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夜), 잠(睡), 죽음 같은 자연현상들이 의인(擬人; 의인화; 擬人化; 인격화; 人格化; 인속시; 人俗視; 인화; 人化; personifiying; anthropomorphizing; impersonating)되거나 의신(擬神; 의신화; 擬神化; 신격화; 神格化; 신성시; 神聖視; 신화; 神化; deifying)될 수 있다면, 이른바 활유법(活喩法)에 소속하는 이런 의인법(擬人法; 인화법; 人化法; personification; anthropomorphization; anthropomorphism; impersonation)과 의신법(擬神法; 신화법; 神化法; deification)은 사물들과 생물(동식물)들에도 ㅡ 페티쉬즘(fetishism; 물신숭배; 物神崇拜), 애니미즘(animism; 정령신앙; 精靈信仰), 토테미즘(totemism) 따위와 수많은 민담, 설화, 전설, 신화(神話), 동화(童話)가 예증하듯이 ㅡ 다반사로 적용될뿐더러 심지어 충류(蟲類; 벌레류), 균류(菌類; 버섯류; 곰팡이류), 아메바류(amoeba類), 박테리아류(bacteria類)와 바이러스류(virus類)에도 적용될 수 있고 실제로 심심찮게 적용된다.
이런 맥락에서, 거꾸로, 인간들과 신들을 의물(擬物)·의동식물(擬動植物)·의충(擬蟲; 의벌레)·의균(擬菌)·의아메바(擬amoeba)·의박테리아(擬bacteria)·의바이러스(擬virus)하는, 그러니까, 인간들과 신들을 사물화(事物化)·동식물화(動植物化)·충화(蟲化; 벌레화)·균화(菌化)·아메바화(amoeba化)·박테리아화(bacteria化)·바이러스화(virus化)하는, 의물법(擬物法)·의동식물법(擬動植物法)·의충법(擬蟲法)·의균법(擬菌法)·의아메바법(擬amoeba法)·의박테리아법(擬bacteria法)·의바이러스법(擬virus法)도 사용될 수 있을뿐더러 실제로도 드물잖게 사용된다.
우화법(寓話法), 우의법(寓意法), 풍유법(諷諭法), 알레고리(allegory)와 상통하는 이런 표현법·비유법은, 예컨대, 이른바 개돼지에게나 레밍 따위에게도 종종왕왕멍멍찍찍 적용될뿐더러 이솝(아이소포스; Aisopos, 서기전620~564)의 우화들에 등장하는 갖가지 동물,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 1883~1924)의 “벌레로 변신하는 그레고르 잠자(Gregor Samsa),” 조지 오웰(George Orwell, 1903~1950)의 동물농장(Animal Farm)에는 각별히 적용되었고 심지어 기생충에게도 적용되곤 한다.
그리스 신화에서 밤(夜)은 여신(야음녀신; 夜陰女神) 뉙스(Nyx; 닉스)로, 잠(睡眠)은 남신(수면남신; 睡眠男神) 휘프노스(Hypnos)로, 죽음은 남신(사망남신; 死亡男神) 타나토스(Thanatos)로 의신되었다가 의인되었든지 아니면 의인되었다가 의신되었을 것이다.
아래왼쪽그림은 프랑스 화가 앙리 팡탱-라투르(Henri Fantin-Latour, 1836~1904)의 1897년작 〈뉙스(La Nuit)〉이고, 아래오른쪽그림은 잉글랜드 화가 이블런 디 모건(Evelyn De Morgan, 1855~1919)의 1883년작 〈밤의 자식들, 잠과 죽음(Sleep and Death, the Children of the Night)〉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