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의 예시들 중에는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에서 발행한 "대학국어"에서 쓰인 내용을 활용한 것들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종종 참고문헌-외각주-내각주 를 혼동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유의하기 바랍니다.
① 외각주 (각 페이지 하단에 쓰이는 각주, 주로 글 중간에 작은 1) 등으로 표시하고, 페이지 하단에 1) 과 함께 인용 정보를 쓴다.)
<예시>
1) 홍길동, <대한민국은 어떤 나라인가>, 《길동일보》, 2012. 1. 16, 30면.
2) 성춘향, <제주도 여행과 낚시>, 《낚시란 무엇인가》, 변사또·박문수 편, 한국낚시연구소, 2012, 202면.
3) 이순신, 《명량해전의 경제적가치》 7, 11면(홍길동, op. cit., 50면에서 재인용).
4) I. Kant, Differential Equ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12면.
5) Ibid., 96~98면.
6) 성춘향, Op cit., 85면.
외각주의 기본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번호) 저자명, 저서명, 출판사, 출판년도, 인용면수. (온점과 쉼표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설명>
1. 저서명의 경우, 두꺼운 학회지에 여러 논문이 실려있거나 모음집등에 사설이 실려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경우 「」으로 자신이 인용하는 글의 이름을,『』으로 글이 실려있는 모음집이나 학회집을 쓰면 됩니다. 각각은〈〉과《》 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한편 모음집등에 실려있지 않고 글이나 논문을 인용하는 것이라면 예시의 3) 과 같이 쓰면 됩니다.
2. 2)의 경우에는 "낚시란 무엇인가" 모음집을 변사또와 박문수가 공동으로 지은 것이며, 내가 인용하는 글인 "제주도 여행과 낚시" 는 저자들 중 성춘향이 집필한 것입니다. 외국인 공저의 경우에는 이름 중간에 방점 대신 & 을 써줍니다.
3. Ibid. 는 해당 각주 바로 위의 각주에 인용된 글/논문을 다시 인용할 때 쓰입니다. 반드시 이탤릭체로 쓰며, 끝에는 온점을 써 줍니다. 5)의 경우, 4)에서 인용된 글의 96~98 면을 인용한 것입니다.
4. op.cit. 는 바로 위의 각주가 아니라 그 앞의 어디에선가 인용했던 문헌을 다시 인용할 때에 쓰입니다. 반드시 이탤릭체로 쓰고 op cit. 앞에는 저자명을 써 주며, 끝에는 온점을 써 줍니다. 6) 의 경우 2)의 논문의 85면을 다시 인용한 것입니다.
5. 3)의 경우에는 1)에서 인용된 논문안에 쓰여진 참고문헌 중 이순신이 쓴 "명량해전의 경제적가치" 를 자신이 인용한 것입니다. 굳이 말하자면 이중인용이 되겠지요. 그리고 숫자 7은 발행 호 수를 적어놓은 (월간낚시 14호 와 같이) 것입니다. 발행 호 수는 글의 제목이 아니므로, 3)과 같이 괄호안에 넣지 않습니다.
6. 4)와 같이 저서가 한글이 아닌경우, 괄호나 꺽쇠를 쓰지 않는 대신에 이탤릭체로 씁니다. 다만 저서명과 모음집(또는 논문집)을 같이 써야 하는 경우에는 저서명을 모음집의 앞에 쓰되, 저서명만 이탤릭체로 씁니다. 모음집은 " " 와 같이 따옴표를 써 줄 수 있습니다.
② 내각주(글의 중간에 괄호로 인용을 알려주는 각주)
<예시>
이이는 밖에 나가서 잘 놀지 않았다(신사임당, 2012: 100).
그러나 지구가 둥글다는 것은 이미 Galileo(1632: 100~110)에서 밝혀졌다.
Chomsky & Halle(1968)은 생성음운론의 기초를 마련해 주었는바, ......
-> 내각주는 예시와 같이 ( ) 를 쓰고 안에 (저자명, 출판연도: 인용면) 을 적습니다.
<주의할점>
ㄱ. 괄호안에 온점이 없다는 것이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ㄴ. 이이는 ~ 에서 문장을 끝내는 온점이 내각주 다음에 쓰였습니다.
ㄷ. 그러나 ~ 와 같이 글에 이미 갈릴레오 라는 저자명이 쓰인 경우에는 내각주 안에 저자명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ㄹ. 만약 어떤 특정 면을 인용한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생각을 따온 것이라면 출판연도만 기록할 수 있습니다. 예) Galileo(1632)
ㅁ. 공저인 경우에는 저자들의 성을 쓰고 & 으로 묶어줍니다. (Chomsky 와 Halle 는 저자들의 성)
③ 내각주가 쓰인 글에서의 참고문헌(글의 마지막에 한꺼번에 달아주는 것, 내각주가 쓰인 글은 반드시 참고문헌을 달아줍니다.)
감수성(2012), 《아니 어떻게 알았지?》, 오랑캐출판사.
나관중(1111), 《삼국지는 소설일뿐》, 대륙출판사.
스탈린(2012), <독일과의 승부>, 《공산주의는 미친짓이다》, 극동출판사.
Chomsky, Noam(2007), Very good Korea, Wiley.
Eagleton, Terry(2004), Tiger vs Lion and Mother vs Father, Springer.
Oxtoby, D. & Anthony Giddens(2002), Naver Blog Forever, Pearson.
1. 기본적으로 저자의 뒤에는 출판연도를 써 줍니다. 내각주에 쓰여진 내용만으로는 어느 책을 인용하였는지 정보가 부족하므로, 참고문헌에서 찾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2. 참고문헌은 ㄱ,ㄴ,ㄷ... a,b,c,... 순으로 씁니다.
3. 저서명의 괄호 사용법 및 이탤릭체 사용법은 외각주에서 설명한 것과 같습니다. 외각주 <설명> 중 1. 을 참고하면 됩니다.
4. 외국인 저자를 참고문헌에 쓸 경우에는 성을 먼저 써 줍니다. Noam Chomsky 인 외국인 저자의 성은 Chomsky 이므로 Chomsky를 먼저 쓰고 그 뒤에 Noam 을 써줍니다. 성과 이름이 바뀌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성과 이름 사이에 쉼표를 써 줍니다. Noam 은 N. 으로 줄여쓸 수 있습니다.
5. 외국인 공저인 경우 "성, 이름 & 이름 성" 으로 써 줍니다. & 다음에 쓰이는 저자는 성 과 이름의 자리를 바꾸지 않으며 중간에 쉼표도 쓰지 않습니다.
6. 참고문헌은 인용면수를 생략합니다.
④ 내각주가 쓰이지 않은 글에서의 참고문헌
* 저서의 경우 : 저자명, 저서명, 판수, 출판지명, 출판사명, 출판연도.
* 논문의 경우 : 필자명, 논문명, 게재지명 권호수, 출간학회, 출판연도.
1.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인용면수는 쓰지 않습니다.
2. 출판지명은 출판사가 속한 지역명을 쓰는 것입니다. Pearson 출판사의 경우 아시아 지역 출판사, 북미 출판사 등 지역별로 나뉘어져 있고 종종 잘 알려지지 않은 출판사의 글을 인용할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3. 1,2 및 위에 쓰인 순서를 제외하면 "③내각주가 쓰인 경우의 참고문헌" 과 같은 형식을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