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교육청이 소규모 학교 통폐합에 본격 착수하면서 농촌 지역 학부모와 교사들이 "경제 논리에 따라 반교육적 통폐합을 강행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13일 전북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교육부가 2009년까지 전국 농어촌 소규모 학교 1천976곳을 통폐합하기로 한 데 따라 도교육청은 지난달 18일 15개 시.군 교육청과 협의회를 열어 도내 초.중.고교중 '통폐합 추진 추정교' 108곳을 선정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부 지침에 따라 학생수가 100명 이하인 학교를 통폐합 할 경우 도내 학교중 40%가 대상이 된다"며 "일단 학생수가 50명 이하인 학교로 범위를 좁혀 '추진 추정교'를 정했다"고 말했다.
도교육청은 학생 50명 이하 초중고교 759곳중 지역 여론과 '1면(面)1교' 원칙 등을 고려해 108개교를 선정, 시.군 교육청에 통보했으며 이를 토대로 이달 중순까지 학교측과 주민 의견 등을 수렴해 1차 통폐합 후보 학교를 정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시.군 교육청은 지난달 말부터 선정 학교를 대상으로 통폐합 일정 수립과 협의회 구성 등의 절차에 착수하면서 본격적인 통폐합 작업에 돌입했다.
실제로 군산교육청의 경우 내흥초와 대야남초, 임피중 등 학생 수가 50명(분교20명) 이하인 초.중교 12곳을 통폐합 대상 학교로 확정하고 2009년까지 연차적으로 통폐합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농촌 지역 학부모와 교사들은 "경제 논리에 따라 일방적으로 통폐합이 강행되고 있다"며 반발 조짐을 보이고 있다.
도내 농촌 지역 교사들의 모임인 전북농촌교육연구회는 성명을 내고 "도교육청이 교육부의 통폐합 정책에 따라 일방적으로 일선 학교에 통폐합 추진위원회를 구성토록 지시하는 등 농촌의 생활 기반을 붕괴시키는 반교육적 행정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현 최규호 교육감이 지난 선거 당시 농촌 교육을 활성화하겠다며 다양한 정책을 공약으로 내세웠으나 교육부의 통폐합 계획이 나오자 이를 갑자기 번복했다"며 통폐합 추진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김제 지역의 한 초등학교 교사도 "지난달 30일 시교육청이 34개 학교중 12곳을 폐교 대상 학교로 정하고 통폐합 추진위원회를 구성하도록 지시했다"며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의 의견 수렴이 전혀 없이 경제 논리에 따라 일방적으로 통폐합이 추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역 여론이 반대할 경우 통폐합 대상에서 제외시킨다는 방침에는 변동이 없다"며 "학생과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 통폐합 대상을 신중한 검토를 거쳐 단계적으로 정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