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유(王維)-한강임조(漢江臨眺照)(한강을 바라보며)
楚塞三湘接(초새삼상접) 초나라의 국경은 상강과 접해 있고
荊門九波通(형문구파통) 형문은 아홉 개의 지류에 통한다
江流天地外(강류천지외) 강은 천지 밖으로 흐르는데
山色有無中(산색유무중) 산빛은 있는 듯 없는 듯
郡邑浮前浦(군읍부전포) 고을은 물가에 둥실 떠 있고
波瀾動遠空(파란동원공) 물결은 먼 하늘에 출렁인다
襄陽好風日(양양호풍일) 양양 땅 풍광 좋은 날에
留醉與山翁(유취여산옹) 머물러 산첨지와 함께 취하네
*왕유[王維, 701년 ~ 761년, 자는 마힐(摩詰), 분주(汾州, 지금의 산시성(山西省) 펀양(汾陽) 출신]는 중국 성당 시기의 시인이며 화가이자 관료로, 이백은 천재天才, 두보는 지재地才, 왕유는 인재人才로 평하기도 하고, 각각 시선詩仙, 시성詩聖, 시불詩佛이라 하였습니다.
시,서,화,음악에 능통하였고, 문학적으로는 산수전원시를 많이 창작하였고, 그림 방면에서는 중국 남송화의 비조로 추앙되며 음악에도 정통하였으며, 회화성이 뛰어나고 선취禪趣가 풍부한 산수전원시를 많이 썼습니다. 안녹산 반군에게 잡혀 반강제적으로 관직을 맡았다가 난 평정후 하옥되어 죽을 뻔한 것을 동생 왕진의 구명운동으로 풀려났고, 독실한 불교신자였던 어머니의 감화를 받아 불교에 귀의하였고, 40세 때 장안 남쪽 남전현에 있는 망천 별장을 얻어 친구 배적과 더불어 반관반은半官半隱 생활을 하며 자연에서 노니는 즐거움을 시로 읊었습니다.
*위 시는 한문학계의 원로이신 손종섭 선생님의 “노래로 읽는 당시”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 본 것인데, 3, 4구인 “江流天地外(강류천지외) 강은 천지 밖으로 흐르는데, 山色有無中(산색유무중) 산빛은 있는 듯 없는 듯”은 명구 중의 명구로 장강의 강물은 하늘과 땅이 맞닿은 경계 밖으로 아득히 흘러가는 가운데 산빛은 어렴풋하여 있는 듯하면서도 없는 것 같고, 없는 듯하면서도 있는 것 같다는 이 유원표묘悠遠縹緲한 경계를 상상해볼 것이고, 5,6구인 “郡邑浮前浦(군읍부전포) 고을은 물가에 둥실 떠 있고 波瀾動遠空(파란동원공) 물결은 먼 하늘에 출렁인다”는 한 고을의 산이며 하늘이며 구름 그림자가 물위에 둥실 떠 있는 영상도 볼만하거니와, 바람이 일어 물결이 일 때면 수면에 비쳐 있는 먼 하늘 그림자도 함께 출렁거리는 그 광경 또한 기관奇觀이 아닐 수 없다, 위의 두 쌍의 대련對聯은 다름 아닌 동양화의 화법을 원용한 솜씨로서 남화南畫의 개조開祖인 작가다운 문자화文子畵라 할 만하다. 끝연은 이러한 풍화일려風和日麗한 산수경 속에 머물러, 그곳에 은거하고 있는 친구와 더불어 연일 시주詩酒에 도취되어 돌아갈 줄을 잊고 있다는 풍정風情이라 합니다.
*형식 : 오언율시(五言律詩)
*漢江(한강) : 섬서성陝西省에서 발원하여 무한武漢에서 장강과 합류하는 강, 한수漢水, 또 한수와 장강의 뜻으로도 볼 수 있다.
楚塞(초새) : 초나라의 옛 국경
三湘(삼상) : 호남성湖南省 상수湘水의 총칭, 동정호로 흘러듬
荊門(형문) : 호북성湖北省 의도현宜都縣에 있는 산 이름, 양자강의 남쪽 기슭을 이룬 이 형문산과 그 대안對岸을 이룬 호아산虎牙山이 한 큰 물문(水門)을 이룬 사이로 양자강이 흐르고 있다. 따라서 여기의 형문은 산 이름으로서가 아니라 문 이름으로 쓰인 것
襄陽(양양) : 호북성 북쪽에 있는 도시, 지금은 양번시襄樊市, 옛날 주호酒豪인 산간山簡의 고사가 있고, 당시의 주호인 이백이 취정을 부리던 양양가의 탄생지, 따라서 이곳은 호주豪酒의 고장으로 유명해졌다
好風日(호풍일) : 좋은 풍광과 좋은 날씨, 또는 바람 부는 좋은 날씨
山翁(산옹) : 산첨지, 산늙은이, 맹호연(孟浩然)을 가리킴
첫댓글 한 폭의 그림 같은 곳에서 좋아하는 벗과 술에 취해
자연에서 노니는 즐거움....그대들은 과연 신선들인가....
ㅎ, 왕유처럼 시불의 경지에 이른 사람은 신선이 되었을 듯 합니다.
회장님의 멋진 댓글에 감사드리고,
행복한 금요일과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