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07월 21일 금요일
[녹] 연중 제15주간 금요일 또는
[백] 브린디시의 성 라우렌시오 사제 학자
제1독서<저녁 어스름에 새끼 양을 잡아라. 그 피를 보고 너희만은 거르고 지나가겠다.>
▥ 탈출기의 말씀입니다.11,10─12,14
그 무렵 10 모세와 아론은 파라오 앞에서 모든 기적을 일으켰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파라오의 마음을 완고하게 하셨다.
그리하여 파라오는 이스라엘 자손들을 자기 땅에서 내보내지 않았다.
12,1 주님께서 이집트 땅에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씀하셨다.
2 “너희는 이달을 첫째 달로 삼아, 한 해를 시작하는 달로 하여라.
3 이스라엘의 온 공동체에게 이렇게 일러라.
‘이달 초열흘날 너희는 가정마다 작은 가축을 한 마리씩,
집집마다 작은 가축을 한 마리씩 마련하여라.
4 만일 집에 식구가 적어 짐승 한 마리가 너무 많거든,
사람 수에 따라 자기 집에서 가장 가까운 이웃과 함께 짐승을 마련하여라.
저마다 먹는 양에 따라 짐승을 골라라.
5 이 짐승은 일 년 된 흠 없는 수컷으로 양이나 염소 가운데에서 마련하여라.
6 너희는 그것을 이달 열나흗날까지 두었다가,
이스라엘의 온 공동체가 모여 저녁 어스름에 잡아라.
7 그리고 그 피는 받아서, 짐승을 먹을 집의 두 문설주와 상인방에 발라라.
8 그날 밤에 그 고기를 먹어야 하는데,
불에 구워, 누룩 없는 빵과 쓴나물을 곁들여 먹어야 한다.
9 그것을 날로 먹거나 물에 삶아 먹어서는 안 된다.
머리와 다리와 내장이 있는 채로 불에 구워 먹어야 한다.
10 아침까지 아무것도 남겨서는 안 된다. 아침까지 남은 것은 불에 태워 버려야 한다.
11 그것을 먹을 때는, 허리에 띠를 매고 발에는 신을 신고 손에는 지팡이를 쥐고,
서둘러 먹어야 한다.
이것이 주님을 위한 파스카 축제다.
12 이날 밤 나는 이집트 땅을 지나면서,
사람에서 짐승에 이르기까지 이집트 땅의 맏아들과 맏배를 모조리 치겠다.
그리고 이집트 신들을 모조리 벌하겠다. 나는 주님이다.
13 너희가 있는 집에 발린 피는 너희를 위한 표지가 될 것이다.
내가 이집트를 칠 때, 그 피를 보고 너희만은 거르고 지나가겠다.
그러면 어떤 재앙도 너희를 멸망시키지 않을 것이다.
14 이날이야말로 너희의 기념일이니, 이날 주님을 위하여 축제를 지내라.
이를 영원한 규칙으로 삼아 대대로 축제일로 지내야 한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시편 116(114─115),12-13.15와 16ㄷㄹ.17-18(◎ 13)
◎ 구원의 잔 받들고 주님의 이름 부르리라.
○ 내게 베푸신 모든 은혜, 무엇으로 주님께 갚으리오? 구원의 잔 받들고, 주님의 이름 부르리라. ◎
○ 주님께 성실한 이들의 죽음이, 주님 눈에는 참으로 소중하네. 저는 당신의 종, 당신 여종의 아들. 당신이 제 사슬을 풀어 주셨나이다. ◎
○ 주님께 감사 제물 바치며, 주님 이름 부르나이다. 모든 백성이 보는 앞에서, 주님께 나의 서원 채우리라. ◎
복음 환호송요한 10,27 참조
◎ 알렐루야.
○ 주님이 말씀하신다. 내 양들은 내 목소리를 알아듣는다. 나는 그들을 알고 그들은 나를 따른다.
◎ 알렐루야.
복음<사람의 아들은 안식일의 주인이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2,1-8
1 그때에 예수님께서 안식일에 밀밭 사이를 지나가시게 되었다.
그런데 그분의 제자들이 배가 고파서, 밀 이삭을 뜯어 먹기 시작하였다.
2 바리사이들이 그것을 보고 예수님께 말하였다.
“보십시오, 선생님의 제자들이 안식일에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3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다윗과 그 일행이 배가 고팠을 때,
다윗이 어떻게 하였는지 너희는 읽어 본 적이 없느냐?
4 그가 하느님의 집에 들어가,
사제가 아니면 그도 그의 일행도 먹어서는 안 되는 제사 빵을 먹지 않았느냐?
5 또 안식일에 사제들이 성전에서 안식일을 어겨도
죄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율법에서 읽어 본 적이 없느냐?
6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성전보다 더 큰 이가 여기에 있다.
7 ‘내가 바라는 것은 희생 제물이 아니라 자비다.’ 하신 말씀이
무슨 뜻인지 너희가 알았더라면, 죄 없는 이들을 단죄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8 사실 사람의 아들은 안식일의 주인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연중 제15주간 금요일 복음묵상
(마태12,1-8)
<사람의 아들은 안식일의 주인이다.>
오늘 복음에서는 예수님의 제자들이 안식일에 배가 고파 밀 이삭을 뜯어 먹자 바리사이들이 그것을 보고 지적하면서 안식일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그러면서 예수님께서는 다윗 때의 예를 들어서 말씀하시면서 성전보다 더 큰 이가 여기에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바라는 것은 희생 제물이 아니라 자비다.’ 하신 말씀이 무슨 뜻인지 너희가 알았더라면, 죄 없는 이들을 단죄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사실 사람의 아들은 안식일의 주인이다.”
바리사이들의 경우 율법을 잘 지키고자 했던 그 자세는 존중되어져야 합니다. 곧 그들은 하느님의 백성으로 충실하게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자 했던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많은 율법의 조항들을 만들어내면서 본래의 안식일이 갖는 참된 의미를 잃어버렸다는 데 있다는 것입니다. 창세기에서 보면 하느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신 뒤 그다음 날 쉬셨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안식일은 하느님의 뜻하심대로 모두가 다 그야말로 그분 안에 참된 쉼을 갖게 되는 하느님의 사랑과 자비의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바리사이들은 그 안식일 규정을 통해서 사람들을 규제하고 통제하면서 자신들의 지위와 이권을 챙기면서 살아갔던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렇게 율법의 참된 정신을 잃어버린 그들의 잘못을 지적하시며 “‘내가 바라는 것은 희생 제물이 아니라 자비다.’ 하신 말씀이 무슨 뜻인지 너희가 알았더라면, 죄 없는 이들을 단죄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하고 말씀하셨던 것입니다.
우리가 신앙인으로서 살아가면서 교회의 규정을 충실히 잘지키는 것은 물론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율법적으로 규정만 잘 지키면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늘 하느님의 뜻하심을 따르고 주님의 사랑을 실천하며 살아갈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무리 미사를 열심히 참여한다고 해도 하느님의 뜻을 따르지 않고 주님의 사랑을 살아가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저 율법의 규정을 잘 지키는 바리사이들과 다를 바가 없을 것입니다.
“사람의 아들은 안식일의 주인이다.”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