅니다. 필요성만 가지고는 선행되야 한다는 근거가 절대 될 수 없는것같네요.

  • 06.04.15 18:20

    라임병얘기는 생태계파괴의 원인을 밝혀내기 위한 생태학적 연구의 필요성입니다. 인용하신 문구에서도 생태학적 연구의 필요성만을 말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구제사업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시려면, 현재 구제사업의 문제점 등을 따져야 하고, 생태학적인 연구의 필요성만을 주장해서는 아무 소용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 06.04.15 18:24

    외래어 구제사업은 제가 알고 있는 다른 여러 복원 사례과 비슷한 절차를 밟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복원 사례에서 복원 사업이 오히려 생태계에 어떤 악영향을 주고 있었다고 보고된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 06.04.15 18:25

    외래어도 구제하다보면, 황소개구리처럼 부가적으로 다른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지도 모르고, 어름치처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면서 변화를 관찰하는 것도 효과적인 복원을 위해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06.04.15 18:26

    늑대의 복원에 대해 찾아보니 많은 정보가 나옵니다. 미국의 옐로스톤이라는 곳에서는 늑대가 말살된 이후로 생태계가 심각하게 황폐해졌는데 늑대가 사라진것이 그 원인으로 밝혀지면서 90년대부터 늑대를 조금씩 복원했더니 생태계가 급속도로 회복되었다고 합니다.

  • 06.04.15 18:27

    이렇게 모두 좋은 효과가 나타났지만 오히려 악영향이 있었다고 보고된 것은 본적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복원사업은 사람 인식이나 돈,시간 등의 문제였을뿐입니다. 외래어문제는 지금까지 수많은 전문가에게서 거론됐을텐데 설마 그것도 결정안났을리가 있을 것 같지도 않고요.

  • 06.04.15 18:27

    또 배스의 확산 원인은 아직까지 근절되지 않았다고 봅니다. 배스를 자기가 낚시하고 싶은 수역에 옮겨버리는, 보이진 않지만 일부 속타는 사람이 아직도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구제사업을 적극 홍보하는 것의 영향도 크다고 생각합니다.

  • 06.04.15 19:44

    참고적으로 우리나라와 상황이 비슷한 일본에서는 우리나라와 거의 같은 구제방법으로 적극적으로 구제하고 홍보하고 있습니다. 또 많은 성과(저밀도관리와 확산예방)를 거두고 있습니다. 얼마전에 제가 올렸었던 글들을 보셨을거라 생각합니다. 그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 06.04.15 19:42

    일본은 복원사업에서 다른 나라에 많은 모범이 되는 나라입니다. 우리나라생태특성에 맞게 연구되야겠지만 공통점도 많을듯. ▶『민물고기공부방』◀ 90번글에 공식적이고 자세한 일본의 배스,블루길 방제 지침이 있는데, 구제 방법은 우리나라와 별 다를게 없습니다. 그내용에서 지침을 배포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06.04.15 19:10

    효율적인 방제의 실시를 위해서(때문에)는 다양한 주체의 참가와 제휴가 필요합니다. 향후, 각지에서 여러가지 주체에 의한 방제 사업이 시작된다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사업을 효과적·효율적 에 진행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목표 설정이나 방제 수법과 관련되는 지견·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해,

  • 06.04.15 19:38

    방제열매2시계획의 책정 방법에 대해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방제의 지침을 작성 섬 해.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